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Politics of intersectionality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6, pp.315-325
https://doi.org/10.15686/fkl.2019..46.315
Hwang, Jisung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keywords

Reference

1.

오드리 로드, 박미선· 주혜연 역, 시스터 아웃사이더 , 후마니타스. 2018, 195쪽

2.

Alison Kafer and Eunjung Kim, “Disability and the edges of intersectionality”, eds., Clare Barker and Stuart Murray, The Cambridge companion to literature and disability, Cambridge‧New York: Cambridge UP, 2018.

3.

미셸 푸코, 김상운 역,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5-76 , 난장, 2010, 289쪽.

4.

미셸 푸코, 이규현 역, 『성의 역사1: 앎의 의지』, 서울: 나남, 2004.

5.

게일 루빈, 신혜수 외 역, 「성을 사유하기」, 『일탈: 게일 루빈 선집』, 현실문화, 2015.

6.

Lennard Davis, Enforcing normalcy: Disability, deafness, and the body, London·New York: Verso, 1995.

7.

David Valentine, Imagining transgender: An ethnography of a category, Durham and London: Duke UP, 2007.

8.

미셸 푸코, 심세광 외 역, 안전, 영토, 인구: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7-78 , 난장, 2011, 92쪽.

9.

프란츠 파농, 노서경 역, 검은 피부, 하얀 가면 , 문학동네, 2004, 118쪽.

10.

미셸 푸코, 문경자 역, 성의역사 2: 쾌락의 활용 , 나남, 2004.

11.

Lynne Huffer, “Foucault’s eros: For an ethics of living in biopower”, eds.,Christopher Falzon, Timothy O’Leary, and Jana Sawicki, A companion to Foucault, West Sussex: Wiley-Blackwell, 2013.

12.

Alison Kafer, “Desire and disgust: My ambivalent adventures in Devoteeism”, 2012; 전혜은, 「장애와 퀴어의 교차성을 사유하다」, 57쪽에서 재인용.

13.

전혜은, 「장애와 퀴어의 교차성을 사유하다」, 57쪽.

14.

나영, 「페미니즘과 퀴어, 그리고 적녹보라 패러다임」, 123쪽

15.

도균, 「게이라는 게 이쪽이라는 뜻이야?」, 205쪽

16.

김보명, 「공백으로부터, 아래로부터, 용기로부터 시작하는 페미니즘, 교차성」, 82쪽.

17.

루인, 「젠더로 경합하고 불화하는 정치학」, 104-8쪽.

18.

Jasbir Puar, “Disability”, TSQ: Transgender Studies Quarterly, 2014.

19.

Mel Chen, Animacies: Biopolitics, Racial Mattering, and Queer Affect, Durham and London: Duke Up, 2012.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