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영국과 한국에 있어서의 초기 해방 두 여성 작가들의 여성성의 실천적 의미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practical feminism in korean new women writer and England new women writer of Modern First period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6, v.0 no.16, pp.273-320
이덕화 (평택대학교)

Abstract

본 연구는 나혜석과 조지 엘리엇의 글쓰기와 삶을 통하여 드러난 여성성의 실천성의 의미를 비교하는데 있어서 여성주의적 접근 방법을 택한다. 여기서 여성주의라는 것은 역사를 관통하는 글쓰기와 삶에 녹아있는 모든 문제와 사건을 여성의 관점에서 보고 분석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채택한다. 여성주의 방법론은 학적으로서의 정당성과 객관성, 그 외의 실천적 가치 지향을 포괄한다. 그를 위해 분석 대상을 장르 구분 없이 글쓰기를 대상으로 하되 자서전적인 것으로 채택한다. 나혜석과 조지 엘리엇은 한 세대라고 하는 시간적 간격에도 불구하고, 여성으로서의 철저한 삶을 살고자 했던 나혜석은 한 시대 앞서간 조지 엘리엇보다 더 보수적인 사회적 장벽에 부딪쳐 불행한 삶으로 마감한다. 반면 조지 엘리엇은 작품의 성과에 있어서도, 또 인간적으로도 성공적인 삶을 살았다. 이 두 간극의 차이는 자본주의 발흥기에 있던 식민제국이었던 영국이라는 국가와 식민모국이었던 한국의 국가적 운명과도 관련이 있다. 조지 엘리엇과 나혜석은 여성으로서, 주체적인 여성과 여성으로서의 배려의 삶을 중요시하는 열린 주체로서 열심히 살았지만, 식민지 지배국인 영국의 여성과 한국의 여성의 삶이 전혀 상반되게 나타난다. 이것은 물질적인 부의 축적과 제도 개혁을 함께한 영국은 근대 영국을 향해 가는 전망이 개인에게까지 미쳐 긍정적인 자기 발전으로 나아가고, 타인을 함께 어우르는 삶으로 자리 잡은데 비해 한국에서는 절름발이식 개혁, 물질적인 부의 축적이나 제도 개혁은 이루어지지 않은 의식 개혁만을 부르짖고 식민지 지배 담론만을 모방하려고 한 양가성의 모순을 보여주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인 개개인은 자기부정에 이르고 이는 타인을 폄하하고 축출하는 극단의 행동으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나혜석 역시 자신 스스로도 양가성의 논리 속에서 모순을 보여주지만 그로 인한 희생자이기도 하다. 조지 엘리엇이 작품을 통해서 보여준 도덕적 엄격성과 삶을 통해서 보여준 자유분방함은 사회적 유기적 관계에서 인간의 진정한 관계라는 ‘숭고한 법’을 따른 것이나 나혜석에게 나타난 ‘슈퍼우면 콤플렉스’ 역시 남성 우월주의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으로 사회적 유기적 인간관계를 고려한 삶의 전략이다. 나혜석의 ‘슈퍼우먼’식 여성상은 경희 에서 나타난대로 거의 완벽한 여성상이다. 현모양처를 위한 가사일은 물론 자녀양육까지 완벽하개 하고 또 자기 실현을 위한 일도 철저히 해나가는 완벽한 여성상이다. 이것은 남성들과는 달리 여성들은 하나의 원칙을 고집하기 보다는 모든 것을 수용하고 포용하는 열린 주체로서 여성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조지 엘리엇이나 나혜석의 전략은 여성적 본능이라고 할 수 있는 살핌의 미학에 의해서, 여성 주체로서 중심이 아니라 다양을 통일적이게 하는 힘, ‘여성’이라는 형식 안으로 모으는 힘이며 그 힘의 역동적 표현인 것이다. 그 힘은 어느 한 지점에서 권력의 형태로 자리 잡지 않으며 끝없이 유동하는 여성성의 실천의 장이다.

keywords
여성주의 방법, 여성성, 국가적 운명, 숭고한 법칙, 슈퍼우먼 콤플렉스, Feministic approach, Patriarchy, Self confidence, Self deny.

참고문헌

1.

(1935) 파리의 여자 플로스 강의 물방앗간,

2.

(2001) 나혜석의 미술 동선,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동화출판공사

3.

(1978) The Location of Culture The Mill on the Floss Woman in the English novel, Morrison and Gibb Ltd CarlWinter Univ MartinsPress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