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근대 공론장에서의 여성 담론 : 연설체 신소설을 중심으로

A Discourse of Women in Modern Public Sphere - Focusing on the Oratorical Sinsoseol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5, v.0 no.34, pp.61-87
이선옥 (숙명여자대학교)

초록

이 글에서는 연설체 신소설을 중심으로 공적 담론장에서 여성담론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설체 신소설을 공론장의 시각에서 분석하는 이유는 당시 정치적, 사회적 담론과 거의 직접적으로 소통하고 있는 장르적 특징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연설체 신소설 중에서 여성담론을 살펴볼 수 있는 작품으로는 『자유종』, 『금수회의록』이 있으며, 연설방법을 설명한 『연설법방』을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1890년대에서 1910년대 사이 근대로의 진입기는 여성이 공적 세계로 진입하는 시기이면서 여성이 말하기의 주체로 등장한 시기이다. 여성들이 공적 세계에서 자신의 말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전통적인 거내이불언외(居內而不言外)의 규범을 정면으로 위반하는 것이었으며, 말하기 경험 자체가 여성들을 고무시켰던 것은 중요한 여성 주체의 경험이었다. 이러한 여성의 말하기가 가능했던 것은 애국주의 이념과 근대적 국민주권 이념이 결합하면서 여성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 규정되었고, 새로운 말하기 형식으로 등장한 연설, 토론이 여성의 공적발언을 가능하게 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연설체 신소설을 통해 본 여성담론은 여성이 문란한 계몽 대상으로 구성되거나, 생활세계의 경험이 부정적으로 그려지고, 여성적 언어의 감수성이 삭제되는 전형적인 남성적 제도로의 재기입이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자유종』에서는 한문 대신 새로운 한글공론장으로 이전한 남성지식인이 그동안 한글 사용자였던 여성들의 언어를 전유하면서 내용적으로 새로운 언어위계를 만드는 과정을 볼 수 있다. 그간의 한글소설은 허랑, 방탕, 퇴폐한 글이었으며, 한글세계에 있었던 여성들은 그간 한 글자도 지식을 몰랐다는 것이다. 이러한 계몽연설을 통해 오랫동안 여성의 언어였던 한글의 세계는 지식의 세계가 아니었다는 자기부정을 거치고 다시 남성적 지식의 세계로 재편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keywords
신소설, 연설체 신소설, 공론장, 여성담론, 젠더, Sinsoseol(new novel), Sinsoseol of Speech Form, Public Sphere, Women's Discourse, Gender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analyze women’s discourse of the oratorical Sinsoseol which was written by speech form, 1890-1910, and to examine how to be called and composed modern women focusing on the oratorical Sinsoseol. The reason to inspect the oratorical Sinsoseol in the aspects of the public sphere which forms public opinion is more of political discourse which communicates with media discourse than completed structure as a genre. Sinsoseol of speech form is a novel genre to make narrative of speech. Particularly this paper focuses on Ahan Kooksun’s 『Yeonseulbeubbang(Method of speech)』, 『Kumsuhoeirok』, and 『Jaujong』 from Lee Haejo, which deal with women subject. Ahan Kooksun’s novel deals with equality between women subject and men subject in modern society. On the other hand, his novel makes women as a target of the enlightenment. And so his novel invented a culture of women as a symbol of disgraceful Joseon and besides dirty and promiscuous sexuality. Lee Haejo’s novel depicts a woman protagonist as a speaker who makes an enlightenment discourse. But the woman protagonist in Lee Haejo’s novel speeches self –denial discourse that Hangeul novels which women readers have been reading for a long time are obscene, miserable and fanciful. Between 1890 and 1910 which called early modern era was the period that women tried to enter the public society and they also began to appear as a subject of speeches. The experience with participation in speeches or debates inspired women to be being a subject of female. As patriotism and ideology of modern national sovereignty were combined, women began to be considered as a nation. Speeches which enabled women to say an official statement and debates were also one of the main causes to stimulate that idea. However the discourse of women and the view of language through the oratorical Sinsoseol showed the typical reversion to a male dominated society, which deleted the sensibility of feminine language and described that women were the promiscuous subject to be enlightened and the ignorant people without the knowledge of the world of life. Particularly 『Jaujong』 showed the process that male intellectuals shifted to a new public sphere which used Hangeul instead of Chinese character, Hanmun. They exclusively possessed the language of women and then they also built a new contextual hierarchy of language. Until that time, Hangeul novels had been often considered to be decadent and dissipated and the women who had used Hangeul were even ignorant of a letter. Though women protagonist appeared as a speaker, after self denial that the world of Hangeul did not mean the world of knowledge, Hangeul was reorganized to male-oriented knowledge.

keywords
신소설, 연설체 신소설, 공론장, 여성담론, 젠더, Sinsoseol(new novel), Sinsoseol of Speech Form, Public Sphere, Women's Discourse, Gender

참고문헌

1.

안국선, 『금수회의록 외』, 범우비평문학 4, 종합출판범우, 2004.

2.

최찬식 외, 『한국신소설전집』, 을유문화사, 1968.

3.

권보드래, 『신소설, 언어와 정치』, 소명출판, 2014, 142~168쪽.

4.

김복순, 『1910년대 한국문학과 근대성』, 소명출판, 1999, 407~453쪽.

5.

송호근, 『시민의 탄생~조선의 근대와 공론장의 지각변동』, 민음사, 2013, 5~22쪽, 409~427쪽.

6.

양문규, 『한국 근대소설의 구어전통과 문체 형성』, 소명출판, 2013, 43~65쪽.

7.

이상경, 『한국근대여성문학사론』, 소명출판, 2002, 25~39쪽.

8.

이황직, 『독립협회, 토론공화국을 꿈꾸다』, 프로네시스, 2007, 13~18쪽, 66~70쪽.

9.

위르겐 하버마스, 『공론장의 구조변동:부르조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한승완 역, 나남, 2001, 25~36쪽.

10.

김지영, 「근대적 글쓰기의 제도화 과정과 변환과정 연구」, 서강대 박사논문, 2009, 38~68쪽.

11.

문한별, 「연설의 근대적 서사화 가능성~연설체의 서사적 특질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48, 2012, 325~344쪽.

12.

배주영, 「신소설의 여성담론 구조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0, 42~58쪽.

13.

서지영, 「부상하는 주체들~근대 매체와 젠더 정치」, 『여성과역사』 12, 2010, 189~230쪽.

14.

신지영, 「연설, 토론이라는 제도의 유입과 감각의 변화」, 『한국근대문학연구』 6, 2005, 9~41쪽.

15.

이경하, 「『제국신문』 여성독자투고에 나타난 근대계몽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8, 2004, 67~98쪽.

16.

이영아, 「신소설의 개화기 여성상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0, 14~24쪽.

17.

이정옥, 「연설의 서사화 전략과 계몽과 설득의 효과 : 안국선의 「연설법방」과 「금수회의록」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17, 2007, 151~185쪽.

18.

전은경, 「근대계몽기 지식인 독자의 '읽기'와 '쓰기~대한민보 『풍림』의 대화체서사와 토론체 소설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65, 2013, 513~554쪽.

19.

정우봉, 「근대 계몽기 수사학 논의의 한 국면 : 안국선의 연설법방(演說法方)을 중심으로」, 한국수사학회 고려대학교 레토릭연구소 2005년 10월 월례 학술 발표회, 2005.

20.

홍순애, 「근대소설의 형성과 연설의 미디어적 연계성 연구~1910년대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42, 2009, 599~626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