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Local melodrama and women's positionality : Focused on Park, Kyung-Ri's Pashi(Seasonal Fish Market)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7, v.0 no.41, pp.269-292
Kim Yangsu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논문은 박경리의 <파시>를 ‘향토 멜로드라마’로 정의하고, 멜로드라마-근대성-젠더 간의 관련성, 그리고 한국전쟁으로 인해 공적 사회의 장에 진출한 여성들의 이동성과 위치성이 지닌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전제가 되는 것은 야만, 미개, 토착성과 관련이 있는 향토 멜로드라마의 이야기짜기(plotting), 서사적 의도가 여성(성)의 전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레이 초우의 ‘원시적 존재’, ‘고귀한 야만인’으로서의 여성을 <파시>에서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존재인 ‘수옥’에 주목하였다. 이북->부산->통영->개섬->통영에 이르는 수옥의 이동, 주변부-향토-수난 받는 여성이라는 위치성은 전쟁과 자본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근대의 동력에 의문을 표한다. 한편, 학자의 위치성은 통영-향토에서 부산-대도시로 이동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학자의 이동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여성성의 사회적 지형이 변화한 데 기인한다. 그녀는 죽희나 명화같은 부르주아 여성과는 다른 계층적 위치에서 여성성과 섹슈얼리티를 적극적으로 연행하고, 욕망을 드러냄으로써 전쟁과 그 이후를 살아가는 여성의 위치성을 보여준다. 향토 멜로드라마의 특성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은 명화와 응주이다. 통영은 이들의 사랑이 지속되고 끝나는, 향토 멜로드라마가 펼쳐지는 장소이다. 학수와 학자, 수옥의 향토-멜로드라마가 시장과 전시 상태의 엄혹함을 이겨내고 이들이 모종의 성숙을 이루는 데 도달한 반면, 명화와 응주의 향토 멜로드라마는 혈통과 근친상간이라는 운명에 강박된, 현실성이 소거된 순진성, 낭만성을 이상화 한다. 이 성격이 다른 두 향토 멜로드라마는 한국전쟁이라는 이데올로기와 속물들의 근대에 항의를 표하는 청춘들의 서사라는 점에서 동전의 양면 같은 서사로 볼 수 있다.

keywords
향토 멜로드라마, 위치성, 이동성, 여성성, 섹슈얼리티, 야만, 근대성, 한국전쟁, local melodrama, posionality, mobility, femininity, sexuality, barbarism, modernity, Korean war

Reference

1.

박경리, 「파시」, 나남, 1993.

2.

레이 초우, 「원시적 열정」, 정재서 역, 이산, 2004.

3.

벤 싱어, 「멜로드라마와 모더니티」, 이위정 역, 문학동네, 2009.

4.

김양선, 「한국 전쟁에 대한 젠더화된 비판의식과 낭만성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 「페미니즘연구」 8권 2호, 한국여성연구소, 2008, 197-222.

5.

김양선, 「지적 해부와 민감성 사이, 전후 현실에 대한 젠더화된 인식-박경리의 전후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47호, 현대문학이론학회, 2011, 131-149.

6.

나보령, 「시장의 풍경에 주목해 다시 읽는 전후소설 시론-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시장의 의미 연구」, 「현대소설연구」 61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37-66.

7.

박은정,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전시 후방 사회의 변동-「파시」, 「소시민」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17(2), 한국근대문학회, 2016, 209-240.

8.

이상진, 「여성의 존엄과 소외, 그리고 사랑-1960년대 박경리 소설의 여성주의적 연구」, 「「토지」와 박경리 문학」, 한국문학연구회 엮음, 솔, 1996, 287-296.

9.

정민우·김효실, 「페미니즘 없는 문화연구?-한국 ‘미디어’ 문화연구 메타비평과 페미니스트 지식의 위치성」, 「언론과 사회」 17권 4호,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7, 154-196.

10.

조윤아,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통영 공간의 상상력」, 「비평문학」 32호, 한국비평문학회, 2009, 305-327.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