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Woman's ego shown up at travel writing style of the late Joseo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6, v.0 no.16, pp.243-271
Seung-Hee Lee

Abstract

조선후기는 유교적 예법이 강화된 시기로써 여성의 출입이 자유롭지 못했다. 그러나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도 몇몇 여성들이 여행 체험을 했고, 그 기록을 남겼다. 비록 그 여행의 대개가 남성 가족 구성원에 의해서 거나 또는 가족 행사 차원으로 이뤄진 것이지만 규방에만 매여 있던 여성들에게는 평생에 남을 경험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따라서 비일상적인 체험은 여성들로 하여금 자유로운 여행에 대한 욕망을 드러내게 하면서 ‘비일상적인 자아’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과 함께 한 여행은 여성을 가족 안으로 환원시키는데, 가족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규범적 여성 자아의 재확인’이 이뤄지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여행에 대한 욕망과 규범적 행동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여행에서 돌아온 여성들은 일상으로 안전하게 복귀한다. 일상으로 돌아온 여성들은 여행 이전과 다름없어 보이지만 여행 이전과 이후의 여성 자아는 질적으로 변화한 상태라고 짐작해 보았고, 그 근거로써 이 여성들의 여행 기록을 들었다. 여성들의 여행 기록은 여행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는바 자아를 재발견하는 행위로서의 글쓰기이며, 자신의 삶에 이전과 다른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글쓰기인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봤을 때, 이 여행 기록은 ‘실존적 글쓰기’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조선후기, 여행 기록, 여성자아, 실존적 글쓰기, Late Joseon, travel writing style, Woman's ego, existential writing

Reference

1.

(1973) ꡔ국문학연구ꡕ 4, 효성여자대학교

2.

(197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2003) 한국고전여성문학의 세계,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4.

(1992) 「여성의 자기 진술의 양식과 문체의 발견을 위하여」 몸으로 글쓰기ꡕ 또 하나의 문화 9호,

5.

(2002) 이부인기행가사>에 나타난 19세기 여성의 여행체험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6.

(2002) 규방가사의 작품 세계와 미학,

7.

(1998) 고려속요의 여성화자, 한국고전문학회

8.

(2003) 錦行日記>와 女性의 여행체험,

9.

(2004) 여행과 근대 담론 속 여성의 위치 -여성의 서양 여행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회

10.

(1999) 1819세기 기행가사의 작품세계와 시대적 변모양상,

11.

(1980) 「의유당 일기의 작자에 대하여」 ꡔ수필문학연구ꡕ,

12.

(1973) ꡔ意幽堂日記의 文体考ꡕ,

13.

(1997) 조선중기의 유산기 문학,

14.

(1999) 한국 고전 여성작가 연구ꡕ,

15.

(2000) 금강산 기행가사의 전개 양상 연구,

16.

(2003) 金剛山遊山記’를 통해 본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여행 관행,

17.

(2003) 17세기 조선의 규방 현실에 대한 보고 한국고전연구,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