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Critique of Ueno Chizuko's gender-essentialism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7, pp.13-53
https://doi.org/10.15686/fkl.2019..47.13
Joohee Kim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ast Asian flow and change of feminist knowledge culture through the book, Onnagirai: Misogyny in Japan, written by Ueno Chizuko. The theory of East Asia is the topic of sociology of knowledge that has been debated for more than 20 years in South Korea. However, feminism has been mainly used as a tool to explain and change the Korean society represented by 2015. In this study, East Asia was analyzed with a translation-related perspective, juxtaposing the time of 1995 and 2015, with the works by Ueno Chizuko. It points out some of the trends that were seen in unprecedented boom of feminism as the name of gender-essentialism and revealed that this trend was the effect of 1995 when Asia was mobilized as a target of development and embraced it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t is the same problem with the book of Ueno Chizuko, Onnagirai: Misogyny in Japan which pathologize the hatred, and Patriarchy and Capitalism which rejects the contemporariness between Korea or Asia, and Japan. This study urged the critique of Asian feminism reinforced by gender-essentialist feminism through the post-colonial reflection to the universal discourse of women's human rights, and the creation of a possibility of political resistance in consideration of historical temporality.

keywords
우에노 치즈코, 『여성혐오를 혐오한다』, 번역의 정치, 젠더 본질주의, 페미니즘 대중화, 아시아 여성학, Ueno Chizuko, Onnagirai: misogyny in Japan, politics of translation, gender essentialism, popularization of feminism, Asian women's studies

Reference

1.

우에노 치즈코, 「 제국의 위안부 의 탈식민지주의」, 대화를 위해서: 제국의 위안부 라는 물음을 펼치다 , 이권희 외 역, 뿌리와이파리,2017, 247쪽.

2.

우에노 치즈코, 이재호·야노 유리코 역, 90년대의 아담과 이브 , 동풍, 1991.

3.

우에노 치즈코, 이승희 역,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 녹두, 1994.

4.

우에노 치즈코, 이선이 역, 내셔널리즘과 젠더 , 박종철출판사, 1999.

5.

우에노 치즈코, 장미희 역, 스커트 밑의 극장 , 논장, 1991.

6.

우에노 치즈코, 나일등 역, 여성혐오를 혐오한다 , 은행나무, 2012.

7.

우에노 치즈코, 이선이 역, 위안부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학 , 현실문화연구, 2014.

8.

우에노 치즈코· 조한혜정, 사사키 노리코·김찬호 역, 경계에서 말한다 ,생각의나무, 2004.

9.

강가람, 2000년 여성국제법정을 통해 본 초국적 여성 연대의 가능성: 한일사회 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6, 105-108쪽.

10.

김욱동, 번역의 미로 , 글항아리, 2010, 55쪽.

11.

김은실, 「여성주의 지식의 생산과 제도화의 정치학」, 글로컬 시대 아시아여성학과 여성운동의 쟁점 ,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기획, 한울, 2016, 75-102쪽.

12.

김현미, 글로벌 시대의 문화번역 , 또하나의문화, 2005, 50-51쪽.

13.

서동진, 동시대 이후: 시간―경험―이미지 , 현실문화연구, 2018, 10-41쪽.

14.

이상화, 「‘아시아’와 ‘아시아여성학’의 개념화를 위하여」, 글로컬 시대 아시아여성학과 여성운동의 쟁점 ,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기획, 한울, 2016, 46-74쪽.

15.

정혜욱, 번역과 문화연구 , 경성대출판부, 2010.

16.

라미아 카림, 박소현 역, 가난을 팝니다: 가난한 여성들을 착취하는 착한자본주의의 맨얼굴 , 오월의봄, 2015.

17.

마리아 미즈·베로니카 벤홀트-톰젠, 꿈지모 역, 자급의 삶은 가능한가 : 힐러리에게 암소를 , 동연, 2013.

18.

쑨거, 김민정 역, 왜 동아시아인가: 상황 속의 정치와 역사 , 글항아리, 2018, 39쪽.

19.

프레드릭 제임슨, 신현욱 역, 문화적 맑스주의와 제임슨 , 창비, 2014, 162-163쪽.

20.

호미 바바, 나병철 역,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이론 , 소명출판, 2002, 53쪽.

21.

Eliza Steinbock, “Misogyny”, Keywords for Radicals: The Contested Vocabulary of Late-Capitalist Struggle, Kelly Fritsch, Clare O'Connor, A. K. Thompson (eds.), AK Press, 2016, p.265.

22.

Eve K. Sedgwick, Between Men: Male Homosocial Desire and English Literature, New York: Columbia UP, 1985.

23.

Inderpal Grewal, Transnational America: Feminisms, Diasporas, Neoliberalisms,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2005, p.133.

24.

Jasbir Puar, Terrorist Assemblages: Homonationalism in Queer Times,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2007, pp.89-90.

25.

Joan Scott, The Politics of the Veil,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26.

Michael Scarce, Male on Male Rape: The Hidden Toll of Stigma and Shame, New York, NY: Insight Books, 1997.

27.

곽진영, 「동아시아 거버넌스와 NGO연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초국적 연대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15권 3호,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6, 31-62쪽.

28.

김보명, 「혐오의 정동경제학과 페미니스트 저항: <일간 베스트>, <메갈리아>, 그리고 <워마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34권 1호, 한국여성학회, 2018, 1-31쪽.

29.

김영선, 「한국 여성학 제도화의 궤적과 과제」, 현상과인식 제34권 3호, 한국인문사회과학원, 2010, 323-350쪽.

30.

김용복, 「일본 우경화, 한일관계 그리고 동아시아: 과거사 갈등과 영토분쟁」, 경제와사회 제99호, 비판사회학회, 2013, 36-62쪽.

31.

김은실, 「민족 담론과 여성: 문화, 권력, 주체에 관한 비판적 읽기를 위하여」, 한국여성학 제10권, 한국여성학회, 1994, 18-52쪽.

32.

김은희, 「1920년대 중국여성문학과 대중매체」, 여성문학연구 제4권, 한국여성문학학회, 2000, 121-149쪽.

33.

이사라, 「 여자계 를 통해 본 신여성 담론과 시」, 여성문학연구 제4권, 한국여성문학학회, 2000, 53-75쪽.

34.

김주희, 「오늘 왜 페미니즘은 ‘혐오’와 접속했는가: 말과활 2016년 가을혁신호 발간 기념 토론회 후기」, 말과활 제12권, 일곱번째숲,2016, 105-113쪽.

35.

김현미, 「난민 포비아와 한국 정치적 정동의 시간성」, 황해문화 제101호,새울문화재단, 2018, 210-228쪽.

36.

나 영, 「지금 한국에서, TERF와 보수 개신교계의 혐오선동은 어떻게 조우하고 있나」, 문화과학 93권, 문화과학사, 2018, 50-72쪽.

37.

류진희, 「‘촛불 소녀’에서 ‘메갈리안’까지, 2000년대 여성혐오와 인종화를 둘러싸고」, 사이間SAI , 제19호,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5, 41-66쪽.

38.

문소정, 「동아시아 여성평화운동과 일본 여성의 횡단정치학」, 사회와 역사 제89권, 한국사회사학회, 2011, 305-335쪽.

39.

민가영, 「국가횡단적 비교 여성학의 모색: 아시아 여성학에 대한 재검토를중심으로」, 역사와 문화 제21권, 문화사학회, 2011, 81-107쪽.

40.

박이은실, 「퀴어 이론가: 이브 코소프스키 세즈윜」, 여/성이론 제30호, 도서출판여이연, 2014, 133-165쪽.

41.

박정미, 「여성주의는 민족주의를 초월할 수 있는가?」, 진보평론 제5호, 박종철출판사, 2000, 447-454쪽.

42.

소현숙, 「누가 일본군 위안부였던 여성의 침묵을 강요하였는가」, 한국역사연구회회보 제38권, 한국역사연구회, 2000, 15-19쪽.

43.

에구사 미츠코, 「신체언설에 나타난 근대화: 여사야정자 흐트러진 머리(み だれ 髮) 의 표현을 통해서」, 여성문학연구 제4권, 한국여성문학 학회, 2000, 155-172쪽.

44.

윤여일, 「동아시아라는 번역공간」, 경제와사회 제93호, 비판사회학회, 2012, 193-218쪽.

45.

윤영실, 「동아시아의 ‘장소들’과 한국근대문학의 탈영토화: 조선인 ‘위안부’재현 서사들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제67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7, 79-120쪽.

46.

이덕화, 「신여성문학에 나타난 근대체험과 타자의식: 김명순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4권, 한국여성문학학회, 2000, 17-47쪽.

47.

임명진, 「번역, 권력, 그리고 탈식민성」, 현대문학이론연구 제50호,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171-198쪽.

48.

정이환·김영미·권현지, 「동아시아 신흥 선진국의 여성고용: 한국과 대만 비교」, 한국여성학 제28권 1호, 한국여성학회, 2012, 147-181쪽.

49.

하효홍, 「신문기사에서 소설까지: 호방란 사건 분석」, 여성문학연구 제4권, 한국여성문학학회, 2000, 81-115쪽.

50.

허 윤, 「1980년대 여성해방운동과 번역의 역설」, 여성문학연구 제28권,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239-264쪽.

51.

Cecilia L. Ridgeway, “Framed before we know it: How gender shapes social relations,” Gender & Society 23, 2009, pp.145-160.

52.

Marieke de Goede, “Mastering ‘lady credit’", International Feminist Journal of Politics 2(1), 2000, pp.58-81.

53.

Paula England, “The gender revolution: Uneven and Stalled,” Gender & Society 24(2), 2010, pp.149-166.

54.

김윤덕, 「‘여성 파워’ 梨大 여성학과 30주년이 조용하다는데…」, 조선일보 , 2012.1.28.

55.

김태훈, 「IS보다 무뇌아적 페미니즘이 더 위험해요」, 그라치아 , 제48호, 2015.02.02.

56.

김향미, 「여성학 폐지는 인문학의 위기」, 경향신문 , 2011.09.13.

57.

정원식, 「‘응답하라’ 20대 여성들, 페미니즘 도서 열풍 이끈다」, 경향신문 , 2016.08.09.

58.

정희진, 「미소지니=여성혐오?」, 한겨레 , 2017.08.04.

59.

최보윤, 「[전투복 벗는 페미니즘] 성의 정치 대신 생활정치 입는다」, 조선일보 , 2007.01.01.

60.

최보윤·김미나, 「[전투복 벗는 페미니즘] 이젠 남성이 여성학의 ‘소비자’」, 조선일보 , 2007.01.02.

61.

한겨레, 「유럽·미국·일본의 여성 현실 소개〈90년대의 아담과 이브>」, 한겨레 , 1991.11.21.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