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여성노동에 대한 유가 담론과 그 재생산 방식에 대하여

The Confucian Discourse on Women’s Labor and It’s Way of Reproduction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6, v.0 no.38, pp.41-72
김경미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이 글은 여공(女功), 치산(治産)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면서 부녀의 덕으로 간주되어 온 여성노동에 대한 유교 담론을 유교 경전 및 여성 교훈서를 통해 살펴보고, 조선시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기록 중 한 예를 들어 여성노동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그 담론 구성의 방식을 보기 위한 것이다. 실제 여기서 다루는 것은 주로 가내에서 이루어진 노동이 중심이 될 것이다. 유교 경전이나 여성 교훈서는 여성의 공간을 집안으로 한정하고 집안에서 이루어지는 노동을 중심으로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노동에 대한 유가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우선 노동에 대한 유가의 인식을 간단히 살펴보고, 유교 경전과 여성 교훈서 중에서 『여사서』를 중심으로 여성노동을 어떻게 이해하고 이야기하고 있는지를 본다. 유교 경전이나 『여사서』는 여성에 대한 지식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교육함으로써 그 지식을 공고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 장치로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리고 조선시대 행장류 기록 중 신대우 부부에 대한 것을 비교하면서 부덕으로 여성노동 담론이 재생산되는 한편, 남성의 기록 속에서는 은폐되는 양상을 보고자 한다. 이것은 하나의 예이지만 조선시대 여성노동 담론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Women’s Labor, Confucian Women’s Classics(女性敎訓書), The Four Books for Women(女四書), Yeo-Gong(女功), Haeng-Jang(行狀), 여성노동, 여공, 여사, 부공, 치산, 여사서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consider the Confucian discourse on women’s labor through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Confucian Women’s Classics(女性敎訓書) and to reveal the way of reproduction of women’s labor.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the Confucian Women’s Classics regard women’s labor as yeo-gong(女功), one of virtue. Because it was necessary to emphasize women’s labor for maintaining the domestic economy, Confucian patriarchism needed to control women’s space and time, and to regulate women’s body. To reveal the Confucian thought on women’s labor, first, I examine the thought on the concept of labor briefly, second, I analyse how the Four Books for Women(女四書), one of the representative of the Confucian Women’s Classic’s, understand and explain women’s labor. Through this analysis, I attempt to reveal that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the Confucian Women’s Classics produce the knowledge about women and work as the apparatus to reproduce the women’s labor. And then, among haeng-jang(行狀), the records of a deceased person's life of Chosun Dynasty, I select records of Shin Daewoo(申大羽, 1735~1809) and his wife written by their son, Shin Jak(申綽, 1760~1828), and compare the perspective of narration. In the record of Shin Daewoo, Shin Jak mainly narrated the scholarship and the career, and did not write his mother’s labor. On the other hand, in his mother’s record, Shin Jak emphasized her labor and management of their property and tried to make his daughters in law and other women in his family remember in order to reproduce the women’s labor.

keywords
Women’s Labor, Confucian Women’s Classics(女性敎訓書), The Four Books for Women(女四書), Yeo-Gong(女功), Haeng-Jang(行狀), 여성노동, 여공, 여사, 부공, 치산, 여사서

참고문헌

1.

논어

2.

맹자

3.

소혜왕후, 내훈, 이경하 역주, 2011, 한길사, 1~427쪽.

4.

신작, 石泉遺稿, 한국문집총간 279, 476~573쪽.

5.

소학

6.

시경

7.

조대가외, 여사서, 이숙인 역주, 도서출판여이연, 2003, 1~386쪽.

8.

예기

9.

홍학희 역주, 19세기․20세기초 여성생활사 자료집 1, 1~828쪽.

10.

김현미 역주, 19세기․20세기초 여성생활사 자료집 4, 1~538쪽.

11.

김경일, 노동, 한국개념사총서 9, 小花, 2014, 135~146쪽.

12.

김성희, 한국여성의 가사노동과 경제활동의 역사, 신정, 2002, 1~303쪽.

13.

이능화, 朝鮮女俗考, 민속원, 1995, 1~177쪽.

14.

권순형, 고려시대 여성의 일과 경제활동, 이화사학연구 31, 2004, 57~80쪽.

15.

김경미, 선비의 아내, 그녀들의 숨은 노동, 여/성이론 11, 도서출판여이연, 2004, 188~207쪽.

16.

김경미, 조선후기 여성의 노동과 경제활동:18~19세기 양반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8권 4호, 2012, 85~117쪽.

17.

김언순, 朝鮮時代女訓書에 나타난 女性의 正體性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1~209쪽.

18.

이경하, 彤管의 전통, 그 일상의 정치, 국문학연구 15, 2007, 79~96쪽.

19.

이순구, 조선초기 여성의 생산노동, 국사관논총 49, 77~103쪽.

20.

이영찬, 공자의 경제사상과 노동관, 한국학논집 38,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9, 75~116쪽.

21.

최우석, ≪시경≫에 표현된 ‘생산노동’의 종류와 그 예술성, 중국학논총 28, 2010, 91~110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