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Issues in Female Speaker in Korean Classical Poetry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6, v.0 no.15, pp.7-31
Ko, Jeonghee

Abstract

Issues in Female Speaker in Korean Classical Poetry Ko, Jeong-Hee The issue of interpreting female speaker in korean classical poetry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subjects. This paper aims to comprehend the core of the controversy over female speaker by highlighting the poetical problem of 'speaker'. Those who regard 'speaker' as a poetic paradigm assert that we should distinguish female speaker from author. They focus on the 'femininity' as 'wholeness' which is unconcerned in the author's sex/gender. However those who regard 'speaker' as an ideological device focus on the poetic truth which is derived only from the identical gender speaker. They put emphasis on the uniqueness of female experience and partiality, and this is why they have been criticised for intolerance. I insist that the alternative of the partiality could be another partial assertion. 'Wholeness' might be a privilege of man and 'poetics of speaker' is also male methodology. Though I stress the partial research rather than the assertion of the wholeness, what is necessary is to transfer our viewpoint from synchronic to diachronic to solve the controversy.

keywords
고전시가, 여성화자, 여성주의, 화자시학, 전일성, 당파성, 젠더, korean classical poetry, female speaker, feminism, poetics of speaker, wholeness, partiality, gender.

Reference

1.

고미숙, (2001)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민족ㆍ슈얼리티ㆍ병리학,

2.

고정희, (2005) 여성의 수사적 상황과 사설시조 조선후기 시가와 여성,

3.

권정은, (2000) 여성화자 가사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4.

김대행, (2003) 문학의 화자와 여성 고전문학과 여성화자 그 글쓰기의 전략,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편

5.

김병국, (1995) 판소리 서사체와 문어체 소설 한국고전문학의 비평적 이해, 서울대 출판부

6.

김복순, (2005)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소명출판

7.

김학성, (1987) 조선후기 시가에 나타난 서민적 미의식 국문학의 탐구, 성균관대 출판부

8.

김학성, (1983) 고려가요의 작자층과 수용자층,

9.

박애경, (2001) 사설시조의 여성화자와 여성 섹슈얼리티 , 한국여성문학회

10.

박일용, (2005) 노처녀가(1)>의 담론 형태와 그 시학적 의미,

11.

박혜숙, (1998) 고려속요의 여성화자 , 한국고전문학회

12.

신경숙, (2000) 고전시가와 여성-연구사 검토와 전망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3.

안대회, (2003) 18세기 여성화자시 창작의 활성화와 그 문학사적 의의 고전문학과 여성화자 그 글쓰기의 전략,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편

14.

이경하, (2004)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15.

이형대, (2003) 사설시조와 여성주의적 독법 고전문학과 여성주의 시각, 소명출판

16.

임주탁, (2004) 고려시대 국어시가의 창작ㆍ전승 기반 연구, 부산대 출판부

17.

정운채, (1995) 삼장> 및 <쌍화점>과 <서동요>의 관련양상 , 고전문학회

18.

정운채, (1994) 의 <쌍화점>과 <쌍화곡>과의 관계 및 그 문학사적 의미,

19.

정인숙, (2001) 가사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목소리 연구-연군가사와 애정가사를 중심으로,

20.

조세형, (2003) 송강가사에 나타난 여성화자와 송강의 세계관 고전문학과 여성화자 그 글쓰기의 전략,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편

21.

조세형, (2005) 여성적 글쓰기의 원론적 고찰 조선후기 시가와 여성,

22.

최미정, (1996) 이상곡>의 종합적 고찰 고려가요연구의 현황과 전망,

23.

최미정, (1999) 고려속요의 전승 연구, 계명대 출판부

24.

김영찬, (1998) 근대성과 페미니즘,

25.

Alex, (1993) The New Princeton Encyclopedia of Poetry and Poetics, Princeton;New Jersey Princeton Univ Press

26.

Lawrence Lipking, (1988)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2000) Consise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28.

(2000) Consise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