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f the Spatiality of 'Strange Land' in a Poem of Hong Yoon-Sook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6, v.0 no.38, pp.169-192
Oh, Yoon-Jeong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홍윤숙 시인은 전후 여성시의 독특한 지형을 보여주는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기존 연구는 홍윤숙의 시가 사색적, 내면지향적인 특징을 지닌다고 논하고 시가 보여주는 지성과 감정의 절제에 주목한다. 그러나 홍윤숙 시에 대한 논의는 단평이나 개별 시집 연구에 국한되거나, 동시대의 여타 여성 시인과의 비교 고찰에 머무는 등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홍윤숙 시인이 어떤 경향이나 유파에 속하지 않았다는 것, 그리고 여성시인이라는 편견이 연구에서 배제되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타관’이라는 시적 공간을 통해 홍윤숙 시의 현실적, 역사적 공간인식을 살펴보는 데 있다. 홍윤숙 시의 ‘타관’은 단지 구체적인 지명이나 장소를 넘어 홍윤숙 시의 특질을 보여주는 시적 공간이다. 시적 공간은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체험이나 경험이 녹아 있는 언어화된 장이며, 시적 화자의 의식과 무의식이 발현되는 장소이다. 홍윤숙의 시에서 ‘타관’은 삶과 죽음, 고향과 타향, 인간 근원의 고독과 같은 시적 인식을 펼치는 시적 공간이다. 이는 분단 디아스포라적인 역사적 정체성을 드러내며, 한편으로 죽음과 삶에 관한 실존적 인식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존재론적이고 허무주의적인 홍윤숙의 시는 여성시의 지형에서 독특한 일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홍윤숙 시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많은 과제가 남아 있다. 이 연구는 그 가운데 ‘타관’이라는 시적 공간의 의미를 고찰하고, 그를 통해 홍윤숙 시의 시적 지향과 특징을 살펴보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Hong Yoon Sook, Strange Land, Poetic Space, Spatiality, Memory Space, Topophilia, Diaspora, Spatialized Time, Temporalized Space, 홍윤숙, 타관, 시적 공간, 공간성, 기억 공간, 장소애, 디아스포라, 시간의 공간화

Reference

1.

홍윤숙, 여사시집, 동국문화사, 1962.

2.

홍윤숙, 풍차, 신흥출판사, 1964.

3.

홍윤숙, 장식론, 하서출판사, 1968.

4.

홍윤숙, 일상의 시계소리, 한국시인협회, 1971.

5.

홍윤숙, 타관의 햇살, 유림문화사, 1974.

6.

홍윤숙, 하지제, 문지사, 1978.

7.

홍윤숙, 사는법, 열화당, 1983.

8.

홍윤숙, 태양의 건넛마을, 문학사, 1987.

9.

홍윤숙, 경의선 보통열차, 문학세계사, 1989.

10.

홍윤숙, 낙법놀이, 세계사, 1994.

11.

홍윤숙, 실낙원의 아침, 열린출판사, 1996.

12.

홍윤숙, 조선의 꽃, 마을, 1998.

13.

홍윤숙, 마지막 공부, 분도출판사, 2000.

14.

홍윤숙, 내 안의 광야, 열린, 2002.

15.

홍윤숙, 지상의 그 집, 시와 시학사, 2004.

16.

홍윤숙, 쓸쓸함을 위하여, 문학동네, 2010.

17.

홍윤숙, 그 소식, 서정시학, 2012.

18.

김재홍, 현대시와 역사의식, 인하대학교출판부, 1988. 196쪽.

19.

김해성, 한국현대시문학전사, 형설출판사, 1975. 572쪽.

20.

서경식, 디아스포라 기행-추방당한 자의 시선, 돌베개, 2006. 3~15쪽.

21.

허갑순, 현대시의 시간과 공간인식, 책가, 2016. 28~44쪽.

22.

알라이다 아스만, 변학수․채연숙 역, 기억의 공간, 그린비, 2005. 15~34쪽.

23.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 외 역,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39~128쪽.

24.

에드워드 소사, 이무용 역, 공간과 비판사회이론, 시간과 언어, 1997, 106쪽.

25.

이-푸 투안, 구동회․심승희 역, 공간과 장소, 대윤, 2007, 6~19쪽.

26.

이-푸 투안, 이옥진 역, 토포필리아, 에코, 2011, 21~146쪽.

27.

김광림, 이 시대를 사는 아픔의 인식, 현대시학, 1979, 3월호, 92쪽.

28.

김인경, 홍윤숙 초기 시의 실존의식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40, 2013, 5~29쪽.

29.

김지향, 홍윤숙 시에 나타난 생활적 애정의식 연구, 한양여자전문대학논문집 14. 1991, 153~195쪽.

30.

김현, 감상과 극기-여류시의 문제점, 한국여류문학인회 편, 여류문학전집6, 삼성출판사, 1967, 323~356쪽.

31.

김현자, 홍윤숙의 거리두기와 집짓기의 시학, 한국시의 감각과 미적 거리, 문학과 지성사, 1997, 297~299쪽.

32.

송명희, 이상화 시의 장소와 장소상실, 한국시학연구 23, 2008, 219~242쪽.

33.

이경수, 1950년대 여성시의 지형과 여성적 글쓰기의 가능성, 여성문학연구 21, 2009, 7~44쪽.

34.

이희상, 근대성의 도시에서 시간화된 흐름과 공간, 문화역사지리 20권 2호, 2008, 14~42쪽.

35.

장일구, 장소에서 공간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36, 2009, 23~50쪽.

36.

한원균, 한국 현대문학과 도시공간의 의미, 한국문예창작 14, 2008, 7~36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