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An Analysis on modality of speech in Hanjunglok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4, v.0 no.32, pp.191-215
Bohyun Kim

Abstract

본 연구는 혜경궁의 <한중록> 중 세 번째 회고록을 바탕으로 발화자 혜경궁의 발화 양태를 분석한다. <한중록3>에는 중심 사건 임오화변과 관련하여 혜경궁이 다양한 양태를 드러내는데, 본 논의에서 집중한 것은 진리, 평가, 욕구의 양태이다. 진리의 양태에서 참인 진리값을 갖는 것은 사도세자의 죽음이 사적으로는 애통하지만, 공적으로는 의리에 합당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진리값은 영조, 정조, 혜경궁 등 각 행위자에게 공통으로 적용되지만, 이는 혜경궁의 해석에 의해 도출된 양태이다. 평가의 양태에서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영조의 행위에 대한 것으로 혜경궁은 이를 사도세자의 병증의 원인으로 지목한다. 욕구의 양태는 사도세자와 자신에 대한 혜경궁의 태도로 사도세자가 병이 없기를 바라고, 자신이 죽기를 바라는 태도에서 마침내 사도세자가 죽기를 바라는 태도로 나아간다. 평가와 욕구의 양태는 진리의 양태와 서로 충돌하면서 혜경궁의 분리된 세계 인식을 드러낸다. 진리의 양태는 일반화된 사적 애통과 이데올로기화된 공적 의리로 구성된 이상 세계의 표출이고, 평가와 욕구의 양태는 문제의 원인에 대한 분석과, 해결할 수 없는 한계에 대한 고통으로 구성된 현실 세계의 표출이다. 혜경궁이 구체화하는 현실 세계는 스스로 규정한 이상 세계가 공허한 거짓 세계임을 드러내면서, 이상 세계가 가정하는 도덕율에 의문을 제기한다.

keywords
Hanjunglok, addresser, modalitiy, idealized world, real world, <한중록>, 발화자, 발화 양태, 이상화된 세계, 현실 세계

Reference

1.

혜경궁 홍씨, 한중록 , 정병설 주석, 문학동네, 2010.

2.

김수환, 사유하는 구조-유리 로트만의 기호학 연구 , 문학과 지성사, 2011, 1∼490쪽.

3.

김용숙, 한중록 연구 , 정음사, 1988, 1∼394쪽.

4.

박윤호, 「한일 여류일기문학의 자기서사적 특징 : 한중록 과 가게로닛키(蜻蛉日記) 의 허구의 죄의식을 중심으로」, 일본어교육 , 제64집, 한국일본어 교육학회, 2013, 151∼169쪽.

5.

박언주,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모성경험의 구성과 행위성」, 한국여성학 , 제30권 1호, 한국여성학회, 2014, 173∼212쪽.

6.

손태수, 「 한중록 과 붉은 왕세자빈 에 나타난 문화횡단성 연구 : 사도세자의 죽음을 중심으로 한 심층심리학적 고찰」, 정신문화연구 제31권 제1호(통권110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243∼269쪽.

7.

이금희, 「치유적 관점에서 본 <한중록>」, 한중인문학연구 제31호, 한중인문학회, 2010, 99∼118쪽.

8.

이금희, 「한중록에 나타난 혜경궁 홍씨의 태도: 정조 즉위 전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95,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95, 357∼381쪽.

9.

이화형, 「<한중록>의 극적인 특성 연구」, 동아시아고대학 , 제25호, 동아시아고대학회, 2011, 251∼278쪽.

10.

정은임, 한중록 연구 , 국학자료원, 2013, 42∼46쪽.

11.

정은임, 「한중록에 나타난 실기문학적 성격II-인물의 특성을 중심으로」, 인문과학논집 제2집,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6, 27∼47쪽.

12.

정병설, 「<한중록>의 신고찰」, 고전문학연구 제34집, 한국고전문학회, 2008, 171∼198쪽.

13.

최기숙, 「자서전, 전기, 역사의 경계와 언술의 정치학-한중록에 관한 제안적 독법」, 여/성이론 통권 제1호, 1999, 122∼139쪽.

14.

최성환, 「한중록의 정치사적 이해」, 역사교육 115호, 역사교육연구회, 2010, 129∼164쪽.

15.

최용호, 텍스트 의미론 강의 , 인간사랑, 2004, 150쪽.

16.

최용호, 의미와 설화성 : 텍스트 의미론 강의 Ⅱ, 인간사랑, 2006, 1∼314쪽.

17.

Rastier. François, Meaning and Textuality, (trans.) Rrank Collins & Paul Perron, Toronto :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7, pp. 1∼352.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