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개발의 문화사와 부양자/남성성 획득의 드라마: 이문구의<장한몽長恨夢>(1973)을 대상으로

The cultural history of the development and a drama of acquiring a provider/masculinity : focusing on Lee Mun-Gu’s <Jang Han Mong>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7, v.0 no.41, pp.293-319
김은하 (경희대학교)

Abstract

이문구의 <장한몽>은 1960년대 중반을 배경으로, 서울시 서대문구 신천동의 공동묘지를 경기도 광주군 명주리로 옮기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이다. 산 5번지는 본래 풍광이 아름다운 산이었지만, 6.25 전쟁 동안 약 이천 개의 무덤이 불법으로 생겨나면서 공동묘지가 되었다. 그러나 미국인이 혼혈아를 위한 기술 학교를 조성하면서 묘지 이전이 시작된다. 묘지는 이제 원한에 찬 혼령이 배회하는 그로테스크한 장소가 아니라 전쟁 혼혈아들이 저마다 기술을 익혀 어엿한 사회인으로 성장하기 위한 학교로 용도 변경되는 것이다. 이는 이장(移葬)이 살아남은 이들의 마음을 짓누르는 전쟁의 회한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삶을 모색해 가는 상징적 행위일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장’의 모티프는 울분과 침통의 나날을 벗어나 진보와 쇄신을 통해 역사의 새로운 전진을 모색하는 개발주의에 부응하는 내러티브이다. 개발은 단순히 도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재편성하는 국토의 개발 전략에 머물지 않는 자기 개조 사업이다. 개발은 명분주의적이고 이상주의적이면서 현실 생활에서는 나약하고 상호 의존적인 전통적 남성성을 벗어나 생존 주체로서 근대적 남성성의 자질을 획득하도록 명령하기 때문이다. 전통/근대, 농촌/도시로의 이동과 전환은 사회 변동이 무성(無性)적인 것이 아니라 남성이 진취적 행위자로서 산업 사회의 남성성을 획득하는 젠더화된 드라마임을 뜻한다. 특히 이 소설은 경쟁의 도시 서울에서 생존의 자본이 취약한 하위 계급의 남성들이 불법과 반칙마저 무릅쓰며 살아남기 위해 분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하위 계급 남성들이 보여주는 남성우월주의로서 ‘대항적 남성성(protest masculinity)’은 중간 계급의 ‘지배적 남성성’이나 청년문화운동 세대의 퇴폐적이고 ‘우울증적 남성성’과도 구별되는 개발기 남성성 서사의 한 유형이다.

keywords
개발, 근대적 남성성, 한국 전쟁에 대한 애도, 민중 약전, 음담패설체 등, development, modern, masculinity, condolence the Korean War, the public biographical sketch, a style of dirty jokes

참고문헌

1.

이문구, 「장한몽(長恨夢)」, 랜덤하우스중앙, 2004.

2.

이문구, 「남의 하늘에 붙어 살며」, 「나-오늘의 작가들이 털어놓은 문학적 고백」, 강은교 외, 청람, 1987, 92-131.

3.

김병익, 「한의 세계와 비극의 발견-「야호」와 「장한몽」」, 「현대 한국문학의 이론」, 김병익 외 3인 저, 민음사, 1974, 296.

4.

김병익, 「한에서 비극으로-이문구의 「장한몽」」, 「장한몽」, 책세상, 1987, 438.

5.

송희복, 「남의 하늘에 붙어산 삶의 뜻」, 「작가세계」 4호, 작가세계, 1992, 18-40.

6.

조혜정, 「‘남성다움’의 구성과 재구성」, 「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지성사, 1988, 241-251.

7.

최원식,「여성주의와 아버지 부재의 문학적 의미」, 「여성해방의 문학: 또 하나의 문(3)」, 평민사, 1987, 332-344.

8.

한수영, 「말을 찾아서」, 「문학동네」 7권 3호, 문학동네, 2000, 62-63.

9.

황병주, 「박정희와 근대의 꿈」, 「당대비평」 28호, 생각의 나무, 2004, 200-204.

10.

미즈타 노리코, , 서기재 역, 「창부 환상의 종언」, 오카노 유키에 외 공저, 「매매춘과 일본 문학」, 지만지, 2008, 303-304.

11.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왕 안티고네」, 천병희 역, 문예출판사, 2006, 264-340.

12.

오카 마리, 「기억 서사」, 김병욱 역, 소명출판사, 2004, 89.

13.

우에노 치즈코, 「여자들의 사상」, 조승미 역, 현실문화, 2015, 221.

14.

장 자크 루소, 「에밀」, 김중현 역, 한길사, 2009, 398-401.

15.

조지프 슘페터, 「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 변상진 역, 한길사, 2011, 123.

16.

존 로크, 「통치론」, 조현수 역, 타임기획, 2005, 152-153.

17.

지그문트 프로이트, 「슬픔과 우울증」, 「무의식에 관하여」, 윤희기 역, 열린책들, 1997, 243-270.

18.

R.W. 코넬 저, 「남성성/들」, 안상욱․현민 역, 이매진, 2013, 129-136.

19.

곽영희, 「자기 발견과 치유의 여정 -이문구의 장편 장한몽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27, 한중인문학학회, 2009, 61-83.

20.

이정숙, 「‘개발주의서사'의 ‘성-섹슈얼리티'에 대한 ‘혐오-연민'」, 「여성문학연구」 36,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63-90.

21.

임경순, 「내면화된 폭력과 서사의 분열: 이문구의 「장한몽」」, 「상허학보」 25, 상허학회, 2009, 309-348.

22.

전정배, 「이문구의 ‘장한몽(長恨夢) 개작 연구」,「국어국문학」 24,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5, 103-120.

23.

하용삼․배윤기, 「경계의 불일치와 사이 공간에서 사유하기-G. 아감벤의 국민․인민, 난민을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62, 대동철학학회, 2013, 85-108.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