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A narration of moral crisis during development period and birth of materialistic person : Focusing on Kim Seung-ok’s popular fiction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7, v.0 no.40, pp.129-153
Kim EunHa

Abstract

김승옥의 『보통여자』와 『강변부인』은 도시 중산층의 이상(異狀)적인 성적 행동 혹은 스캔들에 대한 서울판 킨제이 보고서로서 한국 근대성의 은밀한 속살을 들추어내는 대중소설이다. 특히 『강변부인』이 보여주는 강력한 선정성은 독자에게 도덕 과잉의 파시즘 사회가 가하는 무력감과 긴장을 상쇄해주는 쾌락을 선사하는 한편으로 계급적 격차에서 비롯된 열패감을 위안하거나 도덕적 우월감을 안겨주는 것으로 대중소설의 기능에 충실하다. 그러나 이 대중적 장편소설은 현실의 반경 안에서 쾌락과 이익을 저울질하는 중산층 계급의 속물성에 대한 탐구의 성격을 띠고 있어 흥행 코드로서 외설의 상상력을 넘어선다. 신분이동을 향한 열망을 현실화할 수 있는 자기통치의 능력을 갖춘 중산층 계급의 뛰어난 계산감각을 가시화하는 한편으로 이상적인 것을 상실한 지리멸렬한 삶 속에 도사린 일탈적이고 불온하기도 한 충동을 그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 대중 소설들은 개발독재기 서울로 상징되는 욕망의 도시에 입성한 남성 주체들이 자기의 허위를 일깨워주는 ‘여성’이라는 ‘의미 있는 타자’를 상실하고 부권중심적인 가정영역을 중심으로 지배적 남성성을 획득함으로써 ‘건전한’ 속물로 변모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제목이 암시하듯이 이 소설들은 김승옥 문학에서 드물게 여성이 중심 인물로 등장하지만, 여성은 이전 김승옥 소설이 보여준 바와 달리 도덕적이고 신화적인 의미를 상실한 채 지극히 평범한 속물이나, 제어되지 않는 성적 욕망에 사로잡힌 채 사회질서를 위협하는 혐오의 표상으로 전락한다. 신화의 세계에서 추방된 여성은 언뜻 물질적, 성적 육체를 획득함으로써 일말의 자유를 얻기보다 발전주의 국가의 헤게모니적 남성 주체가 통치하는 가정 속에 편입된다. 이는 김승옥 문학의 남성 주체들이 자기 심문의 원인으로서 여성을 상실함으로써 통속적 이해관계에 맞서 자기 진실성을 확보하는 대신 가부장적 모랄의 주체가 될 것을 예고한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materialistic person, popular novel, Seoul, modernization, gender politics, normative femininity, virtuous sexuality, discourse of sexuality, fascism etc., 속물, 대중소설, 서울, 근대화, 젠더 정치, 규범적 여성성, 고결한 섹슈얼리티, 성 담론, 파시즘 등

Reference

1.

김승옥, 「김승옥 소설전집 1: 무진기행」, 문학동네, 1995.

2.

김승옥, 「김승옥 소설전집 4: 강변부인」, 문학동네, 1995.

3.

권보드래․천정환, 「1960년대」, 천년의 상상, 2015, 79.

4.

김상봉, 「호모 에티쿠스: 윤리적 인간의 탄생」, 한길사, 1999, 125.

5.

김혜경, 「논쟁의 장으로서의 “가족”」, 「조국 근대화의 젠더 정치-가족․노동․섹슈얼리티」, 아르케, 2015, 53-54.

6.

김혜련, 「아름다운 가짜, 대중문화와 센티멘탈리즘」, 책세상, 2005, 67-95.

7.

김홍중, 「삶의 동물/속물화와 참을 수 없는 귀여움」,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55.

8.

송태욱, 「김승옥 소설의 독자를 찾아서」, 「르네상스인 김승옥」, 엘피, 2005, 71-74.

9.

이성숙, 「여성, 섹슈얼리티, 국가」, 책세상, 2009, 172-176.

10.

이성욱, 「쇼쇼쇼-김추자, 선데이서울 게다가 긴급조치」, 생각의 나무, 2004, 86.

11.

이한, 「삶은 왜 의미 있는가: 속물사회를 살아가는 자유인의 나침반」, 미지북스, 2016, 17.

12.

조은․조주현․김은실, 「성 해방과 성정치」,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39.

13.

리하르트 반 뒬멘, 최윤영 역, 「개인의 발견」, 현실문화연구, 2005, 252.

14.

앨리스 페인 해케트, 이임자 역, 「베스트셀러의 진실」, 경인문화사, 1998, 93-103.

15.

에바 일루즈, 김정아 역, 「감정 자본주의」, 돌베개, 2010, 123.

16.

조지프 슘페터, 변상진 역, 「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 한길사, 2011, 123.

17.

찰스 테일러, 송영배 역, 「불안한 현대사회」, 이학사, 2001, 134.

18.

김경연, 「통속의 정치학 : 1960년대 후반 김승옥 '주간지 소설' 재독(再讀)」, 「어문론집」 제62집, 중앙어문학회, 2015, 373-420.

19.

김은하, 「이동하는 모더니티와 난민의 감각-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지방 출신 대학생의 도시 입사식(入社式)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60,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309-335.

20.

소영현, 「전쟁 경험의 역사화, 한국 사회의 속물화 ‘헝그리정신과 시민사회의 불가능성」, 「한국학연구」제 32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273-313.

21.

이은영,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여성 주체 연구 : 「야행」과 「보통여자」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제62호, 한민족어문학회, 2012, 427-450.

22.

임종수․박세현, 「「선데이서울」에 나타난 여성, 섹슈얼리티 그리고 1970년대」, 「한국문학연구」 44집, 2013, 91-136쪽,

23.

장은주, 「상처 입은 삶의 빗나간 인정투쟁」, 「사회비평」, 통권 39호, 나남출판사, 2008, 14-34.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