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식민지 시대 열녀 재현의 정치학: 총독부 기관지 <경학원잡지> ‘지방보고’란의 열녀 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virtuous woman in the colonial era : Focusing on articles about virtuous woman in the 'local reports' column of <the Journal of Kyeonghakwon(經學院雜誌)>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7, v.0 no.41, pp.39-71
홍인숙 (선문대학교)

Abstract

본고는 <경학원잡지>의 ‘지방보고’ 기고란에 실린 열녀 재현의 양상과 식민지 지방 유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열녀 기사가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지방보고’라는 기사란의 성격을 경학원 본원-지방 향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지방보고 기사란에서 열녀라는 여성 형상이 지방 유림들에게 발견되고 재생산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지방보고 란의 열녀 기사는 특정 시점에 경학원의 주요 인사가 ‘열녀’를 언급한 바로 다음 호부터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상호 유사한 기사들이 자주 나타난 것으로 보아 열녀 서사가 지방보고 주체들 사이에서 모방과 학습의 과정을 거쳐 차츰 활성화되기 시작했다고 보았다. 또한 지방 유림과 본원의 주요 인사들은 열녀 기사의 발굴과 재창작을 상호 자극하는 순환적인 구조를 갖고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본고는 지방보고 열녀 기사의 생산 주체인 식민지 시대 지방 유림들의 사회적, 경제적 조건에 주목하였다. 이들은 총독부의 향교 재산 관리권 박탈 및 향교 조직 약화 정책에 심각한 압박을 받았으며, 동시에 식민지 근대 지식인과의 경쟁 구도로 인해 종래의 사회지도층으로서의 지위에도 위협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지방 유림들에게 ‘유교의 도’는 총독부에 의해 관리되고 착취당하는 식민지민으로서의 자신의 현실을 외면하고 열악해진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회복하게 해주는 유일한 근거였다. 결국 ‘지방보고’ 란의 ‘열녀’ 재현은 이러한 식민지 시대 지방 유림이 식민화되고 주변화된 존재로서 자기 정체성의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재소환한 유교적 표상이다. 이들 기사에서 특히 여성의 몸과 노동이 착취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학대의 시선으로 그려지고 있는 것 역시 식민지 시대 열녀 재현의 생산층이었던 지방 유림들이 자신들의 식민성을 투사한 내부 식민지로 여성의 몸을 발견하고 있는 증거라고 보았다.

keywords
virtuous woman, colony, Kyeonghakwon(經學院), <The Journal of Kyeonghakwon(經學院雜誌)>, 'local reports' column, Confucians, Hyanggyo (鄕校, Confucian school), 열녀, 식민지, 경학원, <경학원잡지>, ‘지방보고’, 유림, 향교

참고문헌

1.

「경학원잡지」, 1-33호, 국립중앙도서관.

2.

「경학원잡지」, 34-36호, 38-40호, 42호, 44-48호, 국회도서관.

3.

윤희면, 「조선후기 향교 연구」, 일조각, 1990, 153-156.

4.

이혜순, 「열녀전의 입전의식과 그 사상적 의의」,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편, 「조선시대의 열녀담론」, 월인, 2002, 163-183.

5.

나카무라 슌사쿠, 「에도 유교와 근대의 지」, 김선희 역, 선인, 2010, 91.

6.

강성숙, 「19세기 효열 담론 일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6,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3, 55-95.

7.

김경미, 「개화기 열녀전 연구」, 「국어국문학」 132, 국어국문학회, 2002, 187-211.

8.

김남이, 「의암 유인석의 민족자존론과 여성 인식」, 「대동한문학」 18, 대동학문학회, 2003, 291-318.

9.

김명우, 「일제강점기 향교 직원과 장의」, 「중앙사론」 25, 한국중앙사학회, 2007, 127-172.

10.

김미수, 「일제강점기 「經學院雜誌」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1, 1-61.

11.

김정인, 「일제강점기 향교의 변동 추이-향교 재산 관련 공문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47,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5, 81-112.

12.

류미나, 「식민지 권력에의 협력과 좌절-경학원과 향교 및 문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문화」 36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5, 157-191.

13.

류미나, 「식민지기 조선의 명륜학원- 조선총독부의 유교지식인 정책과 조선인의 대응」, 「교육사학연구」 제17집 제1호, 교육사학회, 2007, 53-77.

14.

류미나, 「일본 ‘국민도덕론’의 유입과 재생산-1910∼1920년대 경학원 활동을 중심으로」, 「인문연구」 52집, 영남대 인문과학연구소, 2007, 63-85.

15.

류미나, 「19세기말∼20세기초 일본제국주의의 유교 이용과 조선 지배」, 「동양사학연구」 111집, 동양사학회, 2010, 127-158.

16.

이경돈, 「신민(新民)의 신민(臣民)- 식민지의 여론시대와 관제 매체」, 「상허학보」 32, 상허학회, 2011, 275-311.

17.

이명화, 「朝鮮總督府의 儒敎政策」, 「한국독립운동사연구」 7,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3, 87-122.

18.

정세현, 「「經學院雜誌」를 통해 본 呂圭亨의 현실 대응 양상」,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9, 1-71.

19.

정욱재, 「1910∼1920년대 경학원의 인적 구성과 역할-사성과 강사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30권 1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221-248.

20.

정욱재, 「한말 일제하 유림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9, 1-212.

21.

정욱재, 「20세기 초 일제협력유림의 경학원 활동-이대영(1874∼1950)을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56호, 고려사학회, 2014, 249-274.

22.

홍인숙, 「17세기 열녀전 연구」, 「한국고전연구」 7, 2001, 95-117.

23.

홍인숙, 「열녀 담론의 새로운 독해- 성과 계층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5,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2, 85-118.

24.

홍인숙, 「일제 식민지 시대 열녀 담론 연구」, 「한국한문학연구」 64집, 한국한문학회, 2016, 473-506.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