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Confinement of Women in the Full-length Novel <Wanwolhoemaengyeo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8, v.0 no.44, pp.7-46
https://doi.org/10.15686/fkl.2018..44.7
Tak wonjong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본고는 <완월회맹연> 속 여성에 대한 네 가지 대표적인 감금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 속 여성 감금의 성격과 의미를 진단해 본 것이다. 여성 감금 양상은 먼저 ‘시댁에 갇히기’이다. 소교완은 며느리 이자염을 없애기 위해 독살 사건을 조작한 후 이자염을 벽실(僻室)에 가두고 살해 직전까지 몰고간다. 여씨는 남편 장세린이 다른 여자와 혼인했다는 소식을 듣고 발악하다 후원의 초실에 갇히고, 이후 탈출했다가 다시 갇힌다. 다음은 ‘친정에 갇히기’이다. 소교완은 정인성 부부를 괴롭힌 일들이 친정에 알려져 두 차례의 친정행을 하게 되고, 독살당하거나 자살의 위기 이후 친정 후원에 갇히게 된다. 정인성의 첩 양일아는 정실과 다른 첩에 대한 모해 등이 알려져 친정으로 가게 되는데, 친정아버지에게 독살되기 직전 겨우 살아난 후 후원에 갇힌다. 이와 같은 여성 감금의 성격과 의미로, 먼저 여성 감금을 통한 여성 처벌의 성격은, ‘가문의 이름으로 내밀화된 처벌’과 ‘자폐적 수계(囚繫)와 절반의 교화’이다. 다음으로, 시댁과 친정에서의 감금의 성격은 ‘일상 공간의 비일상화, 시댁’과 ‘명예살인이 시도되는 공간, 친정’이다. <완월회맹연>에서 나타난 여성 인물의 감금 양상은, 국문장편소설 속 여성과 공간의 새로운 유형성을 공유하면서도 친정 감금이라는 변주를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keywords
Confinement of Women, in-law's house, parents' house, a secluded spot, secret punishment, autistic punishment, a half correction, honorary murder, 감금, 시댁, 친정, 벽실, 내밀화된 처벌, 자폐적 수계, 절반의 교화, 명예살인

Reference

1.

<완월회맹연>, 장서각본 180권 180책,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자료

2.

정병설, 『완월회맹연 연구』, 태학사, 1998, 1∼325쪽.

3.

이-푸 투안, 구동회‧심승희 역, 『공간과 장소』, 도서출판 대윤, 1999, 143쪽.

4.

김서윤,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천상계의 특성과 의미 : 모자 관계 형상화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68, 한민족어문학회, 2014, 361∼390쪽.

5.

박영희, 「<소현성록>연작 연구」,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1994, 149쪽.

6.

박은정, 「<취미삼선록>에 나타난 여성공간의 기능과 의의」, 『한민족어문학』60, 한민족어문학회, 2012, 85∼124쪽.

7.

송성욱, 「<명주기봉>에 나타난 규방에 대한 관심」, 『고전문학연구』 7, 한국고전문학연구회, 1992, 378~400쪽.

8.

심재우, 「조선시대의 법과 여성의 몸-여성 처벌 규정을 중심으로-」, 『역사와 실학』 51, 역사실학회, 2013, 147∼179쪽.

9.

이은경,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어머니의 양상과 의미」, 『개신어문연구』 21, 개신어문학회, 2004. 149∼181쪽.

10.

이지영, 「조선후기 대하소설에 나타난 일상-<완월회맹연>을 중심으로」, 『국문학연구』 13, 국문학회, 2005, 33∼57쪽.

11.

이지하, 「18,9세기 여성중심적 소설과 여성 인식의 다층적 면모」, 『고소설연구』 31, 한국고소설학회, 2011, 111∼145쪽.

12.

임치균, 「대장편소설의 수신서적 성격 연구」, 『한국문화연구』 13,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7, 83∼111쪽.

13.

임형택, 「17세기규방소설의성립과<창선감의록>」, 동방학지57, 연세대국학연구원, 103~175쪽.

14.

장시광, 「<명주보월빙>의 여성수난담과 서술자의식」,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7,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309∼343쪽.

15.

장시광, 「대하소설 여성수난담의 성격 — <완월회맹연>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연구』 47, 동양고전학회, 2012, 7∼50쪽.

16.

장시광, 「<유효공선행록>에 형상화된 여성수난담의 성격」, 『배달말』 45,경상대학교배달말학회, 2009, 217∼255쪽

17.

장시광, 「<유씨삼대록> 여성수난담의 성격과 서술자의식」, 『어문논총』 51,언어학, 2009, 223∼269쪽.

18.

장시광, 「<쌍천기봉> 여성수난담의 특징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1,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187∼232쪽

19.

장시광, 「<현몽쌍룡기> 연작에 형상화된 여성수난담의 성격」, 『국어국문학』 152, 국어국문학회, 2009, 365∼410쪽

20.

정병설, 「<옥원재합기연>의 여성소설적 성격」, 『한국문화』 21, 서울대한국문화연구소, 1998, 45~62쪽.

21.

정선희, 「삼대록계 국문장편 고전소설 속 여성들의 길 떠나는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4권,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7,103∼132쪽.

22.

탁원정, 「17세기 가정소설의 공간 연구 : <사씨남정기>, <창선감의록>을 대상으로」, 이화여대박사학위 논문, 2005, 132∼133쪽, 154∼158쪽.

23.

한길연, 「대하소설의 ‘일상 서사’의 미학 - 일상과 탈일상의 줄타기」, 『국문학연구』 14, 국문학회, 2006, 125∼149쪽.

24.

한길연, 「대하소설에 나타나는 '남편 폭력담'의 양상과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1,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69∼121쪽.

25.

한길연, 「대하소설 속 독특한 여성공간의 탐색을 통한 문학치료」, 『문학치료연구』 19,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41∼74쪽.

26.

한길연, 「소인형 장인이 등장하는 옹서대립담 연구: 여주인공의 입장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 15, 한국고소설학회, 2003, 277∼315쪽.

27.

한길연,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戱談)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5권,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273∼310쪽.

28.

한정미, 「<완월회맹연> 여성 인물간 폭력의 양상과 서술 시각」, 『한국고전연구』 25, 한국고전연구학회, 2012, 435∼397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