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 여성시의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연구: 고정희, 김승희, 허수경의 시를 중심으로

Study on Postcolonial Feminism in Korean Woman’s Poetry : Focusing on the poetry of Ko Jeonghee, Kim Seunghui, Heo Sukyung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7, v.0 no.41, pp.321-353
이혜원 (고려대학교)

Abstract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은 식민지배와 가부장제에 대해 타자로서의 여성이 갖는 예리한 현실인식을 살필 수 있는 이론이다. 본고에서는 고정희, 김승희, 허수경의 시를 통해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다양한 의미와 시적 가능성을 탐색한다. 고정희는 폭력적 역사의 희생자이면서도 그러한 역사를 극복하는 주체라 할 수 있는 한국 여성 특유의 역사성을 강조한다. 또한 이를 표현하기 위해 전통적인 시가 형식을 도입하는 등 한국 여성시의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을 적극적으로 개척해간 선구자이다. 김승희는 평범한 일상에 편재해 있는 제국주의와 여성 차별의 그늘을 예리하게 포착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해낸다. 일상의 순간들과 역사적 사실, 개인의 삶과 집단의 기억을 병치하는 특유의 교차 서술로 여성들 간의 자매애와 연대감을 역동적으로 표출한다. 허수경은 심각하게 훼손되고 식민화된 여성들의 신체를 통해 전쟁과 같은 폭력적인 역사 속에서 지속되어온 여성 차별을 재현한다. 허수경의 시는 여성 수난사의 뿌리가 깊고 앞으로도 쉽게 나아지기 힘들다는 부정적인 전망을 우화의 선명한 구조로 보여준다. 이들은 여성문제에 작용하는 역사적 상황을 심도 있게 탐구하는 과정에서 성적 차별의 역사를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긴요한 준거를 마련하고, 한국 여성시의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을 대표할 만한 독자적인 시선과 미학을 형성한다.

keywords
한국 여성시,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고정희, 김승희, 허수경, 식민지, 제국주의, 자매애, 여성 차별, Korean Woman’s Poetry, Postcolonial Feminism, Ko Jeonghee, Kim Seunghui, Heo Sukyung, Colony, Imperialism, Sisterhoo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참고문헌

1.

고정희, 「눈물꽃」, 실천문학사, 1986.

2.

고정희, 「지리산의 봄」, 문학과지성사, 1987.

3.

고정희, 「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 창작과비평사, 1989.

4.

고정희, 「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뒤에 여백을 남긴다」, 창작과비평사, 1992.

5.

김승희, 「세상에서 가장 무거운 싸움」, 세계사, 1995.

6.

김승희, 「빗자루를 타고 달리는 웃음」, 민음사, 2000.

7.

김승희, 「희망이 외롭다」, 문학동네, 2012.

8.

허수경, 「슬픔만한 거름이 어디 있으랴」, 실천문학사, 1988.

9.

허수경, 「내 영혼은 오래 되었으나」, 창작과비평사, 2001.

10.

허수경, 「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 문학과지성사, 2005.

11.

허수경, 「빌어먹을, 차가운 심장」, 문학동네, 2011.

12.

김성곤, 「탈식민주의 시대의 문학」, 「외국문학」 31, 열음사, 1992, 12-31.

13.

박종성, 「탈식민주의에 대한 성찰」, 살림, 2006, 45.

14.

박혜경, 「여성해방에서 통일로 이르는 굿판」, 「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 발문, 창작과비평사, 1989, 149.

15.

태혜숙,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여이연, 2001, 46.

16.

이은경, 「광기/자살/능욕의 모성공간」, 「한국의 식민지근대와 여성 공간」, 태혜숙 외 공저, 여이연, 2004, 127.

17.

이혜원, 「자유를 향한 자유의 시학-김승희론」, 소명출판, 2012, 145, 169.

18.

가야트리 스피박, 「포스트식민 이성비판」, 태혜숙 역, 갈무리, 2005, 177-288.

19.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 외,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태혜숙 역, 그린비, 2013, 100쪽, 129-130.

20.

Elaine Showalter, “The Female Tradition”, A literature of Their Own,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 Press, 1977, pp.19∼36.

21.

김승희, 「한국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제국주의적 남근(Phallus) 읽기」, 「여성문학연구」 7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80-104.

22.

김승희, 「고정희 시의 카니발적 상상력과 다성적 발화의 양식」, 「Comparative Korean Studies」 19권 3호, 국제비교한국학회, 9-37.

23.

박경화, 「탈식민주의와 페미니즘」, 「탈식민주의 이론과 쟁점」, 고부응 외 공저, 문학과지성사, 2003, 168-169.

24.

이나영, 「초/국적 페미니즘-탈식민주의 페미니스트 정치학의 확장」, 「경제와사회」 70호, 비판사회학회, 2006, 63-88.

25.

정영주, 「고정희 시의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에 관한 고찰-「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뒤에 여백을 남긴다」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9호, 한국문예창작학회, 2006, 39∼67.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