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The dilemma of ‘the yard’ and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Ppalgaengi virus’ in Park Wan-seo’s 'Ppalgaengi viru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8, v.0 no.45, pp.158-182
https://doi.org/10.15686/fkl.2018..45.158
Park Sungeun

Abstract

박완서는 전쟁과 분단을 시대를 통과하는 시점마다 증언을 남겨온 작가다. 자전적 경험은 물론 당대를 살아낸 사람들이 가진 공동의 기억도 함께 증언했다. 이것은 발터 벤야민이 말한 역사수집 기술자의 기록방식에 해당한다. 박완서는 ‘역사와 민족’이라는 관점에서 분단을 증언한 것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을 통해 분단문제를 제기했다. 이와 같은 방식이 박완서가 분단을 사유하는 방식이고 파편화되어 기억되지 않을 것들을 기록하는 방식이다. 1990년대 자전적 소설의 출간 이후 분단문제에 대한 작품활동이 뜸했던 작가는 2009년 유작에 가까운 「빨갱이 바이러스」를 발표했다. 이 소설은 수복지구 양양의 역사와 원주민의 삶을 통해 분단의 구조를 파헤치고 분단극복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전쟁체험세대가 실패한 분단문제를 후속세대에게 상속하며 분단해체의 의무를 유산으로 남겼다. 박완서는 이 소설에서 우리 사회의 가장 첨예한 대립점인 ‘빨갱이 담론’을 정면으로 응시했다. 이것은 ‘빨갱이 담론’을 전복시키기 위한 ‘탈빨갱이 담론’이 사회적 담론화가 되어야 한다는 의지로 보인다. 일상의 담론 옆에 빨갱이 담론을 놓고, 거리낌없이 사회적으로 논의되어야 분단의 역사를 청산하고 극복의 역사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ppalgaengi, post-ppalgaengi, ppalgaengi virus, system of the division, dissolution of the division, 빨갱이, 탈빨갱이, 빨갱이 바이러스, 분단체제, 분단의 해체

Reference

1.

박완서, 「빨갱이 바이러스」, 『그리움을 위하여』, 문학동네, 2013, 297-336쪽.

2.

권명아, 「미래의 해석을 향해 열린, 우리 시대의 미래」, 『우리 시대의 소설가 박완서를 찾아서』, 박완서 외, 웅진닷컴, 2002, 199-217쪽.

3.

김귀옥, 『이산가족, ‘반공전사’도 ‘빨갱이’도 아닌…」, 역사비평사, 2004, 56-60쪽.

4.

김득중, 『빨갱이의 탄생』, 선인, 2009, 1-670쪽.

5.

김승환, 「분단문학과 분단시대」, 『분단문학비평』, 김승환·신승범 엮음, 청하, 1987, 17-54쪽.

6.

발터 벤야민, 최성만 역,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폭력비판을 위하여/초현실주의 외』, 도서출판 길, 2008, 329-350쪽.

7.

유임하, 『기억의 심연』, 이회문화사, 2002, 209-213쪽.

8.

임헌영, 『분단시대의 문학』, 태학사, 1992, 221-223쪽.

9.

임헌영, 『우리시대의 소설 읽기』, 도서출판 글, 1992, 318-328쪽.

10.

자크 랑시에르, 유재홍 역, 『문학의 정치』, 인간사랑, 2011, 9-50쪽.

11.

정호웅, 「상처의 두 가지 치유방식」, 『박완서論』, 권영민 외, 삼인행, 1991, 85-98쪽.

12.

조은, 『침묵으로 지은 집』, 문학동네, 2003, 100-126쪽.

13.

조혜정, 「박완서 문학에 있어 비평이란 무엇인가」, 『박완서論』, 권영민 외,삼인행, 1991, 127-178쪽.

14.

주디스 허먼, 최현정 역, 『트라우마』, 열린책들, 2012, 73-83쪽.

15.

한모니까, 『한국전쟁과 수복지구』, 푸른역사, 2017, 408-412쪽.

16.

강성현, 「‘아카’(アカ)와 ‘빨갱이’의 탄생 -‘적(赤-敵)만들기’와 ‘비국민’의 계보학」, 『사회와 역사』 100, 한국사회사학회, 2013, 235-277쪽.

17.

강진호, 「반공주의와 자전소설의 형식」, 『국어국문학』 133, 국어국문학회, 2003, 313-337쪽.

18.

김귀옥, 「잃어버린 또 하나의 역사(한국전쟁시기 강원도 양양군 미군정 통치와 반성)」, 『경제와사회』 46, 비판사회학회, 2000, 30-53쪽.

19.

김항, 「분단의 기억, 기억의 정치」, 『인문논총』 73(2), 인문과학논총, 2016, 361-392쪽.

20.

박명림, 「국민형성과 내적 평정; ‘거창사건’의 사례 연구-탈냉전 이후의 새자료, 정신, 해석」, 『한국정치학회보』 36, 한국정치학회, 2002,69-91쪽.

21.

박성은, 「박완서 소설 속 ‘망령들’을 통해 본 분단서사의 틈과 균열」, 『용봉인문논총』 53,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95-120쪽.

22.

이선미, 「박완서 소설과 ‘비평’: 공감과 해석의 논리」, 『여성문학연구』 25,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29-58쪽.

23.

이평전, 「한국전쟁의 기억과 장소 연구-박완서 소설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65, 한민족어문학회, 2013, 869-895쪽.

24.

조미숙, 「박완서 소설의 전쟁 진술 방식 차이점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24, 한국문예비평학회, 2007, 223-257쪽.

25.

조성미, 「월북자가족의 생활경험과 월북의 의미체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2.

26.

조은, 「차가운 전쟁의 기억: ‘여성적’ 글쓰기와 역사의 침묵 읽기」, 『한국문학연구』 26,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3, 3-21쪽.

27.

주창윤, 「해방공간, 유행어로 표출된 정서의 담론」, 『한국언론학보』 53(5),한국언론학회, 2009, 360-383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