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and Cultural Politics of Sympathy/Hatred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6, v.0 no.38, pp.291-314
Kim EunHa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탈북여성은 초국적 자본의 이동과 노동시장의 재편성 속에서 국민국가가 이주와 정주의 장으로 변화함에 따라 이주자, 외국인 노동자 등과 함께 한국문학이 새롭게 주목한 주인공이다. 북한 여성들의 월경은 북한 체제의 가부장적 권위가 무너지는 한편으로 세계체제의 주변부 지역들이 강대국과 거대자본에 의해 서발턴화되고 있음을 증언한다. 탈북여성들의 이야기는 환대는 낯선 땅에 도착했을 때 적대적으로 대접받지 않을 이방인의 권리임에도 불구하고 무국적자나 난민은 국가, 국민, 영토라는 삼위일체에서 추방당한 사람들로 거주할 장소를 가지지 못하기에 ‘사람’이 될 수 없음을 암시한다. 이들은 사회가 그 지위를 인정해주지 않는 한 최소한의 법의 보호도 받을 수 없는 ‘비인간’, 소위 ‘절대적 타자’라는 말로밖에는 부를 수 없는 존재이다. 한국문학은 이렇듯 비인간으로서 탈북여성이 겪는 고통을 시민의 양심을 일깨워 줄 공감 윤리의 자원으로 재발견한다. 그녀들이 이동의 과정에서 겪는 비참과 모멸적 사건들은 슬픔, 분노, 경악 같은 감정들을 요동치게 한다. 이는 피해자가 겪은 고통이 전달되어 제 삼자인 관망자도 당사자가 느끼는 것과 유사한 감정을 얻음으로써 ‘동류의식’이 형성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그러나 탈북여성을 공감의 대상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북한과 중국의 국경지대는 문명의 도덕 질서에서 벗어난 야만성으로 은유된다. 소설 속 아시아는 황량한 자연만큼이나 이익을 위해서라면 강간이나 살인마저 불사하는 이리떼의 땅, 즉 만인이 만인에게 늑대가 되는 자연상태를 연상시킨다. 이러한 재현은 세계체제의 하위제국으로 부상 중인 한국이 북한과 중국이라는 로컬을 스스로와 구별지음으로써 탈(脫)아시아하려는 욕망을 암시한다. 혐오는 경계의식과 서열의식을 내포하는 동시에 자신과의 근접성과 동질성에 대한 인식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탈북여성에 대한 재현 역시 혐오 경제를 벗어났다고 보기 어렵다. 그녀들은 아시아라는 그로테스크한 공간에서 짓밟히고 착취당해 비인간으로 전락함으로써 동정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keywords
탈북여성, 이방인, 장소 상실, 국경, 시민권, 혐오, 공감 등, The North Korea, Female Refugees, Stranger, Loss of Place, Border, Civic Rights, Hatred, Sympathy etc.

Reference

1.

강영숙, 리나, 랜덤하우스코리아, 2006.

2.

이경자, 세 번째 집, 실천문학사, 2014.

3.

이대환, 큰돈과 콘돔, 실천문학사, 2008.

4.

정도상, 찔레꽃, 창비, 2008.

5.

김현경, 사람 장소 환대, 문학과지성사, 2015, 207쪽.

6.

김현미,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 돌베개, 2014, 216쪽.

7.

서경식, 난민과 국민 사이, 임성모․이규수 역, 돌베개, 2006, 204~216쪽.

8.

이진경, 서비스 이코노미, 나병철 역, 소명출판사, 2015, 5~15쪽.

9.

가라타니 고진, 세계공화국으로, 조영일 역, 도서출판b, 2007, 170~178쪽.

10.

마사 누스바움, 혐오와 수치심, 조계원 역, 민음사, 2015, 201~207쪽.

11.

수전 손택, 타인의 고통, 이재원 역, 이후, 2004, 154쪽

12.

아마르티아 센, 정체성과 폭력: 환영에 의한 폭력, 이상환·김지현 역, 바이북스, 2009.

13.

애덤 스미스, 도덕감정론, 박세일․민경국 역, 2010, 비봉출판사, 235쪽.

14.

장 자크 루소, 에밀, 김중현 역, 한길사, 2009, 398~401쪽.

15.

지그문트 프로이트, 문명 속의 불만, 김석희 역, 열린책들, 1997, 1~397쪽.

16.

김미현, 혐오의 매혹: 코맥 맥카시의 『피의 자오선』, 감정의 지도그리기, 2015, 소명출판사, 213쪽.

17.

김애령, 이방인의 언어와 환대의 윤리, 젠더와 탈/경계의 지형, 이화인문과학원 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9, 44~47쪽.

18.

박규택, 주권국가의 생성과 변화 속 로컬리티의 위상, 로컬리티의 인문학 26, 2013, 5쪽.

19.

소영현, 마이너리티, 디아스포라-국경을 넘는 여성들, 여성문학연구 제22호, 2009, 65~91쪽.

20.

손철성, 난민의 인권, 윤리교육연구 제32집,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207~208쪽.

21.

신경숙, 공감, 보기, 그리고 감정노동-『프랑켄스타인』의 아담 스미스 다시 읽기, 영어영문학 제58권 2호, 2012, 189~215쪽.

22.

오영숙, 탈북의 영화적 표상과 아시아라는 공간, 탈북의 경험과 영화 표상, 2011, 문화과학사, 177쪽.

23.

이혜령, 탈국경의 상상과 21세기 한국소설의 역사지리학, 한국소설과 골상학적 타자들, 소명출판, 2007, 352~353쪽.

24.

하용삼, 배윤기, 경계의 불일치와 사이 공간에서 사유하기-G. 아감벤의 국민․인민, 난민을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62집, 2013, 85~108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