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Chronotope in the Novel and Poetics of Female Discours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6, v.0 no.15, pp.261-297
Sookwon Ahn

Abstract

본고는 여성가족사소설 『혼불』과 죽음의 크로노토프를 검토한 것이다. 죽음의 크로노토프는 실제 장소와 기호학적 죽음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청암부인의 무덤, 후자는 인물들의 죽음과 죽음에 관련된 각종 의례, 민속소재들-망혼제, 평토제, 혼불, 투장, 제문, 열녀비, 액막이연…… 따위로 제시된다. 이처럼 죽음은 『혼불』의 서사소(narrativity)로서 작중인물들은 타나토스에 깊이 강박돼 있다. 하지만 그 죽음은 생명의 씨앗이 되어 조상과 자손의 세대가 교체, 지속하는 자연의 로고스로 간주된다. 죽음의 크로노토프에서 보자면, 『혼불』은 영생, 순환하는 한국인의 존재론을 서사화한 살(肉)과 뼈(骨)의 축제다. ‘살로는 情을 나누고, 뼈로는 일을 한다’고 했다. 청암부인이 몰락한 종가를 ‘내 홀로 내 뼈를 일으키리라.’고 다짐하듯 일제 치하 망국민으로 무기력한 남성을 대신해 종가를 지켜낸 여성 3대(청암부인-율촌댁-효원)를 비롯, 민족의 보존을 떠맡은 여성들의 수난사가 『혼불』의 기둥줄거리다. 하지만 플롯층위에서 『혼불』은 플롯없는 열린 텍스트이다. 장황한 수사, 에피소드들의 나열, 시간모순 등으로 시점의 혼란이 많고 결말다운 결말이 없다. 이를 판소리와 같은 부분의 독자성으로 볼 수도 있지만 소설담화의 적정성을 고려하면 서사단위들의 파편화를 응집하는 데도 크로노토프는 유용한 개념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혼불』은 일제 치하 창씨개명과 더불어, 냇물을 사이에 두고 원뜸/아랫몰의 지지적 공간분할에 따른 예각화되는 것을 통해 가계연속성 욕망과 민족주체성을 동일시한 여성가족사소설의 특성을 보여준다. 동시에 『혼불』은 여성신체의 풍요원리, 집안살림의 내공쌓기로 여성성을 고양시키고 자력으로 가문의 혼불이 된 종부를 통해 타자의 디스코스를 재현했다. 무엇보다 언술층위에서 『혼불』은 전통사회 여성들의 구연담화와 내간체의 기록담화를 혼합하고, 흡인력을 발휘하는 풍부한 비유와 생기있는 묘사로 소설언어의 영역을 최대한 확장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keywords
M. Bakhtin, Chronotope, chronotope of death, honbul, a head wife of the head family, family name, seed, absorption of the full moon, making a hole of one's tomb, womb, a novel of womans' family history, a head family, domestic- affairs, ambivalence, M. 바흐찐, 크로노토프(Chronotope), 죽음의 크로노토프, 혼불, 종부, 종가, 씨, 흡월정, 투장, 자궁, 여성가족사소설, 집, 모순등가성

Reference

1.

김열규, (1999) 생태 묵시록시대의 혼불 의 생태비평 , 현대문학이론학회 학술대회

2.

김열규, (2000) 신삼국유사 , 사계절

3.

박완서, (1994)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 조선일보사

4.

안숙원, (2002) 소설의 크로노토프와 여성서사 시학(1) , 현대소설연구

5.

오세은, (2000) 여성 가족사소설 연구 ,

6.

우해영, (2000) 최명희 혼불 의 담론 연구 ,

7.

이문영, (2002) 바흐찐 대화주의와 contradictio in adjecto , 러시아문학

8.

장일구, (1999) 혼불 읽기 문화 읽기 , 한길사

9.

전라문화연구소, (2001) 혼불의 문학세계 , 소명출판

10.

최인자, (2005) 대화적 서사의 진정성 윤리와 서사문화교육 , 국어국문학

11.

미스, M, (2004) 에코페미니즘 , 창작과 비평사

12.

브룩스, P, (2000) 육체와 예술 , 문학과지성사

13.

쥬네트, G, (1992) 서사담론 , 교보문고

14.

바흐찐, M, (1988)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 창작과 비평사

15.

Gerald Prince, (1982) Narratology , Mouton Publishers, N.Y.

16.

Mary L. Pratt, (1977) Towards a Speech Act Theory of Literary Discourse , Indiana Univ.Press

17.

Mikhail Bakhtin, (1981) Dialogic Imagination , Texas Univ.

18.

M.M.Bakhtin, (1984) Problems of Dostoevsky's Poetic , Minnesota Univ.

19.

Roy Pascal, (1977) Narrative Fiction and Reality , Novel

20.

Ruth Ginsburg, (1993) Critical Studies : The Pregnant Text : Bakhtin’s Ur-Chronotope , Ammsterdam,-Atlanta, GA

21.

Toril Moi, (1985) Sexual / Textual Politics , London & N.Y, Methun

22.

Tzvetan. Todorov, (1982) French Litetary Theory Today , Cambridge Univ. Pres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