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이 연구는 박경리의 1970년대 발표한 대중연애서사 『창』에 드러난 사랑의 의미와 섹슈얼리티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작품은 대중연애서사의 전형적 특성인 남녀 간 연애가 중심서사이다. 그러나 작품 속에 드러난 남녀의 연애는 사랑의 사적 의미와 사회적 담론을 포함하고 있어 작가의 세계관의 변화는 물론 1970년대 성과 사랑에 대한 사회적 함의를 포착할 수 있다. 1970년대 발표한 대중연애서사 『창』은 박경리가 본격적으로 『토지』를 집필하면서 동시에 발표한 몇 안 되는 작품으로, 자전적 서사를 넘어 사회와 생명에 대한 관심으로 세계관이 확대 되던 시기에 쓰인 작품이다. 이 작품에는 인물의 시점이 여성에서 남성으로, 결벽한 사랑의 추구에서 현실직시와 연민을 통한 공감적 사랑으로 사랑의 의미가 변모하고 있다. 또한 가부장제 사회가 요구하는 남성중심의 규범적 섹슈얼리티에 저항하고 경합하는 행위 주체로서 개인의 근대적 섹슈얼리티를 발견할 수 있다. 박경리는 대중연애서사를 통해 대중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성과 사랑에 관한 사회적 변동과 규범적 인식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의 조짐은 박경리의 보편적 인간애를 바탕으로 한 생명사상의 단초가 되고 있다.
박경리, 「창」, 지식산업사, 1980.
니클라스 루만, 정성훈․권기돈․조형준 옮김, 「열정으로서의 사랑: 친밀성의 코드화」, 새물결, 2009, 19-118쪽
비비아나 A. 젤라이저 지음,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옮김, 「친밀성의 거래」, 에코 리브르, 2009, 23-73쪽
울리헤 벡․엘리자베트 벡-게른샤임, 강수영․권기돈․배은경 옮김, 「사랑은 지독한 혼란」, 새물결, 2006, 21-92쪽
앤소니 기든슨, 배은경․황정미 옮김, 「현대사회의 성․사랑․에로티시즘」, 새물결, 2003, 25-141쪽
조주현,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2000, 110-111쪽
조르조 아감벤, 김항 옮김, 「예외상태」, 새물결, 2009, 75쪽
스피노자, 강영계 역, 「에티카」, 서광사, 2007, 152.
이성숙, 「여성, 섹슈얼리티, 국가」, 책세상, 2009, 17-40.
고지혜 「박경리 소설의 낭만적 특성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51-60.
구연상, 「서양 철학의 전통적 악 개념과 「토지」의 악(惡) 개념에 대한 비교 검토」, 「대동철학」 63, 대동철학회, 2013, 179-199.
김미현, 「혐오의 매혹- 코맥 메카시의 「피의 자오선」」, 「미국소설」 18권 2호, 미국소설학회, 2011, 25-44.
박상민, 「박경리 「토지」의 악의 상징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44-60.
박창범, 「「토지」의 사랑 양상과 그 의미 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 2015, 191-220.
방은주, 「박경리 장편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1-40.
심진경, 「은폐와 투사-남성 섹슈얼리티의 두 가지 존재 방식」, 「여/성이론」 8, 2003년 6월, 81-102.
이정옥, 「산업화의 명암과 성적 욕망의 서사- 1970년대 ’창녀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섹슈얼리티의 두 양상-」, 「한국문학논총」 제 29집, 한국문학회, 2001, 387-388.
이정옥, 「산업자본주의시대의 여성의 삶과 서사」, 「여성문학연구」 8,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235-256.
이희은, 「감응 연구의 관점에서 본 ‘현재’의 부재」, 「언론과 사회」 22권 1호, 2014, 42-43.
조윤아, 「가해자를 통해 드러나는 도덕의 딜레마- 박경리의 장편소설 「창」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44, 중앙어문학회, 2010, 341-364.
최경희, 「1960년대 박경리 문학에 나타난 ‘연애교양’ 담론 연구」, 「국제한인문학연구」 10, 국제한인문학회, 2012, 257-292.
홍준기, 「악과 폭력에 관한 형이상학적, 정치신학적, 정신분석적 연구」,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19, 한국라깡과 정신분석학회, 2017, 135-175.
추광영, 「디지털 시대의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서울대학교언론정보연구소, 2011, 111-144.
추광영, 「1960~70년대 한국의 사회변동과 매스미디어」,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86, 261-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