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불/가능한 싱글 라이프-번역가능성과 번역불가능성 사이의 삶과 죽음-

Im/possible single life -Life and death between the translatability and untranslatability-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1, v.0 no.26, pp.71-101
권명아 (동아대학교)

초록

가족이나 동료 관계와 같은 보호고치가 없이, 홀로 차가운 방 속에서 소멸해가는 존재들이 있다. IMF, 고용 불안정, 양극화, 청년 실업, 사회복지의 축소, 새로운 파시즘의 도래 등 내세울 수 있는 이유들은 무수히 많다. 생존 불가능성의 사회적, 구조적 요인을 규명하는 글들은 이미 너무 많다. 따라서 이글은 생존가능성과 불가능성의 경계에 대해 이와는 조금 다른 차원에서 접근해보고자 한다. 이글의 주안점은 첫째로는 싱글라이프의 기원과 귀착점, 그리고 그 젠더적인 차원에 대한 규명이다. 싱글 라이프라는 용어를 통해 이 글은단지 독신이라는 삶의 방식만이 아니라, 삶의 방식의 특이성(singularity)과작가로서의 존재 방식의 특이성의 문제를 함께 사유해보고자 한다. 후자의 문제와 관련해서, 이 글에서는 특히 번역가-작가로서 여성 작가의 존재 방식의문제를 함께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이 글에서는 여성이 싱글 라이프를 선택하는 것이 하나의 정치적 결단이었던 1980년대와 싱글 여성의 미래가 고작 “구호 대상”으로 간주되는 2011년의 낙차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 낙차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삶의 방식에 대한 선택과 결단의 정치적 함의와 이에 대한이론화의 필요성을 논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는 이를 토대로, 싱글 라이프의생존 불가능성이 단지 신자유주의적 구조하의 새로운 문제일 뿐 아니라, 번역가-작가라는 특정한 존재 방식과도 관련된 문제라는 점을 고찰할 것이다.

keywords
single life, singularity, the translater-poet, translatability, untranslatability survivability, 싱글 라이프, 번역가능성, 번역불가능성, 번역가-작가, 특이성, 배수아, 공지영, 신경숙, 최승자, 최고은

Abstract

There are beings who vanish in cold rooms alone without a protective layer from family or partners. They vanish not only from private life but from public spheres of career and work. Previous literature has focused on diverse socio-structural factors that make survival impossible including financial crisis, unstable employment,decreasing social welfare, the advent of Neo-fascism, etc. This paper explores the boundary of survivability and the origin and current situation of single life from the viewpoint of gender,especially focusing on the im/possible single life of women writers. The term 'single life' refers to lifestyle but also conveys 'singularity' of subject position and the nature of the existence of female writers as translator-poets (by Jacques Derrida).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single life of women from the late 1980s to now, I investigate how to theorize the political implications involved in women's choice and resolution of their lifestyles and power. In this investigation, I keep in mind also the attitudinal change over feminism in Korea. Just 20 years ago, many Korean scholars had a strong interest in gender issues and they argued, "We need more feminism!" However, nowadays, feminism is no longer the center of attention. This is the case not only in scholarly fields but also in mass media and the public sphere. The dominant perspective on feminism among ordinary people is "We've had enough!" or "No more feminism!" Yet the question “Who does ‘we’refer to in that sentence” challenges that perspective. The more critical issue to handle is from where the attitudinal change over feminism originates, especially regarding power, political position,and the representation of womanhood.

keywords
single life, singularity, the translater-poet, translatability, untranslatability survivability, 싱글 라이프, 번역가능성, 번역불가능성, 번역가-작가, 특이성, 배수아, 공지영, 신경숙, 최승자, 최고은

참고문헌

1.

권명아, 죽음과 생존을 묻다: 애도, 우정, 공동체 ,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자의 죽음: 용산에서 노무현 그리고 김대중까지 죽음과 기억의 정치학, 당비의생각3, 산책자, 2009.

2.

권명아, 맨몸의 숭고와 비판적 삶의 종말 , 작가세계, 2009년 가을호.

3.

권명아, 파시즘의 해방의 정치의 딜레마 , 문화과학, 2009년 여름호.

4.

권명아, “Coloniality, obscenity and Zola”, AIZEN,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2011년 10월 부산대학교 발표문.

5.

배수아, 일요일 스키야키 식당, 문학과지성사, 2003.

6.

배수아, 북쪽거실, 문학과지성사, 2009.

7.

배수아, 올빼미의 없음, 창비, 2010.

8.

벨 훅스, 경계 넘기를 가르치기, 윤은진 옮김, 모티브 북, 2008.

9.

우에노 치즈코, 나일등 옮김, 화려한 싱글, 돌아온 싱글, 언젠간 싱글, 이덴슬리벨, 2007.

10.

조한혜정, 다시 마을이다, 도서출판 또하나의문화, 2007.

11.

주디스 버틀러, 젠더트러블, 조현준 옮김, 문학동네, 2008.

12.

진은영, 우리는 매일매일, 문학과지성사, 2008.

13.

최승자, 이 時代의 사랑, 문학과지성사, 1981.

14.

최영미, 서른, 잔치는 끝났다, 창작과비평사, 1994.

15.

Jacques Derrida, “Language is never owned”, Sovereignties in Question:The Poetics of Paul Celan, Fordham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5, pp.99~101.

16.

Judith Butler, “Survivability, Vulnerability, Affect”, Frames of war: When Is Life Grievable?, VERSO: London·New York, 2009, pp.33~63.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