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Secrets and lies, the pleasure of exposure and revealing -Based on the obscenity on the national modernized women’s popular novel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1, v.0 no.26, pp.299-330
Kim EunHa

Abstract

이 논문은 박완서의 도시의 흉년(1979)을 통해 여성의 글쓰기가 중산층가정과 여성을 둘러싼 당대 국가의 지배적 규범을 이탈 혹은 해체하는 방식에주목함으로써 그간 통속적 “여류”로 분류된 여성작가의 창작활동의 의미를 재해석한다. 당시 여성 대중소설은 치정, 범죄, 폭력, 광기, 비밀, 성적 난잡함 등자극적이고 엽기적인 소재들을 빈번하게 등장시킨다는 점에서 상업적 이익을위해 풍속을 저해하는 문제적 현상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여성대중소설의선정성을 상업주의가 아니라 순결주의, 과잉 도덕화를 강제하는 가부장적 국가에 대한 히스테릭한 저항으로 해석해야 한다. 여성대중소설은 주로 비밀스러운 사생활 영역을 충격적이고도 관능적으로 그린다는 점에서 상업적 가치를 고려하고 쓰여졌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감추어진 비밀이 폭로되거나 환상의 베일이 벗겨지는 과정에서 사회의 관습과 제도와 믿음들이 재검토되며 성의 정치학의 문제가 대두한다. 특히 이상적이고 평온해 보이지만 그 내부 속에서는 불만과 분노가 끓어올라 범죄로까지 발전되는 가정 및 사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문화사회적, 여성문학적 가치를 무시할 수 없다. 그러한 한 사례로 박완서의 도시의 흉년은 비밀과 거짓으로 가득한 중산층 가정의 진실을 들추어내려는 욕망으로 가득한 작품이다. 그녀는 한국의 중산층 가족을 소설이라는 검시대에 올려 놓고 비정하고도 날렵하게 해부한다. 중산층 가족은 한국 근대 프로젝트의 추진 동력이자, 그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오류와 균열을 봉합하는 구실을 했다는 점에서 이러한 선택은 의미심장하다. 박완서와 그녀의 문학은 흥미로운 배반의 사례이기도 하다. 박완서는 마흔 살의 나이에 주부 잡지인 여성동아를 통해 등단함으로써 여성 작가의 대명사가 되었다. 그러나 그녀는 여성을 국가 근대화를 주도해 나갈 계몽주체로 계도하기보다 근대화와 가부장적 국가의 허위와 억압성을 전시하고 폭로하는 전복적 글쓰기를 선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keywords
여성 대중소설, 선정성, 국가 근대화, 중산층 가정, 여성문학, 하위문화적 전복성, 박완서, 도시의 흉년(1979) 등, women's popular novels, obscenity, national modernization, middle-class families, women's literature, overset of sub-cultural, Park Wan Suh, "City of the Famine" (1979), etc

Reference

1.

박완서, 도시의 흉년, 세계사, 2002.

2.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3.

리타 펠스키, 김영찬․심진경 역, 근대성과 페미니즘, 거름출판사, 1998.

4.

린다 허치언, 김상구․윤여복 역, 패러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5.

5.

벤 싱어, 이위정 옮김, 멜로드라마와 모더니티, 문학동네, 2009.

6.

빌헬름 라이히, 오세철․문형구 역, 파시즘의 대중심리, 현상과 인식, 1987.

7.

이한구 편역, 칸트의 역사철학, 서광사, 1992.

8.

윤병로, 현대 여류 작가의 문학적 성향 , 한국현대소설의 탐구, 범우사, 1980.

9.

장정희, 선정소설과 여성, L.I.E, 2007.

10.

조한혜정, 성찰적 근대성과 페미니즘, 또 하나의 문화, 1998.

11.

한원영, 한국현대 신문연재소설연구, 국학자료원, 1999.

12.

크리스토퍼 래쉬 지음, 엘리자베스 래쉬 엮음, 오정화 역, 여성과 일상생활-사랑, 결혼, 그리고 페미니즘, 문학과지성사, 2004.

13.

김양선, 전후 여성문학 장의 형성 연구:여성잡지와 여성문학의 공생을 중심으로 , 여원연구-여성․교양․매체, 국학자료원, 2008.

14.

김예림, 1960년대 중후반 개발 내셔널리즘과 중산층 가정 판타지의 문화정치학 , 현대문학의 연구 제32집, 2007, 339∼375쪽.

15.

김은하, 남성성의 형성과 여성의 몸-1970년대 소설을 대상으로 , 내일을 여는 작가, 작가회의 출판부, 2004년 겨울.

16.

김은하, 완료된 전쟁과 끝나지 않은 이야기 , 실천문학, 실천문학사, 2001년 여름호(62호), 258-272쪽.

17.

다니자키 아쯔코, 현대 한국중산층 주부역할 형성과정에 관한 분석-6, 70년대 여성잡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8.

신 건, 1960~70년대 근대화 프로젝트와 여성담론에 관한 연구-여성단체협의회의 여성지 분석을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9.

오생근, 대중문학의 전개 , 권영민 엮음, 해방 40년의 문학4, 민음사, 1977.

20.

이동하, 집없는 시대의 꿈 , 세계의 문학, 1982. 겨울.

21.

이선옥, ‘여류현상문예’와 주부담론의 균열 , 여원연구-여성․교양․매체, 국학자료원, 2008.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