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Research of Representation of ‘Husband’ and Gender Politicity Shown in Literature of Park Wan Seo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3, v.0 no.30, pp.417-450
Kim Youn-Jung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박완서의 소설에서 ‘남편’은 당대 사회 문화적 가치의 표상으로 등장한다. 일상적 삶의 우위성을 강조할 때는 물론, 부조리한 삶의 양태를 고발하고 비판하는 경우에도 남편은 주요한 매개로 등장한다. 남편의 표상이 시대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이상적 남성성의 변화에 기인한다. 요컨대, 박완서는 남성성의 구성과 재구성을 남편이라는 인물을 통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70년대 소설에서 남편은 세속적 근대의 표상으로 등장한다. 당시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경제적 능력을 갖춘 남성이었고, 박완서는 이러한 남성성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80년대 소설에서 남편은 여성주의 운동의 적(敵)으로 등장한다. 가부장적 권력으로써 여성을 종속하고 통제하는 남편을 통해 작가는 불합리한 젠더 규범의 모순을 직시하였다. 한편으로는 이 시기에 등장한 성찰적 남성성의 사례를 통해 남성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가치가 변화하고 있음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90년대로 들어서면서 남편의 모습은 다른 방향성을 제시한다. 특히 90년대 후반부터 남편의 표상은 윤리적 인간애의 대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남성성의 변화는 박완서의 소설이 젠더 이분법의 해체를 기획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바로 박완서 소설의 젠더 정치성이라 하겠다.

keywords
박완서, 남편, 남성성, 젠더, 윤리성, Park Wan Seo, Husband, Masculinity, Gender, Ethics

Reference

1.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1권-6권, 문학동네, 2006.

2.

박완서, 살아있는 날의 시작 , 세계사, 2012.

3.

박완서, 서 있는 여자, 세계사, 2010.

4.

박완서 「석양에 등을 지고 그림자를 밟다」, 현대문학 , 2010.2.

5.

권김현영, 남성성과 젠더 , 자음과 모음, 2011, 58쪽.

6.

김윤정, 박완서 소설의 젠더의식 연구 , 역락, 2013, 289∼295쪽.

7.

신수정, 「자아의 서사, 소설의 기원」, 저녁의 해후 , 문학동네, 2006, 456쪽

8.

오윤호, 「남성 우울증과 타자적 정체성: 김승옥의 <서울의 달빛 0장>을 중심으로」, 경계짓기와 젠더 의식의 형성 , 이화인문과학원 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9.

이영자, 「남성성의 사회적 구성과 성의 정치」, 성평등연구 5, 가톨릭대학교 성평등연구소, 2001, 79∼103쪽.

10.

조현순, 「몸과 여성 정체성-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과 우울증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제5호,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1, 221∼243쪽.

11.

조현준, 「퀴어의 눈으로 바라본 젠더와 타자이야기- 젠더의 조롱과 우울의 철학-주디스 버틀러 읽기 」, 아시아여성연구 제45집 2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6, 317∼324쪽.

12.

R. W. 코넬, 남성성/들 , 안상욱․현민 옮김, 이매진, 2013, 1∼448쪽.

13.

린다 맥도웰, 젠더, 정체성, 장소 , 여성과 공간 연구회 옮김, 한울아카데미, 2010, 373쪽.

14.

막스 셸러, 동감의 본질과 형태들 , 조정옥 역, 아카넷, 2006, 530∼533쪽.

15.

쇼히니 초두리, 페미니즘 영화이론 , 노지승 옮김, 앨피, 2012, 206쪽.

16.

엘리자베스 그로츠, 뫼비우스 띠로서 몸 , 임옥희 옮김, 여이연, 2001, 1∼470쪽.

17.

조지 L. 모스, 남자의 이미지 , 이광조, 옮김, 문예출판사, 2004, 135∼136쪽.

18.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 조현준 역, 문학동네, 2008, 196∼233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