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A Study on the Literature Tales of the Joseon Dynasty about Concubine - Focus on 『Kimunchongwha』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4, v.0 no.32, pp.217-243
Yi Hyang-Ae

Abstract

본고는 문헌설화에서 첩을 소재로 한 설화를 통해 남성과 첩의 관계를 살피고 이 설화가 갖는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처가 중매를 통해 정식으로 관계를 맺은 대상이라면 첩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관계를 맺는다. 설화 속 남성과 첩의 결연 과정은 애정에 의한 결연과 상황에 의한 결연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두 결연 과정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구조는 ‘만남-이별-만남 이다. 설화 속에서 첩은 집안을 어지럽히거나 처와의 갈등을 야기하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아니다. 남성 자신이 극복하기 어려운 결핍을 타개하고 성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주거나 남성이 필요한 부분을 적극적으로 채워주는 인물로 등장한다. 첩은 양반 남성 개인이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도와주는 일종의 환상적인 장치이다. 남성들은 자신의 욕구에 맞춰 다양하게 첩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설화 속 첩의 이미지는 긍정적인 측면이 강하다. 따라서 양반 남성이 첩을 두는 것은 부정적인 측면보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첩을 두는 것을 합리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첩을 소재로 한 설화에는 드러나지 않고 은폐된 남성들의 욕망이 자리하고 있다.

keywords
『Kimunchongwha』, Literature Tales, supplements of deficiency, concealed desire, 『기문총화』, 문헌설화, 첩, 결핍의 충족, 은폐된 욕망

Reference

1.

김동욱(金東旭), (국역) 기문총화 , 아세아문화사, 2008.

2.

국사편찬위원회, 혼인과 연애의 풍속도 , 두산동아, 2005, 182∼195쪽.

3.

이숙인,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 여이연 2006, 65쪽.

4.

이신성, 한국 야담의 전개양상과 그 의미 , 보고사, 2006, 1∼310쪽.

5.

강영순, 「<일타홍 이야기>의 여성 지인담 성격 연구」, 고전문학연구 9,한국고전문학회, 1994, 89~124쪽

6.

공은영, 「결연 야담 연구-계층간의 결연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7.

김동석, 「야담집에 나타난 여인의 신분갈등과 적서차별」, 한문학보 12, 우리한문학회, 2005, 381~402쪽.

8.

김대숙, 「양사언 설화 연구」, 이화어문논집 7,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1984, 185~204쪽.

9.

김준형, 「기문총화계 야담집의 문헌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1997.

10.

김준형, 「<옥소선 이야기>의 변이양상과 의미」, 한국민속학 30호, 1998, 265~288쪽.

11.

김준형, 「기문총화의 전대문헌 수용양상 - 기문총화 1권 筆記ㆍ稗說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제26집, 한국문학회, 2000, 57~83쪽.

12.

김준형, 「근대 전환기 <옥소선 이야기>의 개작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3,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205~228쪽.

13.

김현미, 「 기문총화 의 문학성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2004.

14.

박무영, 「남편의 ‘잉첩(媵妾)’과 아내의 ‘적국(敵國)’」, 문헌과 해석 18, 문헌과 해석사, 2002, 135~149쪽.

15.

박채숙, 「조선시대 문헌설화집에 실린 축첩설화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6.

이신성, 「<일타홍 이야기>의 전개양상과 그 의미」, 한국한문학연구 14, 한국한문학회, 1991, 139~180쪽.

17.

이신성, 「<옥소선 이야기>와 월하선전 연구」, 한자한문교육 제8집,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2, 240~289쪽.

18.

정지영, 「조선 후기의 첩과 가족 질서-가부장제와 여성의 위계」, 사회와역사 65, 한국사회사학회, 2004, 6~42쪽.

19.

정지영,「조선시대 첩에 대한 포섭과 배제의 장치들-법전류의 첩 관련 규정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9,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65~90쪽.

20.

조희선, 「한국가족에서 첩제도의 법제도사적 변화」, 인문과학 25,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5, 183~193쪽.

21.

최유미, 「야담집 소재 妾室談 연구」,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22.

황수연, 「조선후기 첩과 아내-은폐된 갈등과 전략적 화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2집, 2006, 349~380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