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박완서 전쟁 체험 소설의 반복과 차이

The Repetition and Difference in War-Experienced Novels of Park Wan-seo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8, v.0 no.45, pp.184-224
https://doi.org/10.15686/fkl.2018..45.184
우현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전 세대에 걸쳐 넓은 독자층을 확보한 박완서 소설은 꾸준한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한국 전쟁의 반복되는 소재 속에서 계몽성과 동어반복적인 내용 구성으로 오해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지점에 착목하여 한국전쟁 체험을 소재로 하는 박완서 소설에 내재된 반복과 차이의 의미를 재구하고 작가의 서술 의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 박완서 문학의 특징은 소설의 동시대적인 현실과 병행되는 기억의 재현과 그 미묘한 변주에 내포된 한국전쟁의 의미를 재고하는 데에 있다. 전쟁 체험 소설에서 작가는 단순한 소재적 반복이 아닌 해당 텍스트가 창작되던 시대와의 상호작용 및 동시대 독자와의 소통을 추구하면서 전쟁의 일상을 재조명하는 반복과 차이의 의미 분화를 기획한다. 1970년대 박완서 소설은 전후 복구와 근대 산업주의 논리에 은폐되었던 전쟁 체험을 통해 전쟁의 결과로 탄생한 사회적 약자를 재생산하고 계급의 위계를 공고히 하는 공모의 논리를 고발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부끄러움과 수치심이라는 전쟁 체험 세대의 수렴과 발산의 감각에 주목한다. 80-90년대 소설에서는 유년기 전쟁 체험 세대가 등장하여, 전후의 문제를 당사자적으로 극단화 하거나 혹은 체념과 용서로 봉합하는 전쟁 세대와 타자의 기억을 소비하고 억압하면서 외부자로 안도하는 미체험 세대를 모두 비판한다. 이 시기 소설에서 작가는 현실 논리에 압도된 전후의 기억을 복원할 필요성과 더불어 전쟁을 실감하는 세대 갈등을 예각화하며 공감의 난망을 드러낸다. 이후 휴전이 고착된 2000년대는 전쟁 체험 세대의 노년화와 전쟁 체험의 세대적 공백기의 특성을 보인다. 이 시기 박완서 소설의 전쟁 체험은 말년성의 갈등과 부조화를 감내하며 이를 저항의 동력으로 삼는다. 휴전 중인 당대 현실에 무관심한 대중을 향해 작가는 직설화법으로 증언하지 않을 권리를 선언한다. 발화의 포기 자체를 선택하는 작가의 능동성은 증언을 원하는 것과 원하지 않는 것, 발화 행위와 비행위, 부정과 긍정 사이의 모호함을 가시화하면서 전후 현실에 대한 독자의 책임 의식을 환기시킨다. 이로써 전쟁체험의 기억을 대중과 공유하고 전쟁의 재발을 막고자 하는 작가의 반전 의식이 소설적인 재현의 반복을 추동한다면, 정전의 물리적 거리를 실감하고 독자의 세대적 변화를 포용하는 작가의식은 차이의 서사를 구축함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Park Wan-seo, Korean War, A war experience novel, Repetition and Difference, Shame, Generation conflict, Testimony of the war, The generalization of war, Readers, Communication, 박완서, 한국전쟁, 전쟁 체험 소설, 반복과 차이, 부끄러움, 세대 갈등, 전쟁의 증언, 전쟁의 일상화, 독자, 소통

참고문헌

1.

박완서, 박완서 소설전집 2 『목마른 계절』, 세계사, 2012.

2.

박완서, 「엄마의 말뚝3」, 박완서 소설전집 11, 『엄마의 말뚝』, 세계사, 2012.

3.

박완서, 박완서 소설전집 12, 13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1,2, 세계사, 2012.

4.

박완서, 박완서 소설전집 19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세계사, 2012.

5.

박완서, 박완서 소설전집 20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세계사, 2012.

6.

박완서,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1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문학동네, 2013.

7.

박완서,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2 『배반의 여름』, 문학동네, 2013.

8.

박완서,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4 『저녁의 해후』, 문학동네, 2013.

9.

박완서,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7 『그리움을 위하여』, 문학동네, 2013.

10.

박완서, 『두부』, 창비, 2002.

11.

가라타니 고진, 송태욱 역, 『윤리 21』, 사회평론, 2001, 201쪽.

12.

강인숙,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도시와 모성』, 둥지, 1997, 227쪽.

13.

박완서,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 현대문학, 2010.

14.

천정환, 정종현, 『대한민국 독서사 – 우리가 사랑한 책들, 知의 현대사와 읽기의 풍경』, 서해문집, 2018, 22쪽.

15.

오카 마리, 김병구 역, 『기억 서사』, 소명출판, 2004, 143쪽.

16.

자크 데리다, 남수연 역, 『환대에 대하여』, 동문선, 2004, 69-71쪽.

17.

조르조 아감벤, 정문영 역,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 새물결, 2012, 161쪽.

18.

강진호, 「기억 속의 공간과 체험의 서사」, 『아시아문화연구』 제28권,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1-19쪽.

19.

김만수, 「80년간의 개인사, 가족사, 사회사-박완서론」, 『문예운동』 제120권, 문예운동사, 2013, 64-74쪽.

20.

김진환, 「기획 특집: 광복, 분단 70년 그리고 통일 : 남한 국민의 대북의식과 통일의식 변천」, 『현대사광장』 제6권,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5.12, 72-93쪽.

21.

손윤권, 「‘번복’의 글쓰기에 의한 박완서 소설 『그 남자네 집』의 서사구조 변화」, 『인문과학연구』 제33권,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6, 29-58쪽.

22.

염무웅, 「관용의 시간을 위하여」, 『창작과 비평』 제39권 3호, 창작과비평사, 2011, 350-373쪽.

23.

오자은, 「1980년대 박완서 단편소설에 나타난 중산층의 존재방식과 윤리」, 『민족문학사연구』 제50권, 민족문학사학회, 2012, 231-257쪽.

24.

우현주,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수평적 新가족 공동체 형성」,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66권,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49-71쪽.

25.

우현주, 「박완서 소설의 환대 양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26.

유홍림, 홍철기, 「조르지오 아감벤의 포스트모던 정치철학」, 『정치사상연구』, 한국정치사상학회, 2007, 155-182쪽.

27.

이선미, 「탈냉전에 대응하는 소설의 형식: 기억으로 발언하기」, 『상허학보』 제12권, 상허학회, 2004, 403-432쪽.

28.

이선옥, 「모성 다시 쓰기의 의미」, 『여성문학연구』 제4권, 여성문학학회, 2000, 247-266쪽.

29.

정진만, 「“아 바틀비여! 아 인간이여!”」, 『비평과 이론』 제17권 1호, 한국비평이론학회, 2012, 111-135쪽.

30.

정홍섭, 「1970년대 서울(사람들)의 삶의 문화에 관한 극한의 성찰-박완서론(1)」, 『비평문학』 제39권, 한국비평문학회, 2011, 401-435쪽.

31.

주지영, 「전쟁을 사유하는 세 가지 방식 -미체험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제42권, 한국현대문예비평연구학회, 2013, 101-130쪽.

32.

박완서 인터뷰, 「또다시 전쟁을 보느니 차라리 죽고 싶다」, <인터넷 교보문고> (http://news.kyobobook.co.kr/people/interviewView.ink?sntn_id=2093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