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고전장편소설 속 여성들의 유머 담화와 웃음의 성격

Women’s Humorous Discourse and Features of Laughter in Korean Classical Long Novel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7, v.0 no.41, pp.173-211
김문희 (경기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전장편소설 속에 나타나는 여성들의 유머 담화의 양상과 웃음을 창출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조선시대 여성들의 웃음의 세계와 웃음의 성격을 탐구하는 것이다. 고전장편소설의 유머 담화는 그 내용과 웃음을 창출하는 방식에 따라 자기 과시와 합리화에 기반한 웃음, 이면적 부부관계 폭로에 기반한 웃음, 우월함과 고상함의 가치 격하에 기반한 웃음, 과도함과 부당함의 저항에 기반한 웃음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이중 자기 과시와 합리화에 기반한 웃음은 양반가 여성들의 현실 자족적 인식에서 비롯되고 이것은 상생적 웃음의 성격을 띤다. 이 웃음은 양반가 여성들의 계층적 특수성에서 만들어지는 웃음의 세계이다. 이면적 부부관계 폭로에 기반한 웃음과 우월함과 고상함의 가치 격하에 기반한 웃음은 양반가 여성들의 삶에 대한 균형 감각과 유연한 태도에서 비롯되고 이것은 주변과 소통하는 연대적 웃음의 성격을 띤다. 이 웃음은 양반가 여성들의 당위와 현실을 직시하는 삶의 태도가 만들어내는 웃음의 세계이다. 과도함과 부당함의 저항에 기반한 웃음은 아내와 자녀를 부당하게 대하는 가부장을 비판하고 유교 사회의 남성 중심주의가 강제하는 부당성을 비판하는 비판적 인식에서 비롯되고 이것은 저항적 웃음의 성격을 띤다. 이 웃음은 여성의 젠더적 차원의 인식이 작동하여 만들어내는 웃음의 세계이다.

keywords
Korean classical long novels, women, humorous discourse, win-win laughter, solidarity laughter, resistive laughter, 고전장편소설, 여성, 유머 담화, 웃음, 상생적 웃음, 연대적 웃음, 저항적 웃음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tterns of women's humorous discourse and the way of creating laughter in Korean classical long novels and explore the world of laughter and the nature of laughter in women who lived during Joseon Dynasty. The humorous discourse of Korean classical long novels is characterized into several kinds according to the ways of creating laughter: laughter based on self-exaggeration and rationalization, laughter based on the revealing of inside couple relationship, laughter based on the downgraded superiority and nobility, and laughter based on the resistance against the excessive and unfairness. Among them, the laughter based on self-exaggeration and rationalization are made from the realistic self-awareness of the women of the noble birth and they have the character of a win-win laughter. The laughter based on the exposure of couple’s inside story and the laughter based on the lowering of the value of the superiority and the nobility are made from the balanced sense of life and the flexible attitude of women's life in noble society, and they have the character of solidarity communicating with the surroundings. The laughter based on the resistance against the excessive and unfairness is made from a critical awareness that criticizes the patriarch who treats his wife and children unjustly and criticizes the injustice imposed by the masculinity of Confucian society, and it has the character of resistive laughter.

keywords
Korean classical long novels, women, humorous discourse, win-win laughter, solidarity laughter, resistive laughter, 고전장편소설, 여성, 유머 담화, 웃음, 상생적 웃음, 연대적 웃음, 저항적 웃음

참고문헌

1.

김문희 외 역주, 「현몽쌍룡기」 1∼3, 소명출판, 2010(<현몽쌍룡기>, 장서각본 18권 18책)

2.

김문희 외 역주, 「조씨삼대록」 1∼5, 소명출판, 2010(<조씨삼대록>, 서강대본 40권 40책)

3.

조혜란 외 역주, 「소현성록」 1∼4, 소명출판, 2010(<소현성록>, 이화여대본 15권 15책)

4.

한길연 외 역주, 「유씨삼대록」 1∼4, 소명출판, 2010(<유씨삼대록>, 국립중앙도서관본 20권 20책)

5.

김기동 편, 「성현공숙렬기」, 「한국고전소설총서」 1983, 태학사.(<성현공숙렬기>, 규장각본, 25권 25책)

6.

김미란, 「조선시대 양반가 여성의 생애와 풍속」, 평민사, 2016, 269-273.

7.

앙리베르그송, 정연복 옮김, 「웃음」, 세계사, 2007, 10-120.

8.

정창권, 「한국고전여성소설의 재발견」, 지식산업사, 2002, 110-112.

9.

한용환, 「소설학사전」, 고려원, 1992, 324.

10.

“유머”,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11.

구현정, 「유머 담화의 구조와 생성 기제」, 「한글」 248호, 한글학회, 2000, 159-184.

12.

김문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의 한담적 대화 양상과 기능」, 「한국고전연구」 16집, 한국고전연구학회, 2009, 127-158.

13.

류정월, 「문헌설화에서 ‘투기하는 부인(妬婦)’의 형상화와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4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43-77.

14.

서경희, 「<소현성록>의 ‘석파’ 연구」, 「한국고전연구」 12집, 한국고전연구학회, 2005, 69-98.

15.

이주영, 「<소현성록>의 농담 기제와 그 의의」, 「개신어문연구」 32집, 개신어문학회, 2010, 63-95.

16.

이칠영, 「담화분석의 특성」, 「언어연구」 2권, 한국현대언어학회, 1985, 163-172.

17.

임규홍, 「국어 담화분석 연구의 현황과 전망」, 「우리말연구」 20집, 우리말글학회, 2007, 111-144.

18.

정선희, 「장편가문소설의 놀이 문화의 양상과 기능」, 「한민족문화연구」 36집, 한민족문화학회, 2011, 181-209.

19.

정혜경, 「현씨양웅쌍린기의 서사적 힘: 웃음」, 「한민족문화연구」 37집, 한민족문화학회, 2011, 33-63.

20.

한길연,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 연구-남성 희담꾼 ‘정염’과 여성 희담꾼 ‘상부인’간의 희담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5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273-310.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