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1980년대 여성해방운동과 번역의 역설

1980’s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Korea and the Paradox of translation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2, v.0 no.28, pp.239-264
허윤 (이화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논문은 번역서를 통해 1980년대 한국 여성해방운동의 탈식민성에 대해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80년대 여성해방운동은 ‘제2의 물결’의 영향권하에서 출발한다. 이때 영미의 여성해방이론은 수용해야 할 전범인 동시에 부정해야 할 타자로 기능한다. 이로 인해 여성해방이론의 번역은 단순한 수용이아니라 모방과 오염이 일어나고, 새로운 정치적 가능성이 생겨나는 혼종성의공간이 된다. 교양교육의 일환으로 전개된 여성학 강좌에서는 에세이와 같은 가벼운 읽을거리를 교재로 사용한다. 이는 학습자의 눈높이와 생활환경 등에 맞추어 여성학적 문제의식을 품게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에세이류의번역서는 의식 각성의 계기를 제공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여성해방운동진영에서 번역을 기획하는 경우도 있다. 사회변혁 운동 진영에서는 필요에 따라 여성해방운동에 관한 편역서를 펴내는 등 번역의 수신자가 오히려 발신자가 되는 기획을 진행한다. 발신자와 수신자의 위치가 뒤섞이고 역전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마르크스주의, 제3세계라는 또 하나의 보편을 획득하기 위한 기획 속에서 탈구된다. 순수와 비순수의 구도는 원본-가짜의 이분법을 무한히 반복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제3세계 여성을 낭만화, 전형화함으로써 운동의 도구로 소비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탈식민적 극복을 전제로한 한국의 여성해방운동이 다시금 이분법적 구도로 환원되는 역설이 번역서를통해 드러나는 것이다.

keywords
번역, 1980년대 여성해방운동, 제2의 물결, 마르크스주의 여성해방이론, 혼종성, 1980’s feminism in Korea, the Second Wave, translation, hybridity, Women’s Liberation Movement

참고문헌

1.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출판물 총목록, 1980~1990.

2.

김지해 편, 세계여성운동 1, 동녘, 1987.

3.

김지해 편, 세계여성운동 2, 동녘, 1988.

4.

여성편집위원회, 여성 1~3, 창작사, 1985~1989.

5.

크리스찬아카데미 편, 여성문화의 도전, 삼성출판사, 1975.

6.

한국여성개발원, 여성관련문헌종합목록, 1988.

7.

한국여성개발원, 여성관련문헌해제서지 1945-1984, 1985.

8.

한국여성개발원, 여성연구 1984년 겨울호.

9.

한국여성연구회 문학분과, 여성해방문학의 논리, 창비, 1990.

10.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 1~3집, 1985~1987.

11.

다나카 미치코, 미혼의 당신에게, 김희은 역, 백산서당, 1983.

12.

C. 다울링, 신데렐라 콤플렉스, 홍수원 역, 우아당, 1982.

13.

레닌 외, 여성해방론, 조금안 역, 동녘, 1988.

14.

마츠이 야요리, 무엇이 여성해방인가, 김혜영 역, 백산서당, 1981.

15.

M. 미드, 남성과 여성, 이경식 역, 범우사, 1980.

16.

A. 베벨, 여성론, 이순예 역, 까치, 1987.

17.

F. 엥겔스, 가족의 기원, 김대웅 역, 아침, 1985.

18.

하트만 외, 여성해방이론의 쟁점, 김애령 외 역, 태암, 1989.

19.

강이수, 「불행한 결혼인가, 불가능한 결혼인가」, 여성과 사회 1호, 1990,379~389쪽.

20.

김경애, 「근대 남성지식인 소춘 김기전의 여성해방론」, 여성과 역사 12집,2010, 111~149쪽.

21.

김양선, 「사회주의 여성해방론의 소설화와 그 한계」, 우리말글 36집,2006, 181~202쪽.

22.

김영희, 「여성문학론의 비판적 검토」, 창작과 비평 1988년 가을호, 188~205쪽.

23.

김혜정, 「독서대중화 운동의 역사적 전개과정 검토」, 독서연구 27, 2012,9~41쪽.

24.

서광선, 「한국여성연구원, 그 출발 이전과 이후: 한 증언」, 한국여성연구원30년: 1977-2007,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8.

25.

민족민주운동연구소 여성분과, 「80년대 여성운동과 90년대 여성운동의 전망1」, 정세연구 9호, 1990, 97~106쪽.

26.

민족민주운동연구소 여성분과, 「80년대 여성운동과 90년대 여성운동의 전망2」, 정세연구 10호, 1990, 46~75쪽.

27.

박형준, 「전환기 사회운동의 성격」, 오늘의 한국사회, 사회비평사, 1993,416~422쪽.

28.

오일환, 「1980년대 이후 한국 사회운동과 정치발전」, 한국정치외교사논총21, 2000, 199~226쪽.

29.

윤금선, 「1980년대 전반기 독서운동 사례와 독서경향 분석」, 독서연구 19,2008, 229~277쪽.

30.

이나영,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섹슈얼리티」, 경제와 사회 82호, 2009년 여름호, 10~38쪽.

31.

이순예, 「여성문학의 흐름과 쟁점」, 여성운동과 문학2 , 풀빛, 1990, 268~292쪽.

32.

이승희, 「한국여성운동의 현단계」, 여성운동과 문학2 , 풀빛, 1990, 237~267쪽.

33.

이명호 외, 「미국 여성비평의 전개과정」, 세계의 문학 1988년 봄호, 268~300쪽.

34.

조주현, 「대학여성학 과목분석을 통해 본 한국 여성학 현황과 전망」, 사회과학 논총 15집, 1996, 259~274쪽.

35.

조주현,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 80~90년대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12권, 1996, 138~179쪽.

36.

조 형 외, 「또 하나의 문화를 펴내며」, 평등한 부모 자유로운 아이 , 또 하나의 문화, 1985, 12~28쪽.

37.

조 형 외, 「AWRAN의 지상논단」, 평등한 부모 자유로운 아이 , 또 하나의 문화, 1985, 266~275쪽.

38.

홍창수, 「서구 페미니즘 사상의 근대적 수용 연구」, 상허학보 13집, 2004,317~362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