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f Park Kyung-Ri's Novel in 1960-70's -Conflict and Reconciliation in the Family Relationship-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1, v.0 no.26, pp.273-298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지금까지 박경리 문학에 대한 연구는 토지를 중심으로 하여 초기 단편 소설과 몇몇 대표 장편소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각 작품에 대한독립적인 연구와 함께 각 작품의 상호텍스트성을 바탕으로 박경리 문학의 전모를 통합적으로 살피는 것 또한 박경리 문학세계를 밝히는데 필요한 과정이라 생각한다. 그러므로 초기 작품에 드러나는 속악한 현실에 대한 결벽한 성격을 가진 여성인물의 저항과 토지에서 완성되고 있는 생명사상이 1960․70년대 중․장편 소설에서 어떻게 연계되어 나타나고 있는 가 밝히는 것은 박경리 문학의 일관된 세계관의 도출과 결국 문학을 통해 작가가 궁극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밝히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 1960․70년대 발표된 박경리 소설에 드러난 표층 서사의 갈등은 멜로 드라마적 성격을 띠고 있지만 심층적으로 인물들의 연애의 실패는 애정 문제에 국한 된 것이 아닌 보다 근본적으로, 다층적인 차원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있다. 박경리의 1960․70년대 장편소설에 드러난 애정의 갈등과 해결과정은대중소설의 관점을 넘어 가족이데올로기에 대응하는 가족서사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박경리의 1960․70 년대 장편소설의 가족 서사적 특성을 통해 가족 갈등의원인과 해소 과정을 거치면서 드러난 완전한 사랑과 가족의 의미를 살펴보고이를 바탕으로 생명사상의 연속성을 밝혀보고자 한다.

keywords
melodrama, failure of love relationship, family conflict, the principle of pure-blooded, perfect love, meaning of family, idea of the life, 멜로드라마, 연애의 실패, 가족 갈등, 혈통주의, 해소, 완전한 사랑, 가족의 의미, 생명사상

Reference

1.

박경리, 내 마음은 호수 박경리문학전집 17, 지식산업사, 1982.

2.

박경리, 성녀와 마녀 박경리문학전집 12, 지식산업사, 1980.

3.

박경리, 푸른 운하 박경리문학전집 21, 지식산업사, 1988.

4.

박경리, 노을진 들녘 박경리문학전집 2, 지식산업사, 1979.

5.

박경리, 김약국의 딸들 박경리문학전집 11, 지식산업사, 1980.

6.

박경리, 가을에 온 여인 박경리문학전집 13, 지식산업사, 1980.

7.

박경리, 시장과 전장 박경리문학전집 10, 지식산업사, 1979.

8.

박경리, 녹지대 장편 <부산일보> 1964.6.1~1965.4.30 연재.

9.

박경리, 파시 박경리문학전집 3, 지식산업사, 1980.

10.

박경리, 타인들 박경리문학전집 9, 지식산업사, 1980.

11.

박경리, 영원한 반려 박경리문학전집 20, 지식산업사, 1987.

12.

박경리, 환상의 시기 박경리문학전집 10, 지식산업사, 1980.

13.

박경리, 나비와 엉겅퀴 박경리문학전집 22, 지식산업사, 1989.

14.

박경리, 창 박경리문학전집 10, 지식산업사, 1980.

15.

박경리, 단층 박경리문학전집 10, 지식산업사, 1986.

16.

박경리, 불모의 시기 , 가설을 위한 망상, 나남, 2007.

17.

고지혜, 박경리 소설의 낭만적 특성 연구 ,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8.

권명아, 가족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책세상, 2000.

19.

김미현, 혐오의 매혹-코맥 메카시의 피의 자오선, 2011년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미국학연구소 학술대회, 2011.4.2.

20.

김양희, 한국 가족의 갈등 연구, 중앙대학교출판부, 1993.

21.

김은경, 박경리 장편소설에 나타난 인물의 ‘가치’에 대한 태도와 정체성의 관련 양상 , 국어국문학 제146호 국어국문학회, 2007.

22.

김창식, 연애소설의 개념 , 대중문학연구회편 연애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998.

23.

김치수, 悲劇의 미학과 개인의 한 , 박경리, 조남현 편,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6.

24.

김현자, 엄경희, 한국 근현대문학에 나타난 가족담론의 전개와 그 의미: 현대시 , 한국언어문학 제51집, 2003, 459∼489쪽.

25.

문숙원,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소외양상 고찰: 196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6.

방은주, 박경리 장편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연구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7.

이금란, 가족 서사로 본 박경리 소설 연구-초기 단편을 중심으로 , 현대소설연구 제19호, 2003, 313∼334쪽.

28.

이정우/양일모, 근대적 개인의 탄생-일제하 소설들에서의 ‘주체’- , 시대와 철학 제17권 4호, 2006, 105∼136쪽.

29.

장미영, 박경리 소설 연구-갈등양상을 중심으로 ,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30.

재크린 살스비, 박찬길 역, 낭만적 사랑과 사회, 민음사, 1985.

31.

추광영, 제8장 1960~70년대의 한국의 사회변동과 매스 미디어 ,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86, 231∼271쪽.

32.

하정일, 주체성의 복원과 성찰의 서사 , 1960년대 문학연구, 깊은샘, 1998.

33.

Jaber F. Gubrium & James A. Holstein, 최연실․조은숙․성미애 역, 가족이란 무엇인가?, 도서출판 하우, 2002.

34.

Ngai,Sianne, UglyFeelings, Cambridge: HavardUP, 1982; Ahmed,Sara. The Cultural Politics of Emotion, NewYork: Routledge, 2004.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