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Life between drifting and settlement : Focusing on The Women by Yoon Keum-Sook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7, v.0 no.40, pp.156-182
Lee Byungsoo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윤금숙은 1950,60년대에 활발한 창작활동을 했으나 단독으로 연구된 바 없고, 문학사에도 한국전쟁기 여성종군작가로만 그 존재가 알려져 있는 형편이다. 이 글에서는 윤금숙의 생애를 정리하고, 창작집 『여인들』을 중심으로 그의 작품세계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우선 윤금숙은 육군종군작가로 알려져 왔는데, 그녀가 해군종군작가단에 가입 후 ‘여성’이라는 이유로 거부당한 뒤 다시 육군종군작가단에 입단하거나 활동한 기록을 찾을 수 없어 그를 육군종군작가로 규정해 온 기존의 연구는 재고되어야 한다. 창작집 『여인들』을 중심으로 윤금숙 소설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해방 혹은 전쟁 등 당대 현실이 상당히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고,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의 삶의 애환이 작품의 주제로 전경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여성/남성, 피해자/가해자, 선/악, 희생/폭력 등 인물 유형이 상당히 도식적이다. 윤금숙은 집중적으로 여성의 삶을 천착하였는데, 작품 속 여성들은 대부분 불행한 삶을 살고 있고, 그 이유가 ‘남성’에게서 비롯되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셋째는 한국전쟁 당시 인민군에 부역한 문제를 다루거나, 전쟁을 독려하고 전의를 고취한 작품들을 통해 당대의 지배 이데올로기인 ‘반공’을 그대로 노출시키고 있다.

keywords
Korean War women writer, The Women, Authors Under the Service of the Navy, schematic figure, Korean War, The anticommunist ideology, Drift, settlement, 종군작가, 여인들, 도식적인 인물, 전재민, 한국전쟁, 반공 이데올로기, 표류, 표착

Reference

1.

윤금숙, 「여인들―윤금숙 단편집」, 성공문화사, 1976

2.

윤금숙, 「소설가가 된 동기와 이유」, 《세계일보》, 1959년 4월 2일.

3.

윤금숙, 「송화강의 ‘할빈’」, 「민성」 5권 7호, 1949년 7월.

4.

윤금숙, 「잊지 못할 그날-묵은 일기에서」, 「자유문학」 3권 9호, 1958년 9월.

5.

「전선문학」 2집 1952년 12월.

6.

김송, 「자전적 문예반세기 1-8」, 「신동아」 1979년 12월-1980년 8월.

7.

권영민의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출판부, 2004.

8.

한국어문화연구소 편, 「한국여성문인사전」, 태학사, 2006.

9.

「해군종군작가단」, 「민족의 증언 7」, 《중앙일보》, 1983.

10.

최독견, 「육군 종군작가단」, 「해방문학 20년」, 정음사, 1966.

11.

김우종, 「중년의 고독과 시대의 증언」, 「여인들」, 성공문화사, 1976, 365-372.

12.

구명숙 외, 「한국 여성작가 작품목록 :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역락, 2013, 241.

13.

김정원 외, 「한국현대사의 재조명」, 돌베개, 1982, 449.

14.

김병익, 「간도의 망명문단」, 「한국문단사 1908-1970」, 문학과지성사, 2001. 243.

15.

이유식, 「문인들 단골 다방 족보를 알아보며」, 「문단 풍속, 문인 풍경」, 푸른사상, 2016, 312.

16.

강진호 편, 「한국문단이면사」, 깊은샘, 1999, 444.

17.

니시야마 준코, 「한국 여성종군작가 연구-한국전쟁기를 중심으로」, 동국대 석사논문 2002, 1-111.

18.

김은영, 「여성의 자전적 글쓰기 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37.

19.

임무출, 「김송의 생애 연구」, 「한민족어문학」 16, 한민족어문학회, 1989, 301-328.

20.

김은경, 「한국전쟁 후 재건윤리로서의 ‘전통론’과 여성」, 「아시아여성연구」 45, 2006, 7-48.

21.

김양선, 「반공주의의 전략적 수용과 여성문단」, 「어문학」 101, 한국어문학회, 2008, 333-357.

22.

주창윤,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젠더와 전통의 재구성」, 「한국언론학보」 53권 2호, 2009, 277-299.

23.

엄미옥, 「한국전쟁기 여성 종군작가 소설 연구」, 「한국근대문학연구」 21, 한국근대문학회, 2010, 261-292.

24.

김준현, 「한국전쟁기 잡지 <문화세계> 연구」, 「우리문학연구」 40, 2013, 431-458.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