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조선후기 여성 생활의 규범화 -탈규범화 관계에 대한 연구 -‘세속(세상)의 부녀자’ 담론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Moralizing-Demoralizing of Women in the Late Chosun Dynasty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Mundane Women'-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2, v.0 no.28, pp.331-367
류정월 (인천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후기 양반 여성의 삶과 유교화의 관계, 즉 여성과 유교적 규범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조선후기 양반 여성을추모하는 제문, 행장, 묘지명 등과 여성을 교육하기 위한 규훈서에 나타나는,‘세속(세상)의 부녀자’라는 표현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들은 부정적으로 표현되는데, 여성 관련 규범을 지키지 않거나 이에 어긋나는 행동을 한다고 판단되기때문이다. 본 논의는 ‘세속의 부녀자’ 담론에서 미시적으로 드러나는 여성-규범의 관계와 그 규범의 실천적 위상, 그러한 위상이 드러나는 이유 등에 대해분석한다. 나아가 본고는 조선후기 여성들의 삶을 유교적 규범 혹은 도덕과의관계에서 체계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세속의 부녀자’ 담론을 조선후기 문화라는 큰 틀 내에서 해석한다. 그때 ‘세속의 부녀자’ 담론을 대상으로 도출된 논의들에 좀 더 선명한 의미가 부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문, 행장, 묘지명에서는 대상 인물이 세속의 여성들과 달리 긍정적 자질을가진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그리고 규훈서에서는 여성이 지향해야 할 규범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세속의 부녀자에 대해 언급한다. 여기에는 개별/집단, 부덕/실덕, 규범/탈규범의 약호들이 개입한다. 일련의 항은 서로 관련을가지는데, 소수의 대상 여성들은 규범을 따르며, 다수의 세속 여성들은 규범을따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개별:집단, 소수:다수=부덕:실덕, 규범:탈규범, 부덕(婦德):부덕(不德)으로 표현 가능하다. 반(비)규범적 여성, 즉 탈규범적 여성은 여성 관련 규범을 따르지 않거나 이에 반하는 행위를 하는 인물들이다. 이들이 위반하는 규범의 내용은 언행․종교․가사 노동․경제적 차원 등으로, 일상의 영역에 걸쳐 광범하게 나타난다. 세속의 부녀자들이 일상-가사 영역에서 탈규범화 되었다는 것은 이들이 모든영역에서 탈규범화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조선후기 문화에서 소통된 다른 대표적인 여성 담론인 열녀 담론을 참고하면서 논의를 진행한다. 결국 조선후기 여성-규범의 관계에 대해서 언급할 때, 한 마디로 이들이 규범화되었다던가 탈규범화되었다고 말할 수 없다. 이들은 여공을 비롯한 일상적 차원에서는 탈규범화의 경향을, 열절과 같은 성적 차원에서는 규범화의 경향을 보인다. 또한 이들을 제약했던 유교적 규범의 위상에 대해서도 한 마디로언급할 수는 없다. 일상-여공 관련 규범은 규약적 차원에서는 확고하지만 실천력은 미약했으며, 성적 규범은 규약적 차원에서는 미약하지만 실천력은 확고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두 가지 상이한 차원들이 내재함으로써 여성들은 규범에 대해 역동적이면서도 다양한 태도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
moralizing-demoralizing, women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discourses of 'mundane women', the discourses of chaste women, rule, practice, funeral odes, memorial inscriptions, texts of moral standards for women, 조선후기 여성, 세속의 부녀자, 제문, 행장, 묘지명, 규훈서, 유교화, 규범화, 탈규범화, 규범, 규약, 실천(행동), 일상-여공, 열녀 담론

참고문헌

1.

정형지․김경미 외,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1권, 4권, 보고사, 2006.

2.

황수연 외, 18세기 여성생활사자료집 1~8권, 보고사, 2010.

3.

심 재, 송천필담(신익철 외 3인 역, 교감역주 송천필담, 보고사, 2009).

4.

이경하 주해, 내훈, 한길사, 2011.

5.

이숙인 역주, 여사서, 여이연, 2003.

6.

이 익, 성호사설(한국고전종합DB).

7.

이훈석 편역, 한국의 여훈, 대원사, 1990.

8.

정약용, 다산시문집(한국고전종합DB).

9.

P. B. 이브리 저, 배숙희 역, 송대 여성의 결혼과 생활 , 한국학술정보,2009.

10.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조선시대의 열녀담론 , 월인, 2002.

11.

김수환, 사유하는 구조: 유리 로트만의 기호학 연구 , 문학과 지성사, 2011.

12.

김인걸 외, 정조와 정조시대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13.

박 주, 조선시대의 정표정책 , 일조각, 1992.

14.

이혜순․김경미, 한국의 열녀전 , 월인, 2002.

15.

조혜란, 고전서사와 젠더 , 보고사, 2011.

16.

피터 싱어 저, 김성한 외 역, 메타윤리 , 철학과 현실사, 2006.

17.

미셸 푸코 저, 문경자 ․신은영 공역, 성의 역사 , 나남출판, 1990.

18.

강혜선, 「조선후기 사족 여성의 경제활동과 문학적 형상화 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4집, 2002, 189~219면.

19.

김언순, 「조선 여성의 유교적 여성상 내면화 연구」, 페미니즘연구 8권 1호, 2008, 1~42면.

20.

김언순, 「조선시대 교화의 성격과 사대부의 수신서 보급」, 한국문화연구논총 13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07, 7~50면.

21.

김언순, 「조선시대 여훈서에 나타난 여성의 정체성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1~218면.

22.

김언순, 「조선후기 사대부 여훈서에 나타난 여성상 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사학 28권, 한국교육사학회, 2006, 27~61면.

23.

손직수, 「조선시대 여성교훈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1982, 1~146면.

24.

이규순, 「규훈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1~168면.

25.

이규훈, 「조선후기 여성주도 고난극복 고소설 연구」, 한국교원대 박사학위논문, 2009, 1~244면.

26.

조경원, 「유교 여훈서의 교육원리에 관한 철학적 분석」, 여성학논집 13집,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1996, 271~294면.

27.

조경원, 「조선시대 여성 교육의 분석」, 여성학논집 12집, 이화여자대학교한국여성연구원, 1995, 39~62면.

28.

황수연, 「19~20세기 초 규훈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4권,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359~387면.

29.

황수연, 「조선시대 규훈서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기대와 경계」, 열상고전연구 제32집, 2010, 143~172면.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