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근우(槿友)」와 붉은 여성 -새로운 여성전통의 창조

「GeunWoo」 and the Red woman - A Creation of new feminine tradition -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2, v.0 no.28, pp.551-577
이태숙 (단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근우(槿友)」는 근우회의 기관지로서 총 1회 발간되었다. 근우회는 좌우합작 단체였던 신간회의 자매단체의 성격을 띠고 있었는데 이후 일제의 사회주의자들에 대한 탄압과 신간회 해소를 둘러싼 논쟁이 모든 통일전선적 단체로파급되면서 해소 결의도 못한 채 해소되고 만다. 「근우」는 근우회의 합작 당시성격을 그대로 담아내고자 하는 발간 취지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은 무궁화자매라는 것이었다. 민족 전통으로서의 무궁화와 이후 근우회의 지향으로서의붉은 여성은 근우회를 넘어서는 여성운동의 전통을 만들어내게 된다. 이러한전통은 운동의 역량 강화와 방향성을 위해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근대민족운동의 과정에서 목도되었던, 창조된 전통의 한 사례로 분석될 수 있다. 조선을 넘어서는 한민족의 전통으로서의 무궁화가 근대적 전통(傳統)으로 재창조되는 과정에서 여성운동의 역량 강화를 위해 도입되었다면, 여성운동의 이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새로운 전통으로 제시되었던 것이 적기(赤旗)이다. 적기는 여성운동이 노동농민여성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주의 전통을 수립해가는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제시되었다. 무궁화 자매와 적기는 여성운동의 방향성과 전통을 제시하는 상징이 되었다. 홉스봄의 만들어진 전통이 근대적 전통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위한 것이었다면, 우리의 근대전통은 반제반봉건을 위한 민족의식으로서 창조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만들어진 전통, 붉은 여성, 무궁화 자매, 적기, 근우, 근우회, the invented tradition, a Red women, the rose of Sharon sisters, the Red Flag, GeunWoo, GeunWoo-hoe

참고문헌

1.

槿友,

2.

독립신문,

3.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

4.

朝鮮問題資料叢書,

5.

東亞日報

6.

에릭 홉스봄, 박지향, 장문석 역, 만들어진 전통, 휴머니스트. 2004.

7.

京城紡績會社 一女工, 「全國大會를보고」, 靑年朝鮮.1928.7.31(朴慶植 編,朝鮮問題資料叢書 第5卷, 韓國學振興院, 1987. 404쪽)

8.

考古生, 「京城이 가진 名所와 古蹟」, 별건곤 제23호, 1929.9.27. 18~29쪽.

9.

禹浩翊, 「無窮花考(上)」, 동광 제13호, 1927.5.1. 2~15쪽.

10.

禹浩翊, 「無窮花考(中)」, 동광 제15호, 1927.7.5. 4~8쪽, 41쪽.

11.

禹浩翊, 「無窮花考(中의 下)」, 동광 제16호, 1927.8. 23~26쪽, 5쪽.

12.

菅原百合, 「1920年代의 女性運動과 槿友會」,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13.

김성민, 「광주학생운동의 확산과 서울지역 시위의 성격」,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20. 2003.

14.

김연숙, 「社會主義 思想의 수용과 女性作家의 正體性」, 어문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제33권 제4호, 통권 제128호, 2005.12. 333~358쪽.

15.

김지형, 「항일여성단체 槿友會 맥 잇는 이희자 여사 “어머니의 열두 폭 치마로 분단 상처 감싸겠어요”」, 민족21, (주)민족21, 통권 제14호,2002.5. 130~133쪽.

16.

목수현, 「大韓帝國期 國家 視覺 象徵의 淵源과 變遷」, 美術史論壇 27호,2008. 289~321쪽 .

17.

朴昊辰, 「女職工訪問記」, 槿友, 1929. 70쪽.

18.

裵成龍, 「朝鮮女性運動의 現在」, 槿友, 1929. 19쪽.

19.

李明花, 「愛國歌 형성에 관한 연구」, 역사와실학 제10․11집, 역사실학회,1999.1. 637~667쪽.

20.

張寅模, 「1920年代 槿友會 본부 社會主義자들의 女性運動론」, 한국사연구제142호, 한국사연구회, 2008.9. 367~419쪽.

21.

전상숙, 「‘조선여성동우회’를 통해서 본 식민지 초기 社會主義 여성지식인의 여성해방론」,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22집 제2호,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1.2. 33~57쪽.

22.

丁七星, 「意識的覺醒으로부터」, 槿友, 1929. 35~37쪽.

23.

鄭憲台, 「槿友會의 任務와 發展策」, 槿友, 1929. 21쪽.

24.

秋川, 「內外國婦人運動의 情勢」, 槿友, 1929. 24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