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저널리즘과 여성작가의 탄생 ― 1920~30년대 여기자(女記者)집단을 중심으로 ―

Journalism and Women writers' appearance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5, v.0 no.14, pp.89-119
김연숙 (경희대학교)

초록

1920년대 이후 여성작가들은 이전(以前) 시기에 비해 좀더 체계적인 기반을 통해 등장한다. 이때 중요한 장(場)이 학교와 저널리즘이다. 학교가 글쓰기와 글읽기를 습득훈련시키는 근대적 제도라면 저널리즘 공간에서는 글쓰기와 글읽기가 근대적으로 유통된다. 본고에서는 우선 여기자-작가에 대한 기본 사실부터 확인해 나가며, 1920~30년대 여기자-작가들의 실상을 살펴보았다. 1920년 이후 근대 교육을 받은 여성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신여성은 기사대상이 되기도 하고, 여성독자라는 집단적인 세력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여기자가 등장함으로써 저널리즘에서 여성적 공간이 넓어지지만 이들의 역할은 영업사원으로 한정되는 등, 성별에 따라 분리된 공간만이 허용되고 있었다.그러나 상업적 의도에서 발탁되었던 여기자들 중 일부가 여기자-작가를 형성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분명 의미있는 일이다. 비록 그들이 작가 자질 시비에 시달려야 했고, 남성권력에 결탁하기도 했지만, 그들의 존재는 저널리즘이라는 근대적 메커니즘 속에서 자신을 기입하려 했던 여성의 고투였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를 최정희와 송계월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한편 남성 문인기자의 경우 이미 작가로서의 위치를 인정받은 단계에서 기자로 발탁, 생계문제와 글쓰기의 양심 문제를 고민했고, 전통적인 문사에서 근대적 의미의 작가로 분화되어 나갔다. 이에 비해 여성의 경우 근대 공간에 자신을 사회적 존재로 기입하는 글쓰기를 통해 사회적 주체임을 자각하고, 작가라는 정체성을 형성시켜나갔던 것이다.

keywords
woman journalists, woman writers, journalism, feminine writing, gendered field, female identity., 여기자, 여성작가, 저널리즘, 여성적 글쓰기, 젠더화된 공간, 여성적 정체성

Abstract

This thesis features journalist-writers in 1920th and 1930th. It points out the real lives of women at that time; more and more women were getting the modern education. And newspapers dealt with the lives of those who were called 'New Women'. And also, there appeared a group of women readers. In concrete, women writers in the 20th and 30th made an appearance having more systematic base than before. Modern systems such as schools and journalism were their major channels to the public. Then, they learned writing and reading in schools and journals as social fields. In particular, journalism played a key role to spread learning. However, despite women's this changed status, most of women journalists were in sales and worked at the limited or gendered area. Nevertheless, it is significant that some women journalists became writers. Jeonghee Choi and Gyewol Song were two models of those who struggled to survive their male-centered society and inscribe their name into it even if they suffered from being considered incompetent writers or cowards serving the male power. That is because while men's status as journalist-writers was rather stable, women' as journalist-writers was not. Of course, men writers have difficulty in making enough money to feed and clothe their family. They were even guilty of writers' immoral behavior under the colonization. Naturally, these men writers have been evolved and esteemed as modern authors in the Korean literary history. In comparison, women writers made their every efforts so as to survive the male-centered society and identify themselves as writers in their own society.

keywords
woman journalists, woman writers, journalism, feminine writing, gendered field, female identity., 여기자, 여성작가, 저널리즘, 여성적 글쓰기, 젠더화된 공간, 여성적 정체성

참고문헌

1.

김동인, (1927) 딸의 업 을 이으려-어떤 부인기자의 수기」,

2.

이태준, (19351988) 애욕의 금렵구」, 서음출판사

3.

이태준, (19421988) 행복에의 흰 손들」, 서음출판사

4.

김민정, (2000) 1930년대 문학적 장의 형성에 대한 고찰, 일지사

5.

김양선, (2004) 여성 작가를 둘러싼 공적 담론의 두 양식 - 공개장과 좌담회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6.

김연숙, (2004) 여성작가가 된다는 것 그를 둘러싼 소문과의 쟁투, 월인

7.

김옥란, (2004) 근대 여성 주체로서의 여학생과 독서체험, 상허학보

8.

물망초, (1933) 문화전선의 기수-부인긔자의 생활,

9.

민병철, (1933) 여류문사에 대하야 - 동지 안함광군에게 보내는 일편서신」,

10.

박금옥, (1987) 일간신문 여성가정난과 게이트키퍼 연구」,

11.

(2004.10) 식민지 치하에서 작가가 된다는 것,

12.

(1936) 여류작가 좌담회」,

13.

(2004) 문단의 여류와 여류문단 , 소명출판

14.

(1932) 문예시평 - 두가지 문제를 가지고」,

15.

(1929) 동아 조선 중외 삼신문사 여기자 평판」,

16.

(2003) 식민지에서의 여성과 민족의 문제,

17.

(2002) 임순득 혹은 여성문학사의 재구성, 소명출판

18.

(1939) 노천명의 재기」,

19.

(1928) 엉터리업시 만드러내는 신문기자의 미인제조 비술」,

20.

(1940) 불효기에 처한 조선여류작가론」,

21.

(2002) 1930년대 신문 학예면과 문인기자 집단, 국학자료원

22.

(2003) 1930년대 신문학예면과 모국어 체험,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3.

(2003) 근대의 책읽기, 푸른숲

24.

(1927) 최은희씨와의 회견기」,

25.

(1993) 한국여성사정립을 위한 여성인물유형연구 Ⅲ」 이화여대한국여성연구소,

26.

(1932) 조선신문잡지의 부인기자열전」,

27.

(1927) 흥미잇는 부인기자」,

28.

(1933) 여류작가 군상」,

29.

(1996) 婦人 家庭欄こと始め, 靑蛙房

30.

(1996) ジェンター からみた新聞のうら おもて, 現代書館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