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한강의 소설에 나타난 여성 주체화의 방식을 우울증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상으로 삼은 작품은 「내 여자의 열매」(1997), 『그대의 차가운 손』(2002), 및 『채식주의자』(2007)이다. 이들 작품의 중요 여성 인물로 등장하는 영혜, L, E 그리고 인혜의 서사적 의미를 통해 이들의 주체화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채식주의자』연작의 모태가 된 「내 여자의 열매」를 통해 여성의 주체화와 구조적 폭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내 여자의 열매」의 여성 인물인 ‘아내’는 스스로도 알 수 없는 고통에 시달린다. 이 글에서는 여성 주체가 앓는 고통의 알 수 없음을 비가시성을 특성으로 하는 구조적 폭력과 관련지어 해석하였다. 특히 이 구조적 폭력에 대한 복종과 거부의 복합적 관계 속에서 여성의 주체가 형성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계의 양상은 『그대의 차가운 손』과 『채식주의자』의 바탕에도 깔려 있어 각 작품의 여성 인물들을 우울증적 주체로 형성하는 토대가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들 작품에 나타나는 폭식, 채식 및 거식은 우울증적 주체의 자기징벌적 양상과 관련된다. 더불어 이들 작품에 나타나는 공통적 양상인 여성주체의 피화자화의 의미도 함께 살펴보았다. 나아가 발화의 자격이 주어지지않은 여성 주체의 존재 방식이 어떻게 가면의 전략으로 드러나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이 글에서 다룬 우울증적 주체의 양상은 단순히 병리적 증상이 아니라 지배 이데올로기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형성해가는 여성의 자기주체화 방식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figure out the method of feminine subjection described in Han Gang’s novels in relationship withmelancholia. For this, the following novels were investigated; ‘The Fruit of My Lady (1997),’ ‘Her Cold Hands (2002)’ and ‘Vegetarian (2007).’ In particular, it has attempted to examine the subjection mechanism through the narrative meaning of female characters in these novels (Yeong-hye, L, E and In-hye). First, this study has analyzed how the feminine subjection was correlated with seismic violence through ‘the Fruit of My Lady’ which was the matrix of ‘Vegetarian (2007).’ This novel described that pain and affliction which a woman couldn’t recognize on her own were fo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seismic violence. Specifically, the author understood that it was correlated with paradoxical obedience which was formed in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rejection or subjection. This kind of concept was also the basis in ‘Her Cold Hands’ and ‘Vegetarian.’ It was explained that characters were the base to form a melancholic subject. Then, this study has figured out how the melancholic pattern of a feminine subject in ‘Her Cold Hands’ and ‘Vegetarian’ was expressed. First, how binge eating, vegetable eating and anorexic eating were correlated with the self-punishment pattern of the melancholic subject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feminine subject as a narratee, which was found in all these novels, was analyzed. Furthermore, how the method of existence as a female subject which wasn’t authorized to speak was expressed as the strategy of masquerade was investigated. Through these discussions, Han Gang’s novels have revealed the typical pattern of feminine subjection because the pattern of melancholic subject handled in this study is not just a pathological symptom but the mechanism of self-subjection that a woman forms her identity in relationship with ruling ideology.
한강(초판, 2000), 내 여자의 열매 , 창비, 2010.
한강(초판, 2002), 그대의 차가운 손 , 문학과지성사, 2010.
한강(초판, 2007), 채식주의자 , 창비, 2010.
김미현, 젠더 프리즘 , 민음사, 2008.
임옥희, 젠더의 조롱과 우울의 철학 주디스 버틀러 읽기 , 여이연, 2006, 38쪽.
조현준,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 , 한국학술정보(주), 2007, 220〜222쪽.
미셸 푸코, 이규현 역, 성의 역사 제1권 앎의 의지 , 나남, 1993, 109〜110쪽.
슬라보예 지젝, 이현우․김희진․정일권 옮김, 폭력이란 무엇인가 , 난장이, 2012, 23〜25쪽.
조르조 아감벤, 박진우 옮김, 호모 사케르 , 새물결, 2008, 155〜169쪽.
주디스 버틀러, 조현준 옮김, 젠더 트러블 , 문학동네, 2010, 174〜175쪽.
프로이트, 무의식에 관하여 , 열린책들, 1997, 248〜251쪽.
S.리몬-케넌, 최상규 역, 소설의 시학 , 문학과지성사, 1988, 132쪽.
Judith Butler, Psychic Life of Power, Stanford University Press: Stanford, California, 1997, pp.1〜2.
김미영, 「소설교육의 한 가능성-생태소설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33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봄, 469〜492쪽.
송연주, 「여성소설에 나타난 변신모티프와 환상성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41집,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8.12, 283〜308쪽.
김순옥,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변신모티프의 양상과 의미 고찰-최인석, 한강, 오수연, 박민규를 중심으로」,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2011.2, 59〜98쪽.
신수정, 「한강 소설에 나타난는 ‘채식’의 의미: 채식주의자 를 중심으로」, 문학과환경 9, 문학과환경학회, 2010, 193〜211쪽.
이찬규․이은지, 「한강의 작품 속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 연구- 에코페미니즘 을 중심으로」, 인문과학 46, 성균관대 인문과학연구소, 2010, 43〜6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