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of the Study on Korean women's modern literatur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1, v.0 no.26, pp.41-69
Lee, Young-ah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2000년대 이후 진행된 식민지 근대 시기의 여성문학연구에대해 개괄하고, 그 성격 및 한계와 전망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했다. 오늘날 여성문학연구는 많은 난제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 여성문학 연구가보다 구체적이고 민감하게 현재적 문제의식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필요하다. 둘째, 여성문학 연구가 여성작가ㆍ작품의 범주 내부에서만 만들어지는 것에 대한 극복이 요구된다. 셋째, 불연속적이고 단편적인 연구에서 벗어나본격적인 여성문학사의 기술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아직까지도 여성문학연구의 구심점이 될 만한 총체적인 한국근대여성문학사가 기술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현재 한국 여성문학론이 부딪히고 있는 가장 큰 문제이다. 여성문학사가 산출되기 어려운 것은 여성문학의 흐름에대한 심도 있는 접근을 할 만한 연구환경이 여성문학 연구자들에게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문학연구 분야에 여성연구자들의 수는 90년대 이후 급속도로 증가했으나, 아직도 ‘여성’ 문학연구자들과 ‘여성문학’ 연구자들은 ‘주변부’에 위치하고있다. 여성문학 연구자들이 여성해방의 근원적 목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면여성문학의 연구를 통해서 뿐 아니라 지금의 ‘우리’가 처한 현실에 대한 실천적 연대와 투쟁 방안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하다.

keywords
Korean women's modern literature, the study of Korean women's modern literature, feminism, academic conditions, colonial modernity, 여성문학, 여성문학연구, 여성문학사, 여성연구자, 연구환경, 식민지 근대성

Reference

1.

고은미 외, 여성문학의 이해, 태학사, 2007.

2.

권보드래, 연애의 시대, 현실문화연구, 2003.

3.

김경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푸른역사, 2004.

4.

김미지, 누가 하이칼라 여성을 데리고 사누-여학생과 연애, 살림, 2005.

5.

김미현, 한국여성소설과 페미니즘, 신구문화사, 1996.

6.

김수진, 신여성, 근대의 과잉, 소명출판, 2009.

7.

김윤식, 염상섭연구, 서울대출판부, 1987.

8.

김주리, 모던걸, 여우 목도리를 버려라: 근대적 패션의 풍경, 살림, 2005.

9.

김진송,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현실문화연구, 1999.

10.

노지승, 유혹자와 희생양, 예옥, 2009.

11.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편, 한국문학과 여성, 아세아문화사, 2000.

12.

명지대 인문과학연구소 편, 문학 속의 여성, 월인, 2002.

13.

문옥표 외, 신여성, 청년사, 2003.

14.

박정애, 여성문학의 타협과 저항, 강원대출판부, 2008.

15.

서강여성문학연구회, 한국문학과 모성성, 태학사, 1998.

16.

서정자, 한국근대여성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1999.

17.

엄미옥, 여학생 근대를 만나다, 역락, 2011.

18.

연구 공간 수유+너머 근대매체 연구팀, 신여성, 한겨레 신문사, 2005.

19.

이경훈, 오빠의 탄생, 문학과 지성사, 2003.

20.

이덕화, 한국여성문학의 이해, 예림기획, 2003.

21.

이명희, 현대문학과 여성, 깊은샘, 1998.

22.

이상경, 한국근대여성문학사론, 소명출판, 2002.

23.

이영아, 예쁜 여자 만들기, 푸른역사, 2011.

24.

정영자, 한국현대여성문학사 , 세종출판사, 2010.

25.

조미숙, 여성의 문학, 문학의 여성, 한국학술정보, 2010.

26.

최혜실, 신여성들은 무엇을 꿈꾸었는가, 생각의 나무, 2000.

27.

태혜숙 외, 식민지 근대와 여성공간, 여이연, 2004.

28.

한국여성문학학회, 한국 여성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소명출판, 2008.

29.

강신주, 김명순, 김원주, 나혜석의 시 , 국어교육 제97호, 1998, 349~367쪽.

30.

강인숙, 1930년대 여류작가 작품 경향 연구: 박화성, 강경애, 백신애에 나타난 저항의식을 중심으로 ,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82.

31.

권명아, 식민지 경험과 여성의 정체성 , 한국근대문학연구 제6권 제1호, 2005, 71~114쪽.

32.

권영아, 근대문학 초기 여성소설 연구 , 울산대 석사학위논문, 1999.

33.

김경희, 193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자기인식 양상 연구 , 동국대석사학위논문, 2004.

34.

김동식, 풍속ㆍ문학ㆍ문학사 , 민족문학사연구 제19호, 민족문학사연구소, 2001, 71~105쪽.

35.

김명순, 1920년대 초기 소설에 나타난 신여성 형상화 연구: 김동인, 염상섭, 현진건을 중심으로 , 목포대 석사학위논문, 2003.

36.

김미영, 1920년대 여성담론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3.

37.

김민정, 일제시대 여성문학에 나타난 구여성의 정체성 , 여성문학연구제14호, 2005, 197~219쪽.

38.

김복순, 강경애의 ‘프로-여성적 플롯’의 특징 , 한국현대문학연구 제25호, 2008, 311~343쪽.

39.

김복순, 전향자의 역사 다시쓰기-최정희의 <인간사>를 중심으로 , 여성문학연구 제24호, 2010, 225~256쪽.

40.

김양선, 근대 여성 작가의 지식/지성 생산에 대한 계보학적 탐색 , 여성문학연구 제25호, 2010, 7~30쪽.

41.

김양선, 근대 여성문학의 형성 원리 연구 , 어문연구 제35권 제4호, 2007, 241~263쪽.

42.

김양선, 식민지 시대 민족의 자기구성방식과 여성 , 한국근대문학연구 제8호, 2003, 47~74쪽.

43.

김은하, 1930년대 리얼리즘 소설 연구 , 중앙대 석사학위논문, 1993.

44.

김인경,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모더니즘적 특성 연구 , 구보학보 제2권, 2005, 175~204쪽.

45.

김장미, 강경애ㆍ박화성 소설의 동반자적 성격에 대한 비교 연구 , 서울대석사학위논문, 2005.

46.

김지영, 근대적 글쓰기의 제도화 과정과 변환 양상 연구 , 서강대 박사학위논문, 2009.

47.

김진희, 1930년대 식민지 근대의 불모성과 여성 , 여성문학연구 제7호, 2002, 217~242쪽.

48.

남은혜, 김명순 문학 연구 ,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08.

49.

노지승, 한국근대소설의 여성 표상에 관한 연구 ,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5.

50.

문미영, 김명순 문학연구 , 서강대 석사학위논문, 2006.

51.

박숙자, 1920년대 사생활의 공론화와 젠더화 , 한국근대문학연구 제13호, 2006, 179~198쪽.

52.

박인숙, 193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여성문제인식 연구: 박화성, 강경애, 백신애 소설을 중심으로 , 한성대 석사학위논문, 1995.

53.

박정애, 근대적 주체의 시선에 포착된 타자들 , 여성문학연구 제6호, 2001, 54~80쪽.

54.

박진희, 백신애 소설의 아이러니 연구 ,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2007.

55.

배효진, 1920년대 전기 소설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 세종대 박사학위논문, 2009.

56.

서정자, 일제강점기 한국여류소설연구 ,숙명여대 박사학위논문, 1988.

57.

서지영, 산책ㆍ응시ㆍ젠더-1920~30년대 여성 산책자의 존재 방식 , 한국근대문학연구 제21호, 2010, 219~259쪽.

58.

송명희, 근대소설에 나타난 신여성 모티프 ,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1권 2호, 2010, 1~27쪽.

59.

신달자, 1920년대 여류시 연구 , 숙명여대 석사학위논문, 1980.

60.

신수정,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여성의 재현 양상 연구 ,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3.

61.

신현주, 강경애, 백신애 비교연구 , 국민대 석사학위논문, 1996.

62.

심진경, 1930년대 후반 장편소설의 여성 섹슈얼리티 연구 , 서강대 박사학위논문, 2002.

63.

심진경, 문단의 여류와 여류 문단 , 상허학보 제13권, 2004, 277~316쪽.

64.

심진경, 최정희 문학의 여성성 , 한국근대문학연구 제7권 제1호, 2006, 93~120쪽.

65.

안혜련, 1920년대 <여성적 글쓰기>의 모색 , 한국언어문학 제50호, 2003, 307~328쪽.

66.

오상인, 1930년대 한국여류소설연구 , 영남대 석사학위논문, 1989.

67.

유상진, 강경애, 백신애 소설의 대비 연구 ,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1987.

68.

윤광옥, 근대 형성기 여성문학에 나타난 가족 연구 , 동덕여대 박사학위논문, 2008.

69.

윤옥희, 1930년대 여성 작가 소설 연구 ,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997.

70.

이경하, 여성문학사 서술의 필요성에 관하여 , 한국여성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소명출판, 2008, 41~60쪽.

71.

이상경, 임순득의 소설 <대모>와 일제 말기의 여성문학 , 여성문학연구제8호, 2002, 331~384쪽.

72.

이수현, 1930년대 경향소설의 이중서사 연구: 이기영의 <고향>과 강경애의 <인간문제>를 중심으로 , 서강대 석사학위논문, 2002.

73.

이승아, 1930년대 여성작가의 공간의식 연구 ,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2000.

74.

이영숙, 1930년대 여성작가의 여성문제 인식에 관한 연구 ,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88.

75.

이영아, 신소설에 나타난 육체인식과 형상화 방식 연구 ,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5.

76.

이영아, 신소설의 개화기 여성상 연구 ,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00.

77.

이유진, 1920년대 한국 여성시 연구: 김명순, 김일엽, 나혜석의 시를 중심으로 , 부산외대 석사학위논문, 1996.

78.

이태숙, 여성성의 근대적 경험양상 ,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2000.

79.

이혜령, 한국 근대소설의 섹슈얼리티 연구 ,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2000.

80.

임선애, 1930년대 한국여류소설 연구 , 효성여대 박사학위논문, 1992.

81.

임선애, 여성작가와 하층민의 재현양상 , 인문과학연구 제6호, 2005, 335~364쪽.

82.

전희진, 식민지 초기 신여성의 공적 영역으로의 초대와 그 실재 , 사회와 역사 제88집, 2010, 229~265쪽.

83.

정수희, 1930년대 여성작가의 여성의식 연구 , 한국외대 석사학위논문, 2006.

84.

정영화, 1930년대 여성문학의 근대성 인식양상 연구 ,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2003.

85.

정은경, 백신애 문학의 낭만성 연구 , 한국근대문학연구 제23호, 2011, 285~320쪽.

86.

천정환, 신자유주의 대학체제의 평가제도와 글쓰기 , 역사비평 제92호, 2010, 185~209쪽.

87.

최학송, 강경애 소설의 주제와 변모양상 연구 , 인하대 박사학위논문, 2009.

88.

하신애, 최정희 문학의 모성 주체 연구 ,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09.

89.

허유진, 1930년대 여성소설 연구 , 경원대 석사학위논문, 1995.

90.

황수진, 한국근대소설에 나타난 신여성상 연구 , 건국대 박사학위논문, 1999.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