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A Study on non-places and death patterns of Choi Seung-Ja's poetry in the 1980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8, v.0 no.43, pp.343-370
https://doi.org/10.15686/fkl.2018..43.343
Kim Jung Hyun

Abstract

본 논의는 1980년대 최승자의 시텍스트를 통해 공간의 소거 양상(atopos)을 살펴보고, 공간의 소거와 함께 ‘죽음’을 받아들이고자 하는 시적 주체의 지향점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특히 논의를 1980년대에 집중한 것은, 엄혹한 시대에 목도할 수 있었던 시민의 무고한 죽음을 애도하려는 시적 주체의 태도가 이 시기에 최초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1980년대의 여성시는 주로 죽은 타자와 살아있는 주체를 자리바꿈함으로써 그 공감의 과정을 크게 불러일으킨다. 이것이 바로 변위(transposition, 자리바꿈)의 상상력이다. 특히 최승자의 시적 주체는 죽음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세상을 냉소하는 방식으로 일관되어, 그 상상력의 시적 형상화 양상이 주목을 요한다. 해당 텍스트는 공간의 소거를 통해 대타자의 억압을 형상화 한다. 이를 통해 통치 아래의 주체는 진정한 주체일 수 없으며, 오히려 ‘죽음’이라는 저항을 통해서만이 해방될 수 있음을 반증한다. 또, 언어 형식의 파격을 통해서도 이러한 세계의 모순을 끊임없이 폭로하고 있다. 결국 세계를 부정하고 자신을 소멸시키기를 갈망하는 시적 주체는 죽음을 스스로 체현하고 시대의 엄혹한 통제 앞에서 오히려 과감히 무(無)로 돌아가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다. 최승자의 시텍스트는, '누구에게나 평등한 죽음(무정형)'과 '죽음을 선택하는 개인의 자유'를 통해, 흩어진 모든 주체가 ‘죽음’을 애도한다. 이렇게 개인적 애도의 행위를 통해 연대할 수 있음을, 그래서 그 개별 주체가 각 연결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the imagination of the transposition, non-places(atopos), embodied subject, the solidarity of the subject, amorphous, death, 변위의 상상력, 비장소, 체현, 연대감, 무정형, 죽음

Reference

1.

최승자, 『이 時代의 사랑』, 문학과지성사, 1981.

2.

최승자, 『즐거운 日記』, 문학과지성사, 1984.

3.

최승자, 『기억의 집』, 문학과지성사, 1989.

4.

최승자, 『내게 새를 가르쳐 주시겠어요』, 문학과비평사, 1989.

5.

『연인들』, 문학동네, 1999.

6.

권택영, 『프로이트의 성과 권력』, 문예출판사, 1998, 92쪽.

7.

김학동·조용훈, 『현대시론』, 새문사, 1997. 8, 226~228쪽.

8.

김항, 『종말론사무소: 인간의 운명과 정치적인 것의 자리』, 문학과지성사,9~10쪽.

9.

김현, 「게워냄과 피어남」, 『말들의 풍경』, 문학과지성사, 1990, 34쪽.

10.

이승훈, 「공포의 산책과 그로테스크의 미학」, 『해체시론』, 새미출판사, 1998,168~177쪽.

11.

이재선, 「집의 공간시학」, 『한국문학주제학』, 서강대학교출판부, 1998, 334쪽.

12.

진은영, 『문학의 아토포스』, 그린비, 2014. 8, 179쪽.

13.

Erika Fischer-Lichte, 김정숙 역, 『수행성의 미학』, 문학과지성사, 2017, 182쪽.

14.

Gaston Bachelard, 곽광수 역, 『공간의 시학La Poétique de L'espace』, 민음사, 1990, 133~134쪽.

15.

Judith Butler·Athena Athanasiou, 김응산 역, 『박탈: 정치적인 것에 있어서의 수행성에 관한 대화』, 자음과모음, 2016, 232~234쪽, 229쪽, 338쪽.

16.

Marc AUGE, 이상길·이윤영 역, 『비장소: 초근대성의 인류학 입문』, 아카넷, 2017, 69~71쪽, 75쪽, 105쪽.

17.

Maurice Blanchot, 이달승 역, 『문학의 공간L'espace littéraire』, 그린비,2010, 203쪽.

18.

Rosi Braidotti, 박미선 역, 『유목적 주체』, 도서출판 여이연, 2004, 359쪽.

19.

Rosi Braidotti,Transposition, Malden: Polity Press, 2006, 220~231쪽.

20.

Slavoj Žižek, 김소연·유재희 역, 『삐딱하게 보기』, 시각과언어, 1995, 71쪽.

21.

김종주, 「귀신의 정신분석; 라캉의 정신분석적 입장」, 『계명대학교한국학논집』 제30집, 계명대학교한국학연구소, 2003. 12, 145~161쪽.

22.

윤지영, 「트랜스 리비도 경제학-호모 서플러스」, 『여/성이론』 통권 제29호,2013. 12, 94~111쪽.

23.

이숭원, 「우리 모두 함께 가야할 길-최승자 시집 『기억의 집』」, 『현대시학』제21권 7호, 1989. 7, 230~250쪽.

24.

장석주, 「죽음·아버지·자궁 그리고 시쓰기」, 『문학과 사회』 제25호, 1994.420~437쪽.

25.

정효구, 「최승자론-죽음과 상처의 시」, 『현대시학』, 1991. 5, 232~249쪽.

26.

하재봉, 「태양의 열쇠-새로운 정신의 시적 모험과 도전」, 『현대시학』 21권 6호, 1989, 195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