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시장과 전장』의 생존의 서사

The Narrative of Survival on 『Market and Warfield』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6, v.0 no.38, pp.193-225
박은정 (한국외국어대학교)

Abstract

박경리 장편소설 『시장과 전장』은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사람들이 생존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전시(戰時)의 생존은 총과 칼의 겨냥으로부터 피해나가는 것이고, 의식주의 해결로 생명을 이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전쟁에서는 이런 전쟁에서의 생존 문제에 ‘이데올로기’라는 문제가 더해져서 보다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그러므로 한국문학에서 전쟁을 다룰 때 ‘이데올로기’의 문제는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다. 또한 전시(戰時) 굶주림의 문제 또한 거론되었다. 『시장과 전장』은 기훈의 서사와 지영의 서사로 나뉜다. ‘기훈’의 서사는 공산주의와 아나키즘 등 이념의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 한편 ‘지영’의 서사는 소시민으로 전쟁에서 생존을 모색하는 현실의 측면을 그리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장과 전장』에 나타난 전시의 생존 문제에 주목한다. 『시장과 전장』에서는 전시 생존의 문제를 ‘사상의 검열’과 ‘시장 형성’으로 파악하고 있다. ‘사상 검열’의 문제는 자본주의니 사회주의니 하는 이념의 문제가 아니라 남측에서 ‘빨갱이’이데올로기로 파악되는 ‘반공’이데올로기와 이에 비견되는 북측의 ‘반동’이데올로기의 문제이다. 『시장과 전장』에서는 아무런 사상도 이념도 없는 민중들이 전쟁을 거치면서 반공 혹은 반동 이데올로기의 검열로 생존이 위협받는 현실을 보여준다. 또한 이 작품은 전시 생존의 근원적 문제인 의식주의 해결을 ‘시장’을 통해 그려내고 있다. 전세의 흐름에 따른 시장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포착하여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전시의 생존 문제를 ‘지영’의 서사를 통해 살핀다. 한국전쟁 발발 이후 피난을 하지 못하고 서울에 남아있던 지영은 서울의 점령군이 인민군과 국군, 중공군과 연합군으로 바뀔 때마다 사상 검열을 통과해야만 했다. 이 문제로 남편이 잡혀가고, 어머니가 죽음을 맞게 된다. 하지만 사상 검열에서 희생된 사람들은 정작 ‘사상’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사람들이었음을 이 소설은 보여준다. 그동안 박경리 초기소설은 전쟁미망인 혹은 지식인 여성의 문제, 이데올로기의 문제 등으로 파악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그동안의 연구 성과에 덧붙여 박경리 소설이 한국전쟁 당시 사회, 경제 전반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점을 확인하게 된다.

keywords
The Novel in Korea War, The Novel of War by Park Kyongni, Survival in War, Censorship of Ideology, Anti Communist Ideology, Market Formation in Wartime., 한국전쟁 소설, 박경리 전쟁소설, 전시 생존, 사상 검열, 반공이데올로기, 반동이데올로기, 전시 시장 형성

참고문헌

1.

박경리, 시장과 전장, 마로니에북스, 2013.

2.

강성현 외, 전장과 사람들, 선인, 2010, 124쪽.

3.

게오르그 짐멜, 안준섭 외 역, 돈의 철학, 한길사, 1983, 119, 129쪽.

4.

김윤식 정호웅,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0, 348~349, 361쪽.

5.

이임하 외, 전쟁 속의 또 다른 전쟁–미군 문서로 본 한국전쟁과 학살, 선인, 2011, 144~145쪽.

6.

조남현, 박경리, 서강대학교출판부, 1996, 255쪽.

7.

김양선, 한국전쟁에 대한 젠더화된 비판의식과 낭만성, 페미니즘연구 제8권 2호, 한국여성연구소, 2008, 197~222쪽.

8.

김예니, 박경리 초기 단편소설의 서사적 거리감에 따른 변화 양상, 돈암어문학 제27호, 돈암어문학회, 2014, 217~251쪽.

9.

김은경, 박경리 장편소설에 나타난 인물의 ‘가치’에 대한 태도와 정체성의 관련 양상, 국어국문학 146, 국어국문학회, 2007, 433~480쪽.

10.

김은하, 전쟁미망인 재현의 모방과 반영–박경리의 『표류도』를 대상으로, 인문학 연구 47,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277~301쪽.

11.

김재용, ‘반동’이데올로기와 민중의 선택, 역사문제연구, 역사문제연구소. 2001.6, 97~110쪽.

12.

백낙청, 피상적 기록에 그친 6.25수난, 신동아, 동아일보사, 1965.4, 324~327쪽.

13.

서재원, 박경리 초기소설의 여성가장 연구–전쟁미망인 담론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50집 (15권 1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1, 151~167쪽.

14.

유임하, 박경리 초기소설에 나타난 전쟁체험과 문학적 전환 - 『애가』, 『표류도』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46,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481~508쪽.

15.

이선미, 한국전쟁과 여성 가장 : ‘가족’과 ‘개인’ 사이의 긴장과 균열 – 1950년대 박경리와 강신재 소설의 여성 가장 형상화를 중심으로 . 여성문학연구 10, 한국여성문학회, 2003, 88~116쪽.

16.

임경순, 유토피아에 대한 몽상으로서의 이념, 한국어문학연구 제45집,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05, 271~298쪽.

17.

장미영, 박경리 소설 연구–갈등 양상을 중심으로, 숙명여대 박사논문, 2001, 1~172쪽.

18.

허연실, 1950년대 박경리 소설의 ‘근대’와 ‘여성’, 한국문예비평연구 36,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399~421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