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바리데기 구약노정의 성격과 여성의 자기서사

A Special Quality of 'The Journey to Obtain MedicinalWater' and Self-Narratives on Women through Baridegi Mythology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5, v.0 no.13, pp.169-190
이주미 (동덕여자대학교)

Abstract

신화는 사회통합 원리로서의 전통적 이념을 계승할 뿐 아니라, 새로운 이념을 실험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보수성과 혁신성을 동시에 지닌다. 바리데기 신화가 수많은 여성적 경험과 욕망을 내포하고 있으면서도 겉으로는 효 이데올로기를 표방하고 있는 것은 보수와 혁신의 양면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곧 이 신화의 생존전략이기도 하다. 바리데기 신화의 구약노정은 연대기적 방식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가변적 세계이다. 이 노정은 정태적 공간으로 고정되지 않는, 일종의 경계면으로서의 상황이다. 이 노정의 첫번째 특징은 이접성으로서, 바리데기는 여기서 새로운 사물, 사건과 마주침으로써 새로운 성격과 역할과 임무를 부여받게 된다. 이 노정의 두번째 특징은 사물의 가치를 판단하는 절대적 척도가 제거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여성적 인식능력과 역량이 발휘되는 세계로서의 이 노정은, 관습적 명제로 사유될 수 없는 영성이 그 진실성을 보장받는 곳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이 구약노정에서 궁극적으로 추구되는 효과는 여성의 육체에 각인된 지배 이데올로기의 흔적을 지우는 것이다. 구약노정은 약수물을 구함으로써 종료되는데, 구약이라는 문턱을 넘어서면서 ‘딸’이라는 부정적 기호만을 지녔던 바리데기는 ‘아내’, ‘어머니’, ‘여신’이라는 긍정적 자질을 새로이 부여받는다. 구약노정에서 주인공의 성격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은 바리데기 텍스트가 구연되는 동안 이본을 만들어내는 방식과 유사하다. 그것은 곧 여성의 정체성 형성 과정과 여성 언술의 대인관계적 성격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keywords
바리데기 신화, 구약노정, 경계면, 정체성, 여신, 자기서사., Baridegi mythology, The journey to obtain medicinal water, Boundary("milleu"), Identity, Goddess, Self-Narratives.

참고문헌

1.

(1997) 바리공주전집 1, 민속원

2.

(1997) 바리공주전집, 민속원

3.

(1996) 황천무가연구, 창우사

4.

(2002)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문학동네

5.

(1990) ?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 지성사

6.

(1997) 한국여성시학, 깊은샘

7.

(1990) ?문학의 공간?, 책세상

8.

(1996) 제의에서 연극으로, 현대미학사

9.

(2001) 천개의 고원, 새물결

10.

(1984) 바리데기 형성의 신화 심리학적 두 원리, 계명어문학회

11.

(1990) 한국신화와 여성주의 문학론, 계명대학교

12.

(1992) 여성의 자기 진술의 양식과 문체의 발견을 위하여 몸으로 글쓰기? ?또 하나의 문화? 제9호,

13.

(1977) ?비교문학? 1집 한국비교문학회,

14.

(2001) 바리데기의 텍스트성 연구 , 한국고전연구학회

15.

(2003) 탄생, 김선우본 바리데기, 열림원

16.

(1980199-254) 바리공주연구 ?한국무가의 연구?,

17.

(1992) 19세기 영국 여성 작가들의 자전적 소설 ?여자로 말하기 몸으로 글쓰기? ?또 하나의 문화? 9호,

18.

(2001) 무속신앙의 희생양과 희생제의, 한국고전연구학회

19.

(1997) 바리공주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특징에 관한 비교 고찰,

20.

(1999) 새로운 노마디즘을 위하여 페미니즘의 들뢰즈적 궤적 혹은 형이상학과 신진대사,

21.

(1990) 현대의 신화 ?문학과 신화?,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