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식민지 시기 대중문화영웅의 변모과정 고찰 -최승희를 중심으로-사이의 갈등과 융합

Research to shaping processes Public hero in Colonial era -Centrally discuss to Choi, Senghee-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1, v.0 no.25, pp.239-264
김연숙 (경희대학교)

초록

이 논문은 식민지 시기 대중문화영웅의 변모과정을 고찰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는 최승희의 30~40년대 활동과 그를 둘러싼 담론의 특질을 살펴보고,어떻게 내셔널 심볼이 ‘조선(민족)’에서 ‘대동아(동양)’로 위치가 바뀌는지를설명하고자 했다. 우선 최승희는 신여성의 새로운 가능성(근대적 개인의 형성)과 전통적인 여성자질과 결합시키면서 새로운 대중문화영웅으로 만들어지기시작한다. 또 최승희의 무용은 명백히 근대적 산물이지만 ‘조선무용’이라는 전통성도 뚜렷했다. 이때 무용이 근대여성의 발화이자, 여성의 대상화라는 이중성을 그대로 드러냈던 것처럼 그녀로부터 표상된 ‘전통’은 조선을 드러내는 것이자 동시에 조선을 대상화시키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최승희가 식민지 조선인의 대표로 세계화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때 ‘민족’의의미가 변모하면서 ‘환상의 아시아’가 성립되는 모습이 드러났다. 결국 민족주의의 양의성/이중성이 최승희라는 근대적 개인이 대중문화영웅으로 만들어지고, 내셔널 심볼의 역할을 추동하는 기제였다. ‘최승희’는 개인(근대적 개인) /성차(젠더) / 육체(몸이라는 새로운 표상) / 지역(local로서의 동양)이라는 요소들이 ‘문화’ 영역에서 겹쳐지면서 구현되는 내셔널 심볼이었다.

keywords
Choi Senghee, national symbol, New Woman, individual, tradition, ethnicity, 'fantasy Asia', locality, the Orient, 최승희, 대중문화영웅, 내셔널 심볼, 민족, 신여성, 근대적 개인, 전통, ‘환상의아시아’, 지역, 동양

Abstract

This study is the process Choi, Senghee has became as the national symbol in terms of cultural nationalism. First, Choi, SeungHee showed the formation of the modern individual (New Woman) through nonverbal expressions (dance). The role of helpers and enlightened men was working importantly in this process. This made clear that because of unique feminine qualities of Choi, SeungHee was evaluated positively by them. Modern dance of Choi, Seunghee includes Korea's traditional elements distinctly. The tradition is strictly 'invention of tradition'. And the more accurately, means that the various elements of the culture were re-organized. Finally, the process investigated how Choi,Seunghee participated in the world stage. At that time, the meaning of ethnicity was transformed into 'fantasy Asia'. Eventually, 'Choi, Seunghee' as a signifiant was national symbol that were implemented and overlap in the area of culture with elements which the modern individual signifier/gender/new represented body/locality in the Orient.

keywords
Choi Senghee, national symbol, New Woman, individual, tradition, ethnicity, 'fantasy Asia', locality, the Orient, 최승희, 대중문화영웅, 내셔널 심볼, 민족, 신여성, 근대적 개인, 전통, ‘환상의아시아’, 지역, 동양

참고문헌

1.

신여성, 별건곤, 삼천리, <매일신보> 외

2.

1911~1968-세기의 춤꾼 최승희 자서전 불꽃, 자음과 모음, 2006, 64~176쪽.

3.

강이향, 생명의 춤 사랑의 춤, 지양사, 1993, 25~240쪽.

4.

김열규 외, 한국근대예술의 성립과 그 발전, 성신여대출판부, 1984, 77~90쪽.

5.

김채원, 최승희의 춤-계승과 변용, 민속원, 2008, 182~200쪽.

6.

김채현, 춤과 삶의 문화, 민음사, 1989, 130~160쪽.

7.

송수남 편, 한국근대 춤 인물사 1, 현대미학사, 1999. 154~155쪽.

8.

연구공간 수유+너머, 신여성-매체로 본 근대여성풍속사, 한겨레신문사, 2005, 107~144쪽.

9.

유미희, 20세기 마지막 페미니스트 최승희, 민속원, 2006, 147~219쪽.

10.

윤해동, 식민지의 회색지대, 역사비평사, 2004. 150~177쪽.

11.

이애순, 최승희 무용예술연구, 국학자료원, 2002, 167~201쪽.

12.

정병호, 춤추는 최승희-세계를 휘어잡은 조선여자, 뿌리깊은 나무, 1995, 23~255쪽.

13.

정수웅 편, 최승희; 격동의 시대를 살다간 어느 무용가의 생애와 예술, 눈빛, 1988, 331~336쪽.

14.

태혜숙 외, 한국의 식민지근대와 여성공간, 여이연, 2004, 219~224쪽.

15.

荒川章二外, 感性の近代, 岩波書店, 2002, 197~219쪽.

16.

우에노 치즈코上野千鶴子, 이선이 역, 내셔널리즘과 젠더. 박종철연구소, 1999, 22~96쪽.

17.

오오누키 에미코大貫惠美子, 이향철 역, 사쿠라가 지다 젊음도 지다-미의식과 군국주의, 모멘토, 2004, 194~269쪽.

18.

고야스 노부쿠니, 이승연 역, 동아ㆍ대동아ㆍ동아시아, 역사비평사, 2006, 29~34쪽.

19.

스즈키 사다미鈴木貞美, 김병찬ㆍ정재정 역, 일본의 문화내셔널리즘, 소화, 2008, 37~208쪽.

20.

나리타 류이치成田龍一外, 近代知の成立, 岩波書店, 2002, 121~161쪽.

21.

크리스티아데어, 김채현 역, 춤, 여성 그리고 남성, 이화여대출판부, 1996, 25~123쪽.

22.

George L. Mosse, 서강여성문학연구회 역, 내셔널리즘과 섹슈얼리티, 소명, 2004, 159~196쪽.

23.

Peter Brooks, 이봉지ㆍ한애경 역, 육체와 예술, 문학과 지성사, 2000, 44~150쪽.

24.

김영훈, 경계의 미학-최승희의 삶과 근대체험 , 비교문화연구 11집 2호, 서울대비교문화연구소, 2005, 173~201쪽.

25.

김채현, 식민지 근대화와 신여성 최초의 근대무용가 최승희-근대무용의 민족적 표현 , 역사비평, 1992.5, 239~244쪽.

26.

노영희, 최승희의 조선춤과 민족아(民族我) , 공연과 리뷰 70호, 2010.9, 43~58쪽.

27.

노영희, 일본문학과 언론의 반향을 통해 본 최승희 , 261~281쪽.

28.

변은진, 일제 전시 파시즘기 조선민중의 현실인식과 저항 ,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999, 35~78쪽.

29.

유미희, 최승희의 민족무용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 한국무용기록학회지 제6호, 한국무용기록학회, 2004, 115~127쪽.

30.

이양숙, 야나기 무네요시의 ‘조선예술론’에 대한 고찰 , 민족문학사연구31, 2006, 127~149쪽.

31.

이주미, 최승희의 ‘조선적인 것’과 ‘동양적인 것’ , 한민족문화연구 23집, 2007.11, 335~355쪽.

32.

장 신, 1930년대 언론의 상업화와 조선ㆍ동아일보의 선택 , 역사비평, 역사문제연구소, 2005. 봄, 164~196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