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송계월 서사 연구

A Study about the Narrative of ‘Song Gye-wol’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5, v.0 no.34, pp.149-179
진선영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송계월은 ‘애라’나 ‘유라’가 아니다. 송계월은 ‘송계월’이다. 이것이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송계월은 기초적인 사실조차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그나마 부분적으로 소개된 경우에도 왜곡되거나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한 경향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송계월의 서사를 연대기적으로 구성하여 송계월이라는 신여성이 식민지 현실을 통해 계급주의를 자각하는 과정으로서의 ‘자기서사’와 그 형상화적 결과물인 문학텍스트(문학 서사)를 분석하였다. 이 ‘겹’ 서사에 대한 조화로운 이해와 분석이 송계월의 서사를 문학사, 여성사, 제국주의사에서 정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송계월의 고향이자 요양지였던 함경남도 북청군 신창면은 척박한 환경과 불모의 땅이라는 공간적 의미와 함께 기질을 배태한 요람적 성격을 지닌다. 송계월은 강인한 성격과 생활력을 가질 수 있었던 근원을 함경도적 기질에 두고 있으며, 이를 사회에서 실천하는 현장 경험은 경성여자상업학교 시절에 이루어진다. 계월은 여학교 시절 식민지 사회의 모순을 발견하고 이를 운동과 투쟁으로 행동화하였다. 이후 데파트 걸 체험은 학교 교육의 이상주의와 현실의 간극을 체험하는 장이었고 이를 통해 여성 문제의식과 여성 ‘노동자’에 대한 계급의식을 점화하게 된다. 개벽사에 입사 한 후 ‘붉은 성(赤城)’이라는 필명은 자신의 입론을 사회주의 혹은 계급주의(赤)적 여성에 두고 전투적으로 현실의 문제점을 서사화하겠다는 당찬 레테르이다. 송계월은 여성의 문제에 계급적 이해를 우선하고 있다. ‘진정한 여성 해방은 노동자 농민 해방이 있는 데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계급 해방을 위해 강력한 투쟁과 집단적 연대를 강조한다. 송계월이 평론이나 칼럼을 통해 계급주의적 사고의 민낯을 드러냈다면, 소설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창작 정신으로 하여 강력한 계급의식과 투쟁의식으로 무장한 프로문학적 성격을 지닌다. 르포적 형태의 수필에서는 노동 현장에서 발생하는 폭력을 다루거나, 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억압을 묘파(描破)하거나 함경도 여성들의 강인한 생활력을 점묘하는 가운데 제국에 저항하는 여성적 지향을 제시하기도 한다. 송계월의 문학 서사는 계급주의적 현실을 진단하고 이를 타파하기 위해 프롤레타리아의 강력한 결속과 투쟁을 강조하는 선동성과 정론성을 갖는다. 송계월의 삶과 문학은 당대 신여성들의 갖가지 모습을 압축하는 전형이었다. 신학문과 새로운 문물에의 동경, 식민지 조선 현실에 대한 고민, 민족주의 운동으로서의 투사, 여성의 사회진출, 여성의 자기표현으로서의 창작행위, 여성을 둘러싼 소문 등은 고스란히 그녀의 삶과 작품 속에 녹아 있다. 그러므로 송계월의 ‘겹’서사는 식민지 과도기를 살아낸 한 신여성의 미시사가 아니다. 신여성이라는 존재론적ㆍ사회적 근거를 바탕으로 현실을 냉철하게 인식하고, 당대와 길항하였다. 이것이 굵직한 식민지 역사와 겹쳐질 때 송계월의 삶은 식민지 여성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keywords
송계월, 자기서사, 겹서사, 북청, 사회주의, 계급주의, 여성주의, 적성(赤城), Song gye wol, Self-Narrative, Double Narrative, Socialist, Red Castle.

참고문헌

1.

「내가 신여성이기 때문에」, 『신여성』 5권4호, 1931.4.

2.

「학교의 반성 없으면 사회에 호소」, 『매일신보』, 1931.5.29.

3.

「우리 가을은 내일 아침에!」, 『신여성』 5권9호, 1931.10.

4.

「약혼 중 애인에게 정조 허락함이 죄이냐?」, 『삼천리』 3권10호, 1931.10.

5.

「직업전선에 나선 여성들(五)」, 『매일신보』, 1931.11.8.

6.

「세상일기」, 『삼천리』 3권11호, 1931.11.

7.

「어촌 있는 동생에게―비료회사에서 노동하는 동생에게」, 『어린이』, 1931.12.

8.

「공장소식」, 『신여성』 5권11호, 1931.12.

9.

「북청의 점묘」, 『삼천리』 3권12호, 1931.12.

10.

「악제도의 철폐」, 『동광』 29호, 1931.12.

11.

「1932년을 당하야 조선 신진여성의 포부와 주장」, 『중앙일보』, 1932.1.1.

12.

「직업여성 이동좌담회」, 『신여성』 6권2호, 1932.2.

13.

「직업여성의 술회 학원시대와 실제생활—잡지기자 송계월 양」, 『신동아』, 1932.3.

14.

「가두연락의 첫날」, 『삼천리』 4권3호, 1932.3.

15.

「여인문예가 그룹 문제—최정희 군의 ‘선언’과 관련하여」, 『신여성』 6권3호, 1932.3

16.

「가고 싶은 곳 만나고 싶은 사람」, 『삼천리』 4권3호, 1932.3.

17.

「봄과 추위」, 『혜성』 2권3호, 1932.3.

18.

「봄과 감옥여성」, 『신여성』 6권4호, 1932.4.

19.

「병상의 편상―북국 어촌에서」, 『신여성』 6권6호, 1932.6.

20.

「육아문제 이동좌담회」, 『신여성』 6권10호, 1932.10.

21.

「부인기자의 일기」, 『신동아』, 1932.11.

22.

「신창 바닷가」, 『신여성』 6권11호, 1932.11.

23.

「데마에 항(抗)하야」, 『신여성』 6권11호, 1932.11.

24.

「역선전에 대한 일언」, 『제일선』 2권10호, 1932.11.

25.

「북국의 동무」, 『신동아』, 1932.12.

26.

「남성에 대한 선전포고 각계신구여성의 기염(二)」, 『동아일보』, 1933.1.2.

27.

「직업여성의 좌담회」, 『매일신보』, 1933.1.1~1.5.

28.

「진정한 새해 새날은 오리니!」, 『매일신보』, 1933.1.7.

29.

「명일을 약속하는 신시대의 처녀좌담회」, 『신여성』 7권1호, 1933.1.

30.

「젊은 어머니」, 『신가정』, 1933.1~5.

31.

「청량리 정거장에 사라진 소년」, 『제일선』 3권2호, 1933.2.

32.

「난파선」, 『별건곤』 8권2호, 1933.2.

33.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국사편찬위원회, 1986, 500쪽.

34.

김경, 『디오게네스의 연인들』, 한국기독교연구원, 1992, 188쪽.

35.

김경, 『한국 기독교 건국 공로자 열전』, 고려인쇄출판사, 2001, 217쪽.

36.

김주리, 『근대소설과 육체』, 한국학술정보, 2009, 246쪽.

37.

유진오, 「수난의 기록」, 『봄』, 한성도서, 1940, 377쪽.

38.

조영복, 「1930년대 여성문단의 형성과 여성작가의 성장」, 『한국 근대문학연구의 반성과 새로운 모색』, 새미, 1997, 133쪽

39.

진선영, 『송계월 전집』, 역락, 2013, 406쪽.

40.

김기주, 「광주학생운동 이전 동맹휴학의 성격」, 『한국독립운동사연구』35, 2010, 5~69쪽.

41.

김문집, 「『수난의 기록』과 『패강랭』」, 『동아일보』, 1938.1.21.

42.

문혜윤, 「근대적 글쓰기의 형성과 글쓰기 장의 재인식 : 1930년대 수필의 장과 장르의 역학」, 『반교어문연구』 29, 2010, 33~63쪽.

43.

박정애, 「어느 신여성의 경험이 말하는 것-여기자 송계월」, 『여성과 사회』 14, 2002, 180~195쪽.

44.

박혜숙, 「여성과 자기서사」, 『한국 여성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소명출판, 2008, 217~240쪽.

45.

사우춘, 「거리의 굴뚝새! 풍문제조업자」, 『신여성』 6권12호, 1932.12.

46.

송정덕, 「언니를 영원의 길로 보내며」, 『신여성』 7권7호, 1933.7.

47.

윤성상, 「그 길이 그렇게도 바빴소」, 『신여성』 7권7호, 1933.7.

48.

이상경, 「1930년대 사회주의 여성에 관한 연구」, 『성평등연구』 10, 2006, 49~80쪽.

49.

이석훈, 「유성-고 송계월의 애도」, 『신여성』7권7호, 1933.7.

50.

이찬, 「송계월 양의 삼주기에」, 『조선중앙일보』, 1935.5.30~6.2.

51.

진선영, 「송계월 소설 연구」, 『현대소설연구』 54, 2013, 463~490쪽.

52.

최정희, 「1933년도 여류문단총평」, 『신가정』, 1933.11, 45~46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