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신소설 재외 이주 서사에 나타난 젠더 연구: 「소학령」을 중심으로

A Study on Gender in the Immigrant Narrative of the Sinsoseol (New Novel): Focusing on Sohakryoung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5, v.0 no.35, pp.245-282
이소희 (한양여자대학교)

초록

본 논문은 신소설 「소학령」에 나타난 젠더 및 섹슈얼리티 양상을 분석하였다. 재외 이주 서사는 1900년대 후반에 급증하기 시작한 이주의 현실을 반영한 결과이면서 1910년 이후 『매일신보』에 연재된 이해조의 신소설 특징의 일례를 보여주는 지점이다. 「소학령」은 앞서 이주한 남편을 찾아가는 여성의 재외 이주 서사이다. 그러나 재외 공간에 정착한 이주 서사가 아니라 소학령에 미리 정착한 남편 강한영을 찾아가는 홍씨 부인과 시동생 강위영, 그리고 아들 동이로 이루어진 가족이 길 위에서 겪는 경험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야기의 단초는 소학령으로 가는 길에서 만난 방씨 형제가 홍씨 부인을 겁탈하려는 폭력적인 행위로부터 비롯된다. 남편의 보호가 없는 여성에 대한 무자비한 폭력을 러시아 현지를 배경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은 국가적 경계를 넘어가는 이주 체험에서 여성의 젠더와 섹슈얼리티가 얼마나 취약해질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일례라고 할 수 있다. 노동이민을 다룬 재외 이주 서사로 알려진 이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이야기의 핵심이자 출발점은 결국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남성적 폭력인 셈이다. 작품 전체 서사의 초점이 조선 내의 유교 사상에 근거한 젠더 이데올로기가 재외 이주 공간의 특수한 환경에서 어떠한 역학 관계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가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당시 여성의 젠더 및 섹슈얼리티에 대한 전복의 가능성도 발견할 수 있다. 재외 이주 공간은 무법천지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렇기 때문에 여성에게 주어진 젠더 규범을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주체적 공간으로서의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소학령」은 재외 이주 공간에서 여성의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역동적, 역학적 관계들을 “빙공착영”의 개념 아래 제시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당시 사회에서 적극적으로 자신을 방어하는 “집 밖의 여성”을 그려냄으로써 새로운 여성상을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Sinsoseol(新小說), Immigrant narrative, Woman's body, Female sexuality, Sohakryoung(巢鶴嶺), 신소설, 재외 이주 서사, 성적 순결성, 「소학령」, 가족 이주 서사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gender in the immigrant narrative of Sinsoseol(新小說), Sohakryoung (1912) published in the daily newspaper Maeil-Sinbo(每日申報) written by Lee Hae-Jo, the prominent Korean Sinsoseol novelist in the early 20th-century Korea. Influenced by the colonial newspaper's policy of expanding its readership, Lee planned to write Sohakryoung, in which Mrs. Hong and her family were on the way to Sohakryoung in Russia to look for her husband in the immigrant Korean society. The main story was composed with Mrs. Hong's narrative, showing the diverse explorations and unexpected experiences on the way. Among these, the backbone of the story is the continuous threat and the possibility of sexual violence on female sexuality within the illegal social order of the immigrant community. Even though it does not suggest the subversion of gender ideology, it is worth noting that the story proposes the probability of breaking it in the immigrant community by protecting her body from sexual violence by herself as well as with support from others.

keywords
Sinsoseol(新小說), Immigrant narrative, Woman's body, Female sexuality, Sohakryoung(巢鶴嶺), 신소설, 재외 이주 서사, 성적 순결성, 「소학령」, 가족 이주 서사

참고문헌

1.

이해조, 「소학령」, 『한국신소설전집 3』, 을유문화사, 1968.

2.

권보드래, 『신소설, 언어와 정치』, 소명출판, 2014, 43〜55쪽.

3.

권태환 외, 『중국조선족 사회의 변화』, 서울대 출판부, 2005, 17쪽.

4.

김 게르만, 『한인이주의 역사』, 박영사, 2005, 50〜171쪽.

5.

김경일 외, 『동아시아의 민족 이산과 도시』, 역사비평사, 2004, 58쪽.

6.

이채문, 『동토의 디아스포라』, 경북대 출판부, 2007, 125〜134쪽.

7.

이희정,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매일신보』』, 소명출판, 2008, 76〜93쪽.

8.

정진석, 『언론조선총독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94쪽.

9.

최원식, 『한국근대소설사론』, 창작과 비평사, 1986, 171〜178쪽.

10.

한원영, 『한국 근대 신문 연재소설 연구』, 이회, 1996, 68쪽.

11.

함태영, 『1910년대 소설의 역사적 의미』, 소명출판, 2015, 97〜192쪽.

12.

김복순, 「국민국가 패러다임으로서의 ‘여성의 죄’」, 『여성문학연구』 제3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7〜37.

13.

김형규, 「일제 식민화 초기 서사에 나타난 해외 이주 형상의 의미」, 『현대소설연구』, 제46권,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 101〜134.

14.

노연숙, 「시베리아 철도와 개화기 작가의 북방의식」, 『어문연구』, 제39권 2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년 여름, 245〜268.

15.

배정상, 「이해조의 『소학령(巢鶴嶺)』 연구 - 재외(在外) 공간을 중심으로-」, 『사이間SAI』, 제5호,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83〜111.

16.

배주영, 「신소설의 여성담론 구조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7.

송민호, 「동농 이해조 문학 연구 - 전대(前代) 소설 전통의 계승과 신소설 창작의 사상적 배경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8.

이영아, 「신소설의 개화기 여성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9.

이영아, 「1910년대 매일신보 연재소설의 대중성 획득과정 연구」, 『한국현대문학연구』 23, 한국현대문학회, 2007, 43〜81쪽.

20.

정종현, 「딱지본 대중소설에 나타난 ‘만주’ 표상」, 『한국문학연구』, 33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7, 53〜94쪽.

21.

조형래, 「신소설의 여성과 공간 -신소설의 근대성과 리얼리즘 재고를 위한 시론」, 『한국어문연구』, 제49집,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07, 179〜205쪽.

22.

최수일, 「『巢鶴嶺』 硏究 - 통속성의 서사내적 원리」, 『반교어문연구』, 10권, 반교어문학회, 1999, 239〜268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