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근대 여성의 성명에 나타난 착종과 모순 - 근대 초기 이름과 성(姓)을 바꾼 여성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ntangling and Contradiction in Names of Modern Women - Focusing on Women Changing First Names and Last Names in the Early Modern Age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8, v.0 no.43, pp.199-247
https://doi.org/10.15686/fkl.2018..43.199
권두연 (한세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근대 초 한국 여성들의 성명을 둘러싸고 펼쳐진 양상 가운데 개명과 성씨 전환에 주목함으로써 여성 삶에 내재된 균열과 착종된 근대의 모습을 중층적으로 밝히는 데 주력했다. 근대 이전 여성들에게 이름은 제한적으로 부여되었다. 근대 초기 이름과 성(姓)을 바꾼 일군의 여성들이 존재하지만 이들은 지금까지 예외적인 존재나 서구화에 강력하게 추종된 이들로 간주되어 왔다. 그렇지만 이 현상은 근대 여성의 존재론적 위치를 묻는 동시에 인정투쟁 속에서 착종된 근대의 단면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논의의 대상으로 다뤄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이름 없는 여성들이 집을 나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이름을 얻고 호명되었는지를 학교, 교회, 단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나아가 남편을 따라 성을 바꾼 여성들의 사례를 서구식과 일본식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로써 서구 기독교를 통해 세례명을 얻고 유학이나 신교육을 통해 새로운 이름뿐 아니라 성을 바꾼 여성들의 다층적인 측면은 물론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개명이 지니는 의미와 남편을 따라 성을 바꾸는 현상을 단순히 서구화의 추종으로만 볼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Modern Women, Female Name, Renaming, Switch of Last Names, School, Church, Wives’ Association, 근대 여성, 여성 이름, 개명, 성씨 전환, 학교, 교회, 부인 단체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n aspects of crack and entangling in female life, in a stratified way that focusing on the renaming and switch of last names among Korean women in the early modern age. Names were given to women to a limited extent before modern times. Although some of women in the early modern age change their first and last names, so far, these cases have been regarded as, women who strongly follow the an exceptional existence or the conventions of westernization. But this phenomenon needs to be discussed in earnest, because it not only gives rise to questions about the ontological position of modern women, but also reveals the intersection at which modern times are entangled in a struggle for recogni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nameless women got their names after leaving their homes and they were called, through schools, churches, and organizations. Moreover, the cases of Western and Japanese women changing their last names to those of their husbands were considered separately,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multi-layered aspects of women, who received baptismal names through Western Christianity and who changed their first and last names while studying abroad or receiving new education. This unpacks the meaning of renaming as a social phenomenon and implies that changing last names to those of their husbands was not merely an cult of westernization.

keywords
Modern Women, Female Name, Renaming, Switch of Last Names, School, Church, Wives’ Association, 근대 여성, 여성 이름, 개명, 성씨 전환, 학교, 교회, 부인 단체

참고문헌

1.

『독립신문』

2.

『황성신문』

3.

『제국신문』

4.

『대한매일신보』

5.

『만세보』

6.

『매일신보』

7.

『녀ᄌᆞ지남』

8.

『자선부인회』

9.

『기호흥학회월보』

10.

『창조』

11.

『동광』

12.

『별건곤』

13.

『삼천리』

14.

국채보상운동기념 사업회·대구흥사단 편찬, 『국채보상운동 100주년 기념 자료집』 1-4권, 국채보상운동기념사회, 2007.

15.

경기여자중학교, 『경기여고오십년사』, 경기여자고등학교, 1957.

16.

동덕100년사편찬위원회 편, 『동덕100년사자료집』, 동덕100년사편찬위원회, 2009.

17.

이대 한국여성연구소 편, 『한말 여성관계자료집』, 이화여대출판부, 1981.

18.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동창회, 『이대인명록』, 이화여자대학교, 2004.

19.

이화칠십년사편집위원회 편, 『이화칠십년사』, 이화여자대학교, 1956.

20.

정화오십년편찬위원회, 『貞和五十年史』, 정화오십주년기념사업회, 1958.

21.

한상권 편저, 『차미리사 전집』 Ⅰ·Ⅱ, 덕성여대차미리사연구소, 2009.

22.

강선미, 『한국의 근대 초기 페미니즘 연구-서양여선교사와 조선여성들은 어떻게 만났을까』, 푸른사상, 2005, 186~209쪽.

23.

고미숙,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민족·섹슈얼리티·병리학』, 책세상, 2001, 79~120쪽.

24.

김경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20세기 전반기 신여성과 근대성』, 푸른역사, 2004, 14~21쪽.

25.

김수진, 『신여성, 근대의 과잉』, 소명출판, 2009, 19~39쪽.

26.

김연숙, 『그녀들의 이야기, 신(新)여성』, 역락, 2011, 13~34쪽.

27.

문옥표, 『신여성 : 한국과 일본의 근대 여성상』, 청년사, 2003, 51~82쪽, 119~154쪽.

28.

박용옥, 『한국근대여성운동사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36~37쪽, 121~144쪽.

29.

손인수, 『한국 여성 교육사』, 연세대학교출판부, 1977, 244쪽.

30.

연구공간수유+너머근대매체 연구팀, 『매체로 본 근대 여성 풍속사 신여성』, 한겨레신문사, 2005, 49~51쪽.

31.

이경지, 『김정혜여사소전』, 개성여자교육회, 1928, 27~32쪽.

32.

이상경, 『한국근대여성문학사론』, 소명출판, 2002, 35~74쪽.

33.

이희경, 『新女性:매체로 본 근대 여성 풍속사』, 한겨레신문사, 2005, 11~53쪽.

34.

전경옥 외, 『한국여성문화사1:개화기~1945년』, 숙대아시아여성연구소, 2004, 13~68쪽.

35.

최은희, 『여성개화열전』, 정음사, 1978, 158~159쪽.

36.

태혜숙 외, 『한국의 식민지 근대와 여성 공간』,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04, 15~40쪽.

37.

한국여성문학학회, 『한국 여성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소명출판, 2008, 137~143쪽.

38.

홍인숙, 『근대계몽기 여성담론』, 혜안, 2009, 153쪽~214쪽.

39.

황현, 『역주 매천야록』 하, 임형택 외, 문학과지성사, 2005, 358~359쪽.

40.

노블부인 편, 『승리의 생활』, 조선기독교 창문사, 1927, 40~72쪽.

41.

샤를 달레, 안응렬·최석우 역, 『한국천주교회사』, 분도출판사, 1979, 183~197쪽.

42.

제이콥 로버트 무스, 『1900, 조선에 살다』, 문무홍 외 역, 푸른역사, 2008, 144~160쪽.

43.

고혜령, 「최초의 여학사, 하란사의 생애와 활동」, 『유관순 연구』 16호, 2011, 75~109쪽.

44.

김수미, 「개화기여성의 근대의식 형성에 관한 연구-기독교계통의 여학교를 중심으로」, 명지대 역사교육석사논문, 1996, 1~71쪽.

45.

김재국, 「現代 女性의 姓氏에 관한 權利」, 『민사법연구』 8권, 대한민사법학회, 2000, 83~107 쪽.

46.

김하라, 「조선 여성의 이름에 대한 한 고찰-유만주의 여성인식과 관련하여」, 『한국고전여성문 학연구』 27, 2013, 83~118쪽.

47.

김형목, 「김정혜의 사립 정화여학교와 육영사업」, 『여성과 역사』 제25집, 2016, 53~88쪽.

48.

방상근, 「18세기 말 조선 천주교회의 발전과 세례명」, 『교회사연구』 34, 2010, 63~88쪽.

49.

배대온, 「여자이름 '召史'에 대하여」, 『배달말』 35권, 2004, 431~446쪽.

50.

윤정란, 「구한말 기독교 여성의 삶과 여성교육운동-여메례를 중심으로」, 『여성과 역사』 11집, 2009, 167~201쪽.

51.

이경하, 「애국계몽운동가 申蕭堂의 생애와 신문독자투고」, 『국문학연구』 11권 11호, 2004, 115~131쪽.

52.

이덕주, 「성을 두 번 간 여인-여메레」, 『새가정』 356호, 1986, 76~81쪽.

53.

이덕주, 「초기 한국 기독교 여성 역사 이해」, 『세계의 신학』 제28호, 1995, 115~131쪽.

54.

이방원, 「박에스더의 생애와 의료선교활동」, 『의사학』 16권 2호, 2007, 193~213쪽.

55.

이임하, 「20세기 여성, 전통과 근대의 교차로에 서다를 내면서」, 『20세기 여성, 전통과 근대의 교차로에 서다』, 국사편찬위원회, 2007, 6~13쪽.

56.

이정선, 「조선총독부의 조선인 이름 정책과 이름의 변화 양상들」, 『역사민속학』 49, 2015, 87~120쪽.

57.

정병준, 「일제하 한국여성의 미국유학과 근대경험」, 『이화사학연구』 39호, 2009, 29~99쪽.

58.

조규태, 「민적부에 나타난 여자 이름 연구」, 『여성문제연구』 10, 1981, 297~306쪽.

59.

조규태, 「朝鮮 時代 女子 이름의 語學的 考察」, 『여성문제연구』 9, 1980, 283~306쪽.

60.

최숙경, 「개화기 여성 생활 문화의 변동과 전개」, 『여성학논집』 16호, 1999, 9~29쪽.

61.

이노우에 가즈에(井上和枝), 「한국 ‘신여성’과 ‘근대’의 만남」,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5권, 2005, 195~218쪽.

62.

아단문고 아카이브 http://archive.adanmungo.org/ebook/1457031160.953/1468389447.3793/mobile/index.html#p=60

63.

한국언론재단 고신문 아카이브 http://www.bigkinds.or.kr/news/libraryNewsDir.do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