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Women Destroyed: Translation of Beauvoir Text in the 1970´s and Gender/Sexuality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6, v.0 no.39, pp.337-373
PARK, JI YOUNG

Abstract

본 연구는 1970년대 한국에서 시몬느 드 보부아르의 텍스트와 사상이 어떠한 방식으로 번역되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의 보부아르 번역사에는 도덕적 관념을 뛰어넘는 자유로운 실존적 사랑에서 남녀 간의 동지적 사랑. 혹은 일부일처제에 대응하는 일탈에의 욕망까지 다양한 의식이 혼재되어 있었다. 특히 보부아르의 번역이 활발했던 1970년대는 여성학이 제도화되는 등, 한국 여성 의식이 성장하기 위한 객관적 발판이 마련되었던 시기이다. 고학력 여성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책 읽는 지식인 여성이 늘어나면서 여성들의 인식이 독서를 통해서 성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점을 증명해 주는 텍스트가 1975·76년 최고의 베스트셀러를 기록한 보부아르의 「위기의 여자」이다. 한국에서 보부아르의 텍스트는 「위기의 여자」의 발간 이전부터 번역되었으며, 이 시기의 인기에 힘입어 이후 『제2의 성』 등 주요 텍스트가 번역되기도 한다. 그 중에서도 사르트르와 계약결혼에 관한 텍스트가 많이 번역되어 대중적인 관심이 보부아르의 철학적 측면보다는 사생활, 특히 연애관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동지적 연애를 꿈꾸었던 당대 여성들의 열망이 반영된 결과이다. 그러면서도 이 시기에는 「위기의 여자」 외에도 여성의 억압적 현실, 특히 핵가족 제도 내부에서 구성된 허위의식을 비판하는 텍스트도 번역된다. 그만큼 당대의 (핵)가족 제도와 미풍양속이라는 전통 관념의 억압에 대응하는 여성들의 의식이 변화했던 것이다. 「위기의 여자」에서 보부아르는 여성 스스로가 억압적 현실을 인식하고 존재론적 자각을 이루어야 한다는 점을 매우 냉정한 시각에서 주장하고 있다. 한국에서 이루어진, 「위기의 여자」의 베스트셀러화는 이 텍스트가 불륜이라는 소재를 통해 중년부부의 위기라는 흥미로운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점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모니끄가 존재론적 자각을 이루기까지 직면해야 했던 처절한 상황에 당대 여성들이 공감했기 때문이다. 또한 ‘불륜’에 유난히 분노했던 당대 한국 여성들의 특수성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당시 한국여성들은 가부장제의 전통과 현모양처 이데올로기, 핵가족 제도의 모순 속에 개별자들간의 관계가 아닌 남편과의 관계를 통해서만 자기 존재성의 증명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이었기에 보부아르와 사르트르의 동지적 사랑을 동경하면서도 보부아르가 기획했던 부조리성을 깨닫는 개별자로서의 여성의 존재론적 자각은 제대로 수용되기 어려웠다. 그래서인지 보부아르의 텍스트 중 「위기의 여자」는 여성주의적 시각을 전유하기 시작한 지식인 여성들에게는 환영받지 못했다. 이를 볼 때 여성주의적 시각을 전유했던 지식인 여성 혹은 여성작가들과 「위기의 여자」를 읽었던 여성들 간 존재론적 성찰의 온도차는 아직 분명히 존재했던 것이다. 이러한 여러 다양한 번역의 진폭은 여러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텍스트가 한국 여성주의 문학 발전에 하나의 기준점이었다는 사실을 무시할 수 없게 만든다.

keywords
Simone de Beauvoir, 「The Woman Destroyed」(La Femme Rompue), The 1970s, Nuclear Family System, Marriage System, Decent Social Customs, Ideology of Good Wife and Wise Mother, Femininity, Patriarchy, Solidarity, Tranlation, Gender, Translation., 시몬느 드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 「위기의 여자」(La Femme rompue), 1970년대, 핵가족제도, 결혼제도, 미풍양속, 현모양처 이데올로기, 여성성, 가부장제, 번역, 젠더, 섹슈얼리티

Reference

1.

『동아일보」

2.

『경향신문』

3.

『조선일보』

4.

『매일경제』

5.

『한국일보』(1945∼1979)

6.

권영자, 「여성의 인간화」, 『창작과비평』12(2), 1977, 693∼698쪽.

7.

김붕구, 「싸르트르와 보봐르의 신화」, 『사상계』, 1964.12, 263∼271쪽.

8.

시몬느 드 보봐르, 요셉 로겐돌푸, 이동한 역, 『실존주의와 카톨리시즘』, 협문사, 1958.

9.

시몬느 드 보봐르, 요셉 로겐돌푸, 李東實 역, 『실존주의문학』, 경문사, 1959.

10.

시몬느 드 보브와르, 「병든 프랑스의 제2의 성」, 『여원』, 1961.7.8., 141∼147쪽.

11.

시몬느 드 보봐르, 「老人이여!生의기쁨을」, 『月刊中央』49, 1972.4., 178∼195쪽.

12.

시몬느 드 보봐르, 「따져봐야 할 모든 것들」, 『문학사상』5, 1973.2.

13.

시몬느 드 보부아르, 오증자 역, 『위기의 여자』, 정우사, 1975.

14.

시몬느 드 보봐르, 오증자 역, 『아름다운映像』, 正宇社, 1976.

15.

시몬느 드 보봐르, 全盛子譯, 『처녀시절』, 文藝出版社, 1976.

16.

시몬느 드 보봐르, 尹映乃譯, 『第二의性: 自由스러운女子』, 自由文學社, 1977.

17.

시몬느 드 보봐르, 권영자譯, 『부드러운 죽음』, 평민사, 1977.

18.

시몬느 드 보봐르, 李石奉譯, 『계약결혼』, 民藝社, 1979.

19.

시몬느 드 보봐르, 吳登子譯, 『완전한自由』, 文學世界社, 1980.

20.

시몬느 드 보봐르, 全盛子譯, 『창백한 정신의 계절』,두레, 1980.

21.

박완서, 『서 있는 여자의 갈등』, 나남, 1986.

22.

박완서, 『박완서 소설전집8- 살아있는 날의 시작』, 세계사, 2012.

23.

오증자, 「실존과 사랑의 새 방향」, 『여상』, 1967.9., 100∼103쪽.

24.

오증자, 「싸르트르 내외의 회고록 ‘불란서문학’」, 『문학춘추』 1(3,), 1964.3,, 189∼193쪽.

25.

한국여성문학학회여원연구모임, 『여원 연구 – 여성․교양․매체』, 국학자료원, 2008. 1∼412쪽.

26.

마리아 미즈,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갈무리, 2014, 420∼423쪽.

27.

우르술라 티드, 『시몬 드 보봐르-익숙한 타자』, 우수진 역, 앨피, 2007. 5쪽, 75∼76쪽.

28.

김양선, 「1960년대 여성의 문학·교양 형성의 세대적 특성 -잡지 <여학생>의 문학란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현대문학이론연구』61, 2015, 120∼147쪽.

29.

김영선, 「한국 여성학 제도화의 궤적과 과제」, 『현상과인식』. 2010. 가을, 323∼350쪽.

30.

김영선, 「1970년대 페미니즘 이론의 번역/실천과 여성학」, 『여성문학연구』37, 2016, 39∼62쪽.

31.

김혜경, 「박정희 체제하 “핵가족” 담론의 변화과정과 이원구조 연구 :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82, 2009, 169∼212쪽.

32.

김예림, 「1960년대 중후반 개발 내셔널리즘과 중산층 가정 판타지의 문화정치학」. 『현대문학의 연구』 32, 2007, 339∼375쪽.

33.

김옥란, 「작가와 여성주의적 시각의 전유 방식 : 정복근의 경우」, 『한국극예술연구』 16. 2002, 269∼310쪽.

34.

노지승, 「1950년대 후반 여성 독자와 문학 장의 재편」, 『한국현대문학연구』30, 2010, 345∼375쪽.

35.

류진희, 「해방기 탈식민 주체의 젠더전략 : 여성서사의 창출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2015. 1∼276쪽.

36.

배은경, 「한국사회 출산조절의 역사적 과정과 젠더 : 1970년대까지의 경험을 중심으로:1950s–1970s」,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4. 1∼282쪽.

37.

박규현, 「제2차대전에서 68혁명까지의 파리의 연애사와 성담론」, 『프랑스문화예술연구』 11, 2004, 85∼102쪽.

38.

박인혜, 「1980년대 한국의 ‘새로운’ 여성운동의 주체 형성 요인 연구: 크리스챤아카데미의 ‘여성의 인간화’ 담론과 ‘여성사회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5(4), 2009,141∼174쪽.

39.

박지영, 「여성혁명가의 귀환, 그 이후- 해방기 여성혁명가의 형성과 가족서사」,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성문학연구』 24, 2010, 181∼223쪽.

40.

소현숙, 「1950∼60년대 ‘가정의 재건’과 일부일처법률혼의 확산 :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활동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 33, 2015.4, 97∼135쪽.

41.

송명희, 「중년 여성의 위기의식 - 박완서의 『살아 있는 날의 시작』을 중심으로」, 『표현』16, 1989, 264∼273쪽.

42.

안경희, 「가족법 개정사와 여성운동 :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이화젠더법학』.6(2), 2014, 73∼128쪽.

43.

유미향, 박정윤, 이영훈, 「번역가의 젠더와 성적 표현의 번역- 시몬 드 보부아르의 『제2의 성(Le Deuxième sexe)』 번역본 비교」, 『번역학연구』 13(5), 2012.12, 143∼173쪽.

44.

윤정란, 「국가ㆍ여성ㆍ종교 : 1960∼1970년대 가족계획사업과 기독교 여성」, 『여성과역사』8, 2008.6, 59∼91쪽.

45.

이선미, 「『여원』의 비균질성과 ‘독신여성’ 담론 연구- 1950(55∼58)년대 『여원』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 34, 2008.6, 51∼81쪽.

46.

이선미, 「‘여성’의 사회적 해석과 1976년의 박완서 소설」, 한국문학연구학회, 『현대문학의 연구』 51, 2013, 571∼611쪽.

47.

이승희, 「한국여성운동사 연구 : 미군정기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1991, 1∼188쪽.

48.

이영미, 「1990년대 초중반 여성연극의 대중연극적 본질」, 『대중서사연구』 13호, 2005, 139∼163쪽.

49.

이임하, 「광기에 찬 여성들-1950년대 간통쌍벌죄 법정에 모여든 여성들의 소동」, 『일상사로 보는 한국근현대사』, 책과함께, 2006.

50.

이혜령, 「빛나는 성좌들 : 1980년대, 여성해방문학의 탄생」, 『상허학보』 47, 2016, 409∼454쪽.

51.

이혜정, 「1970년대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의 ‘공부’ 경험과 가부장적 젠더규범」, 『교육사회학연구』 22(4), 2012, 227∼266쪽.

52.

이효재, 이승희 대담, 「나의 학문, 나의 인생」, 『역사비평』 24, 1994, 248쪽.

53.

조혜란, 「「제2의 성 Le Deuxieme sexe」의 초기 한국어 번역과 수용- 이용호의 1955년, 1964년 번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155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