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19세기․20세기 초 문인들의 제 망녀문(祭亡女文) 속에 드러난 애도(哀悼): 『19세기․20세기 초 여성생활사 자료집1-9 』수록 제 망녀문을 대상으로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5, v.0 no.35, pp.101-129
김현미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이 글은 『한국 문집총간』을 중심으로 19세기․ 20세기 초에 존재했던 한국 한문학 작품의 작자들이 지었던 딸을 제사지내는 글인 ‘제망녀문’의 전체적 양상을 살피고, 그들이 글 속에서 드러낸 슬픔의 표현 양상은 구체적으로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쓰여졌다. 슬픔이라는 감정과 여인이라는 대상이 주되게 표현되지 못했던 한국 한문학의 서술 전통 속에서, 딸에 대한 ‘애도’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대상으로서 ‘묘도문자’라는 전통 속에서의 ‘제망녀문’이 적합할 것이기에 주 분석 대상을 제망녀문으로 삼았다. 『한국 문집총간』 19세기, 20세기 초 15여 편의 망녀제문은 말하는 자가 느끼는, 말 걸기 대상(듣는 자)에 대한 인식이 균열되는 데에서 ‘슬픔’의 형상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제문의 전개에 따른 ‘말걸기 대상’의 인식 추이와 제문의 화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제문에서 표현되는 슬픔의 형상화를 살펴서 망녀제문의 특성들을 알아보고자 했다. 일단, 제문의 시작 부분에서 듣는 대상인 ‘지금 없는 딸’을 부르며 바로 그렇게 된 것은 못난 나 때문이라는 관계설정을 함으로써 이전시기 제문에서 보이던 딸들의 훌륭한 점들이 서술 되는 부분이 축소되거나 딸의 고난상이 동시에 부상되면서, 상대적으로 그렇게 책임이 있는 아버지의 슬픔이 ‘자책과 자기비하’의 내용으로 전개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앞서 표출된 ‘부재하는 딸’이 촉발하는 ‘딸을 보내고 만 못난 아버지’의 슬픔 토로는, 이제 제문이 마무리되면서 일어나야 하는 현상, 즉 ‘딸’을 음지의 존재, 살아있는 자들을 보우하는 ‘(鬼)/神’으로 재인식하는 현상도 원활하게 전개되지 못하도록 한다. 자신의 아픈 마음을 비추어 보아 딸의 영(霊)역시 편하지 못할 것이라는 감정의 투사체로써 딸을 생각할 때, 딸의 ‘혼령’ 으로서의 정체 변환은 완성되지 못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혼령으로서의 딸의 정체를 정착시키면서도 나의 그리움과 아쉬움을 어떻게 풀 수 있는가는 제문을 쓰는 아버지들에게 또 하나의 과제가 되어 여러 가지 해법을 생각하게도 하지만, 결국은 딸의 정체를 ‘지금 없는 딸’ ‘너무나 그리운 대상’ 으로 다시 돌려놓고 그에 대해서 돌아오라고 절규하거나 꿈에서 만나자고 회유하는 서술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딸의 정체 변환을 목적으로 하는 제문의 본래적 서술이 균열되면서 드러나는 슬픔의 형상화는, 이전 시기와 비교했을 때 망녀 ‘제문’에 대한 정통적 작법에서 벗어나는 ‘서정성의 심화’가 본격적이고 적극적으로 전개되는 증거라고 볼 수 있다.

keywords
A message of condolence[祭文], 19th Century, Early in the 20th century, Deceased daughter[亡女], Father, The embodiment of grief, Condolence, Listener, Speaker, Crack., 제문(祭文), 죽은 딸, 아버지, 슬픔의 형상화, 애도, 19세기․20세기 초, 청자, 화자, 균열

참고문헌

1.

조긍섭 『巌棲集』 : <祭亡女文庚午>

2.

유중교 『省斎集Ⅱ』 : <祭亡女李氏婦文>

3.

한장석 『眉山集』 : <祭長女李氏婦文甲午>

4.

김평묵 『重菴集Ⅱ』 :<祭長女申氏婦文>

5.

이진상 『寒洲集Ⅱ』 : <祭長女柳氏婦文>

6.

임헌회 『鼓山集』 : <祭亡女申氏婦文>

7.

유신환 『鳳棲集』 : <祭女小恵文>

8.

홍한주 『海翁藁』 : <祭亡女文>

9.

이시원 『沙磯集』 : <祭亡女鄭氏婦文>

10.

홍직필 『梅山集Ⅱ』 : <祭亡女閔氏婦文壬寅>

11.

김매순 『台山集』 : <祭亡女李氏婦文>, <祭亡女生日文>, <告亡女墓文>

12.

오희상 『老洲集』 : <祭亡女閔氏婦文>

13.

심노숭 『孝田散稿』 : <附祭殤女文>

14.

김경미 외 번역, 『19세기․20세기 초 여성생활사 자료집1-9』, 보고사, 2013.

15.

김경미, 조혜란 외 번역,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1-8』, 보고사, 2009.

16.

김경미, 조혜란, 김기림, 황수연, 정형지 번역,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1-5』, 보고사, 2006.

17.

김영진, 『눈물이란 무엇인가』, 태학사, 2001, 1〜310쪽.

18.

박무영, 「18세기 제망실문의 공적 기능과 글쓰기」, 『한국한문학연구』 32집, 한국한문학회, 2003, 317〜352쪽.

19.

베레나 카스트, 『애도』, 채기화 옮김, 궁리, 2007, 1〜248쪽.

20.

이승수, 『옥같은 너를 어이 묻으랴』, 태학사, 2001, 1〜318쪽.

21.

이은영, 『예와 정의 조화와 변주: 조선시대 애도문학의 형상화 방식』, 역락, 2013, 1〜278쪽.

22.

이인상 외, 『빈 방에 달빛 들면』, 학고재, 2005, 1〜288쪽.

23.

최기숙, 「귀신을 둘러싼 문, 학.지의 다층적 인식과 복합적 상상력:조선시대 제문, 묘지문과 서사에서 ‘鬼․神’의 거리와 공통 감각」, 세계한국어문학회, 2013, 75〜90쪽.

24.

황수연, 「17세기 “제망실문”과 “제망여문” 연구」, 『한국한문학연구』 30권, 한국한문학회, 2002, 37〜73쪽.

25.

황수연, 「17세기 사족 여성의 생활과 문화」,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6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161〜193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