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The Donated Property from Aged Parents and Dis/Reorganization of Family -An Analysis on the Aged Generations’ Anticipation toward the Children and their Family Values focusing on the Folklore Type No. 411-5, ‘an Adoptive son than bloody daughter’-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2, v.0 no.28, pp.369-412
Keysook Choe

Abstract

이 논문은 고령화 사회를 맞아, 전통사회와는 달리 노인의 사회문화적 위상이 달라짐에 따라, 자존감의 위기를 겪는 노인 세대의 자식에 대한 기대 수준과 가족관의 문제에 대해 새로운 담론의 지형을 재구하기 위한 자원탐색적 연구로서의 시작되었다. 특히 ‘재산증여’를 매개로 한 노인 부모와 자식 세대의관계 변화에 주목하여, 가족 관계의 질적 변화요인으로서의 돈의 문제, 맹목적인 혈연적 유대보다는 부모에 대한 충실성과 보호가능성을 담보하는 효에 대한 질적 기대가 강조되는 노인의 심리와 상상력의 추이에 주목했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노인의 자식에 대한 기대 수준이 상상적 내러티브의 차원에서 작동하는 ‘구비설화’의 유형인 ‘친딸보다 나은 양아들(양아들이 효도하기/411-5)’유형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친자’의 불효는 부모와의 동거가 장기화되거나 재산 증여를 기점으로 노골적으로 행동화되었다. 자녀는 재산 증여의 정도에 따라 부모에 대한 책임감이가중된다는 판단을 내세웠지만, 심리적으로는 모두 자신을 부모에 대한 애정결핍의 피해자로 위치지음으로써, 불효에 대한 심리적 면죄의 논리를 생성했다. 재산을 자식에게 증여한 부모는 자녀로부터 ‘잉여 가족’으로 처우되었으며,경제적ㆍ사회적 위기에 직면했다. 그러나 부모는 이로 인한 고통을 내적 감정의 문제로 수용했으며, 가출할지언정 자녀에게 불만을 토로하거나 효를 강요하지는 않았다. 해당 설화 유형에서 노인 부모는 자신을 불편해하는 자식과의 동거보다는유랑ㆍ걸식ㆍ자살을 택함으로써 사실상 가족의 해체를 행동화했다. 나아가 자신을 환대하는 타인의 처신을 ‘진정한 효’로 간주하고 양자로 삼음으로써, 가족의 재구성을 도모했다. 그 과정에서 ‘양자’가 ‘자식 사랑’보다 ‘효’를 중시하는태도를 보여주기를 기대하는 극단화된 불안 심리를 보여주었다. 한편으로, 양자와 친자 사이에 재산권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친자의 요구와 계략에 의해파양되는 가족의 해체가 발생했다. 해당 설화의 구연자중 90%가 60대 이상의 노인인 만큼, 여기에는 노인 세대의 효에 대한 기대 수준과 자식의 효심에 대한 불안 심리가 투영된 상상의논리가 작동하고 있음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해당 설화는 노인 부모에게 ‘진정한 효’란 자식이 그 자식의 생명보다 부모에 대한 관심과 애정, 배려를 우선구비설화에 나타난 노인 세대의 자식에 대한 기대 수준과 가족관∙최기숙 371시하는 수준의 봉양과 존중을 의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동시에 재산 증여가가족의 해체와 재구성의 매개로 작용함으로써, 혈연 우선주의를 넘어선 인간적 애정에 대한 기대와 돌봄의 가족 관계에 대한 기대가 요구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folktale, filial duty, unfilial child, family, old person, donated property, family conflict, adopted son, biological child, blood tie, 구비설화, 효도, 불효, 가족, 노인, 재산증여, 가족갈등, 양자, 친자, 혈연

Reference

1.

한국구비문학대계

2.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 문학동네, 2009, 1~504쪽.

3.

문영소ㆍ김양희, 「한국가족의 재산상속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권 2호, 한국가정관리학회, 1999.

4.

박영민, 「老妓의 경제 현실과 섹슈얼리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3집,2011, 157~192쪽.

5.

송현애,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과 ‘노년기’ 연구-가정학전문학술지를 중심으로 한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권 3호, 한국가정관리학회, 2008, 79~99쪽.

6.

원영희ㆍ모선희, 「한국노년학의 사회학 연구동향 분석」, 한국노년학 28권4호, 한국노년학회, 2008, 753~772쪽.

7.

이경욱ㆍ허소영, 「포커스 집단을 통한 도시 노인의 삶의 질 개념 연구」, 한국노년학 , 28호 2권, 한국노년학회, 2008, 269~290쪽.

8.

이수곤, 「조선 후기 시가에 나타난 노년 여성의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3집, 2011, 57~86쪽.

9.

이신숙, 「노년기 여성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한국노년학 29집,2009, 547~562쪽.

10.

이인경, 「구비설화를 통해 본 老後의 삶과 가족」, 구비문학연구 17집, 한국구비문학회, 2003, 409~450쪽.

11.

장휘숙, 「성공적 노화에 이르는 길-성공적 노화의 개념과 전략」, <한국심리학회 추계심포지움 및 워크샵 , 2007, 15~30쪽.

12.

정명숙,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노인복지연구 37호,2007, 249~273쪽.

13.

정영숙, 「한국여성노인의 잘 나이들기: 성숙한 노화 개념의 탐색」,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3집, 2011, 5~56쪽.

14.

조병은, 「노년기 가족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5집, 한국가정관리학회, 59~75쪽.

15.

최기숙, 「노년기 여성적 삶의 공론장, 17~19세기 여성 대상 壽序」,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3집, 2011, 87~130쪽.

16.

최기숙, 「‘효/불효’ 설화에 나타난 가족 관계의 문학적 상상과 문화 문법에관한 비판적 독해: ‘불효를 이용해 효도하게 하기(431-1)’ 유형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31집, 한국구비문학회, 2010, 115~156쪽.

17.

Foucault, Michael, 감시와 처벌 , 나남, 오생근 옮김, 2003, 1~464쪽.

18.

Thane, Pat, edited, A Hostory of Old Age, Thames & Hudson Ltd, London: 2005, pp. 1~320.

19.

Minois, Georges, 박규현ㆍ김소라 옮김, 노년의 역사 , 아모르문디, 2010,1~560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