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7, v.0 no.17, pp.289-324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연구는 전후 한국여성을 둘러싼 성담론에 대한 최근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박경리의 대중적 장편소설 『성녀와 마녀』에 나타난 전후 성담론 수정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전후파 여성에 대한 계몽과 경계를 주도한 잡지 『여원』에 연재된 이 소설은 매체와 서사공식의 측면에서 전후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충실한 문학적 형상화로 읽힌다. 성녀와 마녀의 대립과 마녀의 징벌이라는 권선징악적 서사, 서구적 코드의 삽입, 체제 유지적 가치 추구 등은 남성에 대한 자발적 순종과 절대적 의존을 보여준다. 한편 인물에 대한 지나친 유형성, 정보의 노출과 잉여적 서술, 마녀적 인물의 위악성, 불안과 충동, 광기가 지배하는 구조, 열린 결말은 작품의 반어적 읽기를 가능하게 한다. 곧 『성녀와 마녀』는 1950년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충실한 멜로드라마가 아니라, 위악과 반어의 서사로서 당시 성담론을 해체하는 전복적 읽기를 의도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전쟁미망인이었던 작가 박경리가, 자신과 같은 전후 여성을 추방하고 경계하려 했던 당대 이데올로기를, 몇 겹의 의미를 덧씌워 해체시키는 균열의 지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분석 결과는 박경리 작품 전체를 새롭게 읽게 할 수 있는 중요한 코드가 될 것이며, 보수적이고 가부장적인 가치에 침윤되어 있다는 그간의 평가를 수정할 근거가 된다.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낭만적 사랑과 여성담론을 서사화하고 있는 1950-60년대 여성작가의 작품에 대한 해체적 분석 가능성을 시사한다.

keywords
박경리, 『성녀와 마녀』, 『여원』, 멜로드라마, 비극, 아프레걸(전후파여성), 1950년대 소설, 대중소설, 낭만적 사랑, 성담론, 악녀(마녀), 반어, Park Kyung-ni, 『Saint and Witch』, 『Yeowon』, melodrama, tragedy, apre-guerre girl(postwar woman), 1950s, popular novel, romantic love, sexual discourses, witch, irony

Reference

1.

박경리, (2003) 성녀와 마녀, 인디북

2.

박경리, (1980) 박경리문학전집12 - 표류도/성녀와 마녀,

3.

박경리, (1962) 반항정신의 소산,

4.

이명옥, (2003) 팜므파탈 - 치명적 유혹, 매혹당한 영혼들, 다빈치

5.

이임하, (2004) 계집은 어떻게 여성이 되었나, 서해문집

6.

이임하, (2004) 한국전쟁과 젠더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서해문집

7.

한국문학연구학회, (1996) 토지와 박경리의 문학, 솔

8.

여성문화이론연구소정신분석세미나팀, (2005) 다락방에서 타자를 만나다, 여이연

9.

리타 펠스키, (1998) 근대성과 페미니즘, 거름

10.

Toril Moi, (1994) 성과 텍스트의 정치학, 한신문화사

11.

이브 올리비에 마르땡, (1995) 프랑스대중소설사 서설, 평민사

12.

John Storey, (1994)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문화연구

13.

강현구, (2006) 1920-30년대 모델소설의 새로운 독법과 매혹적인 악녀상,

14.

곽종원, (1961) 봉건적 가풍과 새로운 가풍,

15.

김은하, (2006.12) 전후 국가 근대화와 ‘아프레 걸(전후여성)’ 표상의 의미,

16.

김현주, (2006.12) 아프레 걸의 주체와 방식과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의 구조,

17.

김훈수, (1999) 한국 멜로영화의 장르연구: 관습의 반복과 변형,

18.

백지연, (1995) 박경리 초기 소설 연구-가족 관계의 양상에 따른 여성인물의 정체성 탐색을 중심으로,

19.

백 철, (1957) 해방 후의 문학작품에 보이는 여인상,

20.

송희영, (2004) 천사 아니며 마녀? - 그림동화와 헐리우드 영화 속의 여성이미지,

21.

이덕화, (1996.12) 원초적 욕망을 갈구하는 인물들-박경리의 .土地. 이전의 문학세계, 연세대학교 여성연구소

22.

이상진, (2004) 대중소설의 반페미니즘적 경향, 박이정

23.

이정희, (2005) 전후의 성담론 연구 - 종전에서 4.19 이전 시기의 여성잡지와 전후세대 여성작가의 소설을 중심으로,

24.

조미숙, (2004.12) 소설의 드라마화 연구-내러티브와 담론에 나타나는 이데올로기양상 고찰,

25.

채진홍, (1994) 인간의 존엄과 생명의 확인-박경리론,

26.

최미진, (1999.12) 1960년대 대중소설의 서사전략 연구 - 정연희의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27.

최성희, (2005.겨울) 자유부인, 블랑쉬를 만나다: 전후 한국여성의 정체성과 미국 드라마의 수용,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