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Colonial woman on translation of culture and translated gender: On the basis of Cho-sun's movie 「Fisherman's Fire (Eo-hwa)」, 1938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5, v.0 no.35, pp.283-321
Park so yeo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개인은 국가로부터 ‘주체화, 종속화’ 과정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면서 자신의 삶을 가능케 하는 조건들을 구축해 나가고 자신을 제한하는 국가의 규범, 제도, 도덕 등을 내면화한다. 또한 각 개인은 ‘타자 인식’을 자기 정체성 형성 과정에 적극적으로 도입한다. 그런데 개별적 주체가 자의식을 형성해 가는 과정에서 지대한 영향을 받는 국가 권력, 사회 규범 및 관습, 문화 환경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늘 변화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타 문화, 타 국가 등에 대한 국가 권력이 지정학적 경계 및 역사적 배경에 따른 차별 구조의 성격을 띠면, 각 개인의 자의식 형성에도 그에 상응하는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본고는 1930년대 조선 여성을 중심으로, 당시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로 타자화되어 있던 일본과 조선의 시대적 여건 속에서 개인이 국가와 국가 간의 경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수용하는지, 그래서 자의식(정체성)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당대 조선 여성의 삶 일면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조선 영화 「어화」를 바탕으로 ‘번역 및 젠더에서 나타나는 타자 인식’ 과 ‘문화적, 젠더적 정체성 형성과정’을 검토하였다. 특히 문화 번역과 번역된 젠더의 문제라는 별개의 영역이 교차되는 지점에 주목하여 ‘타자성의 오리엔탈리즘’, ‘이중적으로 타자화된 조선 여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keywords
Colonial otherness, Oientalism, Tanslation of culture, Tanslated gender, Primitivism, Sexuality, 타자성, 오리엔탈리즘, 문화번역, 번역된 젠더, 식민지 조선 여성, 원시주의, 섹슈얼리티

Reference

1.

레이초우, 『원시적 열정』, 정재서 역, 이산, 2004, 11쪽.

2.

로렌스 베누티, 『번역의 윤리: 차이의 미학을 위하여』, 임호경 역, 열린책들, 2006, 26〜136쪽.

3.

리쾨르, 폴, 『번역론: 번역에 관한 철학적 성찰』, 윤성우․이향 옮김. 서울: 철학과현실사, 2006. Ricoeur, P.(2004), Sur la traduction, Paris: Bayard, 87쪽.

4.

백영서,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 창비, 2013, 30〜33쪽.

5.

권명아, 「[특집:한국 근대문학 양식의 형성과 전개] 여성․수난사 이야기의 역사적 층위」, 『상허학보』 제10집, 상허학회, 2003, 149〜177쪽.

6.

김남석, 「극광영화제작소와 <어화> 연구」, 『한어문교육』 제28집,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3, 365〜385쪽.

7.

김미윤, 「주제서평 : 글로벌 시대의 문화 번역 -김현미 저(2005). 『글로벌 시대의 문화 번역』 서울: 또하나의 문화-」, <청소년문화포럼> 12권,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05, 180〜187쪽.

8.

김소영, 「신여성의 시각적 재현」, 『문학과 영상』 제7권 2호, 문학과영상학회, 2006, 93〜129쪽.

9.

김정현, 「언어 번역에서 문화 번역으로: 폴 리쾨르 번역론 연구를 통한 상호문화성 성찰」, 새한철학회 논문집 『철학논총』 57집, 2009, 95〜120쪽.

10.

박선주, 「(부)적절한 만남: 번역의 젠더, 젠더의 번역」, 『안과 밖』 제23권, 영미문학연구회, 3호, 2012, 289〜315쪽.

11.

박정희, 「2006년도 상반기 전국학술대회 발표논문 : 1930년대 영화로 본 중국 "신여성”과 재현의 정치학」, 『중국어문학』 47권, 영남중국어문학회, 2006, 147〜161쪽.

12.

손이레, 「재생, 일시정지 - 일제 시기의 서사영화와 여성 재현 역학」, 『대중서사연구』 제13권 제2호, 대중서사학회, 2007, 289〜323쪽.

13.

양승국, 「1930년대 농민극의 딸 팔기 모티프의 구조와 의미」, 『한국 근대극의 존재형식과 사유구조』, 연극과 인간, 2009, 159쪽.

14.

이상빈, 「문화번역과 젠더번역에 관한 이론적 고찰」, 『소통번역학연구』 Vol.16 No.3,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 2012, 23〜42쪽.

15.

이화진, 「식민지 영화의 내셔널리티와 향토색」, 『상허학보』 제13집, 상허학회, 2004, 363〜388쪽.

16.

전혜은, 「근대적 주체 이후의 행위성: 주디스 버틀러의 행위성 이론」, 『영미문학페미니즘』 19권 2호,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2011, 153〜191쪽.

17.

정민아, 「1930년대 조선 영화와 젠더 재구성」,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8.

태혜숙, 「문화연구의 방법론으로서 ‘젠더번역’에 대한 탐색」, 『젠더와 문화』, Vol.6 No.1,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3, 83〜107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