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Gender and Reconstruction of Popularity after Liberation -On Focusing the novels, August 15th in 1945, Wind in the Dawn, Liberatio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1, v.0 no.26, pp.225-271
KIM BOK SOON

Abstract

1945년 8․15 효풍 해방을 중심으로 해방 후 서사장르에서 대중성이재편되어 가는 양상 및 젠더 연관을 검토해 보았다. 정치사 중심, 사건사 중심,대표성 중심의 거대사적 관점에서가 아니라 대중들에 의한 ‘대중 유토피아 건설’ 의지 및 ‘대중 주권’이라는 측면에서 등장인물들의 선택 및 젠더 연관을 고찰해 보았다. 1945년 8․15 효풍 해방은 실천→모색→회피 및 테러라는 대중 주권의 변모과정을 드러내면서, 아직 ‘공적 영역’에 대한 ‘공통감각으로서의 재미’를 전제로 하는 재현 방법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는 1950년대 중․후반의 소설에 나타난 재미의 ‘사적 영역화’라는 양상과 매우 다른 지점이었다. 여성 주체 형상화에 있어서도 상당한 변모가 확인되었다. 1945년 8․15에서는 ‘정치적 여성 주체’이면서도 연애의 주체가 그려졌다면, 효풍에서는정치적 여성 주체로서는 탈락되며 연애의 주체로만 남게 된다. 해방에 이르면 정치적 주체도, 연애의 주체도 아닌 성적 대상화의 영역으로 밀려 나게 된다. 이 과정은 선정성과 폭력성, 야만성이 강화되는 과정이었다. 특히 좌익 대중 주권자인 화순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반공주의 가부장제’를 확인시켜 주었다. 이러한 과정들은 재미의 젠더화와 연관되어 있었다. 한편 이 시기에는 영어자본을 토대로 신분 상승 및 부의 축적을 도모하려는‘호모아메리카나’가 대거 등장하였는데, ‘지주-기회주의자’에 이은 ‘제2의 기회주의’적 인물유형으로 배치되었다. 한미관계는 동양/서양, 한국/미국, 여성/남성의 유비관계를 형성하면서 피식민지/신식민지 관계를 유포하고 있어 한미관계의 젠더적 구조를 확인시켜 주었다. 해방 후 한국에서의 대중 주권에 의한 대중 유토피아의 탐색은 정치 문제등의 공적 영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국가’가 배제되지 않았고, 젠더화라는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대중 유토피아 탐색의 한국적 특수성을 보여준다.

keywords
대중 유토피아, 대중 주권, 공통감각, 재미, 여성 주체, 호모아메리카나, 재미의젠더화, 한미관계의 젠더, mass utopia, mass sovereignty, common sense, gendered interest, femine subject, homo-americana, gendered Korean-American relationship

Reference

1.

김남천, 1945년 8․15, 작가들, 2007.

2.

염상섭, 효풍, 실천문학사, 1998.

3.

김동리, 해방, 김주현 엮음, 해방, 어문논총 제38~39호, 2003.

4.

김기협, 해방일기 1, 2, 너머북스, 2011.

5.

김동석, 한국현대소설의 비판적 언술양상, 소명출판, 2008.

6.

김복순, 1950년대 박화성 소설에서의 대중성의 재편과 젠더 , 대중서사연구 제26호, 2011. 229-261쪽.

7.

김복순,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소명출판, 2005.

8.

김복순, 제3세계관의 소설적 파탄 , 대중서사학회 신문연재소설팀 발표자료(미발간), 2009, 1~3쪽.

9.

김윤식 외, 해방공간의 문학운동과 문학의 현실인식 , 한울, 1989.

10.

김재용, 8․15 이후 염삼성의 활동과 효풍 의 문학사적 의미 , 효풍, 실천문학사, 1998, 340~366쪽.

11.

김한식, 김남천의 1945년 8․15 연구 , 현대소설연구 15, 2001, 229~247쪽.

12.

박은태, 김동리의 해방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2006, 277~296쪽.

13.

박헌호, 김동리의 해방에 나타난 이념과 통속성의 관계 ,현대소설연구17집, 2002, 252~270쪽.

14.

서준섭, 염상섭의 효풍에 나타난 정부 수립 직전의 사회, 문화적 풍경과 그 의미 , 한중인문학연구 28, 2009, 39~63쪽.

15.

서형범, 염상섭 효풍의 중도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고찰 , 한국학보115호, 2004, 52~88쪽.

16.

손미란, 전환기로서의 해방기 문학연구-김남천의 1945년 8․15를 중심으로 , 인문연구 58호, 2010, 190~222쪽.

17.

신형기, 해방기 소설의 구조, 태학사, 1992.

18.

조남현, 1948년과 염상섭의 이념적 지향 , 한국현대문학연구 6집, 1998, 293~325쪽.

19.

나카무라 유지로, 공통감각론, 민음사, 2003.

20.

Susan Buck Morss, 掘江則雄譯, 夢の世界とカタストロフィ, 岩波書店, 2008.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