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불안한 주체의 시선과 글쓰기: 1930년대 남성작가의 아내표제소설 읽기

Anxious Subjects, Their Views and Writing - Reading Wife-titled Novels of Male Writers in the 1930’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6, v.0 no.37, pp.129-169
이상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논문은 1930년대 남성작가가 쓴 아내표제 소설에 나타난 윤리적 태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작가로서 남성주체는 당시 여성(아내) 현실에 대해 어떤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자본주의적 가부장제와 식민지 현실에서 근대지식인으로서 무력한 남성성과 주체의 불안이 여성(아내) 이미지 재현과 어떤 상관성을 보이는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김유정은 「안해」에서 우부와 우처의 궁합을 희화화시켜 그림으로써, 가부장의 폭압을 폭로하고 회피하는 전략을 보였고, 김동인은 「무능자의 아내」에서 무능한 남편의 실책을 아내의 충동적 가출에 의한 타락과 불행이라는 결과로 은폐하고 있다. 이광수와 이기영의 모델소설, 「혁명가의 아내」와 「변절자의 아내」에서는 아내를 이념논쟁의 대리인이자 변절과 타락의 원흉인 악처로 그렸다. 김남천은 전향소설인 「처를 때리고」, 「이런 안해」에서 아내를 자기혐오에 빠진 위축된 남편들의 가상의 적대자이자 위험한 제2부인으로 그림으로써 비난을 전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서도 주체적이고 이성적인 가정 관리자를 등장시킨 안석영의 「안해」나 자립적인 노동자로서 남편과의 계급적 대립을 넘어 주체적인 여성을 형상화한 채만식의 희곡 「감독의 아내」는 주목할 만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남성지식인의 글쓰기에서 아내는 주로 근대지식인의 위험하고 나쁜 동반자이거나 우둔하고 일탈적인 타자로 재현되었다. 또한 불안한 남성주체의 시선에 의해 왜곡되고 삭제된 채 그려졌으며, 현실 문제를 은폐하기 위한 자기방어 전략의 희생물로서 해석상에서도 사각지대에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Wife, Husband. Wife-titled Novel, Masculinity, Capitalist Patriarchy, Modern Woman, Running Away from Home, The Second Wife, Conversion Novel, Roman à clef, 아내, 남편, 아내표제소설, 남성성, 자본주의적 가부장제, 신여성, 출분, 제2부인, 전향소설, 모델소설

참고문헌

1.

강경애, 이상경 편, 『강경애전집』, 소명출판, 1999.

2.

김남천, 「이런 안해(혹은 이런 남편)」, 『농업조선』, 1939.4.

3.

김남천, 「처를 때리고」, 『소년행』, 학예사, 1939.

4.

김유정, 『김유정 단편선 –동백꽃』, 문학과지성사, 2010.

5.

김동인, 『김동인단편전집 1』, 가람기획, 2006.

6.

박노갑, 『박노갑소설집–40년』, 깊은샘, 1989.

7.

안석영, 『안해』, 『여성』, 1936.11~1937.4.

8.

이광수, 『이광수 전집 2』, 삼중당, 1976.

9.

이광수, 「혁명가의 아내와 모델」, 『신여성』, 1932.4.

10.

이기영, 「혁명가의 안해와 이광수」, 『신계단』, 1933.4.

11.

이기영, 『이기영 단편선 – 민촌』, 문학과지성사, 2006.

12.

채만식, 「감독의 아내」, 『동광』 31호, 1932.3.

13.

최승일, 「안해」, 『신여성』, 1924.6.

14.

염상섭, 「똥파리와 그의 아내」, 『신민』, 1929.1.

15.

김경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푸른역사, 2004, 50~54쪽.

16.

김유정학회 편, 『김유정과의 만남』, 소명출판, 2012, 78쪽.

17.

김유정학회 편, 『김유정의 귀환』, 소명출판, 2011, 131~133쪽.

18.

김하명 외, 『조선문학사(1926-1945년)』, 평양: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1, 366쪽.

19.

김혜경, 『식민지하 근대 가족의 형성과 젠더』, 창비, 2006, 314쪽.

20.

박형지․설혜심, 『제국주의와 남성성 – 19세기 영국의 젠더 형성』, 아카넷, 2004, 118~130쪽.

21.

연구공간 수유+너머 근대매체연구팀, 『매체로 본 근대여성풍속사, 신여성』, 한겨레신문사, 2005, 218쪽.

22.

이상진, 『한국근대작가 12인의 초상』, 옛오늘, 2004, 65~67쪽.

23.

이상진․김신정 ․심원섭․ 한수영, 『한국근대작가론』, KNOU Press, 2015, 341~344쪽.

24.

이혜령, 『한국 근대소설과 섹슈얼리티의 서사학』, 소명출판, 2007, 19쪽.

25.

이혜령, 『한국소설과 골상학적 타자들』, 소명출판, 2007, 37~38쪽.

26.

조남현, 『그들의 문학과 생애 – 이기영』, 한길사, 114쪽

27.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28.

R. W. 코넬, 안상욱 현민 역, 『남성성/들』, 이매진, 2013, 123~130쪽.

29.

모리스 블랑쇼, 이달승 역, 『문학의 공간』, 그린비, 2011, 60~61쪽.

30.

노오먼 프리이드먼, 「플롯의 제 형식」, 김병욱 편, 최상규 역, 『현대소설의 이론』, 대방출판사, 1984, 180~181쪽.

31.

강지윤, 「전향자와 그의 아내-룸펜 인텔리겐차와 자기반영의 문제들」, 『사이』 8호, 2010. 221~251쪽.

32.

강현구, 「1920~30년대 모델소설의 새로운 독법과 매혹적인 악녀상」, 『한국문예비평연구』 16권, 2005, 7~32쪽.

33.

김미영, 『1920년대 여성담론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2003, 1~268쪽.

34.

김미현, 「숭고의 탈경계성」, 『한국문예비평연구』 38집, 2012. 8, 193~214쪽.

35.

노지승, 「한국근대소설의 여성 표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05, 1~200쪽.

36.

박정애, 「근대적 주체의 시선에 포착된 타자들」, 『여성문학연구』, 2001, 54~80쪽.

37.

배효진, 「1920년대 전기 소설에 나타난 여성상연구」, 세종대 박사논문. 2009, 9~224쪽.

38.

소현숙, 「고독한 외침,-식민지 시기 아내/며느리에 대한 사형과 여성들의 법적 투쟁」, 『역사비평』, 2013.8, 387~411쪽.

39.

소현숙, 「생존과 자존의 길 찾기 – 1920~30년대 여성 이혼과 빈곤문제」, 『여성문학연구』 32호, 2014, 75~113쪽.

40.

신수정, 「한국근대소설의 형성과 여성의 재현양상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3, 1~132쪽.

41.

유진월, 「1930년대 프로극의 여성인물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6, 1996. 7, 9~34쪽.

42.

이미림, 「이기영의 ‘여성해방’ 소설연구」, 『여성문학연구』 6권, 2001, 135~158쪽.

43.

임선애, 「<혁명가의 아내>와 <변절자의 아내>」, 『영남어문학』, 2002, 177~191쪽.

44.

임정연, 「1920년대 연애담론연구 : 지식인의 식민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논문, 2006, 1~214쪽.

45.

임정연, 「근대 젠더담론과 ‘아내’라는 표상」, 『배달말』 45, 2009, 461~495쪽.

46.

전미경, 「1920~30년대 현모양처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권 3호, 2004, 75~93쪽.

47.

전미경, 「1920-30년대 ‘남편’을 통해 본 가족의 변화」, 『한민족문화연구』 29, 2009, 405~438쪽.

48.

정혜영, 「삶과 문학의 경계 - 김동인의 <무능자의 아내>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30집, 2006, 13~32쪽.

49.

한민주, 「1930년대 후반기 전향소설에 나타난 남성 매저키즘의 의미-김남천과 한설야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10권, 2003, 276~299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