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Im)possibility of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Japanese and South Korean Feminisms : Focusing on Ueno Chizuko’s ‘Comfort Women’ Discours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7, pp.55-86
https://doi.org/10.15686/fkl.2019..47.55
KYOUNGHWA LIM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본고에서는 일본 페미니즘을 대표하는 연구자이자 한국의 페미니즘 운동과 가장 활발히 교류해 온 활동가이기도 한 우에노 지즈코가 한국 페미니즘 연구자들과 나눈 교류의 궤적을 좇았다. 특히 한일간 페미니즘의 소통과 연대를 통한 순환의 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어 온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어떻게 논의되었는지에 주목하여 각각의 교류를 유형화하여 제시했다. 우선 조한혜정과의 교류에서는 아시아의 가부장제, 내셔널리즘에 대한 페미니즘 비판이 공동의 과제로 인식되었고 민족과 국가를 상대화하고 개인과 시민을 강조하는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기반이 공유되었다. 하지만, 공동의 과제이어야 했을 군사주의나 전시 성폭력 문제는 회피된다. 양자의 회피 논리는 가해와 피해의 이분법의 한계, ‘위안부’ 문제의 내셔널리즘에의 종속에 대한 비판이었다. 하지만, 내셔널리즘을 비판하고 젠더 문제에 초점을 맞춘 우에노의 ‘위안부’ 문제 인식이 식민지 지배 책임, 전쟁 책임을 비가시화하여 역사수정주의에 취약하다는 것은 박유하와의 온정주의적인 교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 근본 원인은 식민주의를 간과하고 보편주의를 강조하여 일본군 ‘위안부’ 운동을 뒷받침해 온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문제의식과 어긋난 데에 있다는 것을 김부자와의 논쟁에서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우에노 지즈코는 일본군 ‘위안부’ 운동에 관한 한, 한국의 교류 상대자들과 그 차이를 인정하면서 평등한 관계를 전제로 하는 공투에는 지속적으로 실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위안부’ 문제, 우에노 지즈코,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조한혜정, 박유하, 김부자, ‘comfort women’ issue, postcolonial feminism, Ueno Chizuko, Cho-Han Hyejŏng, Kim Puja, Pak Yuha

Reference

1.

우에노 지즈코, 이선이 역, 다시 쓰는 내셔널리즘과 젠더: 위안부를 둘러싼기억의 정치학, 현실문화, 2014, 1-327쪽.

2.

우에노 치즈코, 이선이 역, 내셔널리즘과 젠더, 박종철출판사, 1999, v-279쪽.

3.

上野千鶴子, ナショナリズムとジェンダー, 青土社, 1998, 1-229쪽.

4.

박유하, 화해를 위해서: 교과서 위안부 야스쿠니 독도, 뿌리와이파리, 2005, 1-214쪽.

5.

박유하, 제국의 위안부: 식민지지배와 기억의 투쟁, 뿌리와이파리, 2013, 1-327쪽.

6.

우에노 치즈코・조한혜정, 사사키 노리코 외 역, 경계에서 말한다, 생각의나무, 2004, 1-251쪽.

7.

정영환, 임경화 역, 누구를 위한 ‘화해’인가: 《제국의 위안부》의 반역사성,푸른역사, 2016, 1-278쪽.

8.

上野千鶴子, ポスト冷戦と日本版歴史修正主義 , 日本の戦争責任資料セ ンター 編, シンポジウム ナショナリズムと「慰安婦」問題, 青 木書店, 1998, 98-122쪽.

9.

上野千鶴子, 差異の政治学, 岩波書店, 2002, 1-343쪽.

10.

上野千鶴子, あえて火の中の栗を拾う, 朴裕河,和解のために: 教科書・慰安婦・靖国・独島, 平凡社, 2006, 243-251쪽.

11.

上野千鶴子・加納実紀代, 対談フェミニズムと暴力, 加納実紀代編, リブという「革命」: 近代の闇をひらく(文学史を読みかえる 7), イ ンパクト出版会, 2003, 4-56쪽.

12.

金富子, 慰安婦問題と脱植民地主義歴史修正主義的な 和解 への抵抗, 金富子・中野敏男編, 歴史と責任: 慰安婦問題と一九九〇年代 , 靑弓社, 2008, 100-121쪽.

13.

金富子, 継続する植民地主義とジェンダー: 国民概念・女性の身体・記憶 と責任, 世織書房, 2011, 1-260쪽.

14.

米山リサ, 暴力・戦争・リドレス: 多文化主義のポリティクス, 岩波書店, 2003, 111-157쪽.

15.

米山リサ, 批判的フェミニズムと日本軍性奴隷制: アジア/アメリカからみ る女性の人権レジームの陥穽, 金富子・中野敏男編, 歴史と責 任: 慰安婦問題と一九九〇年代, 靑弓社, 2008, 235-249쪽.

16.

吉見義明, 従軍慰安婦問題と歴史像: 上野千鶴子氏に答える, 日本の戦 争責任資料センター編, シンポジウム ナショナリズムと慰安婦 問題, 青木書店, 1998, 123-142쪽.

17.

Norma Alarcon, “The Theoretical Subject(s) of This Bridge Called My Back and Anglo-American Feminism,” Gloria Anzaldú a, ed., Making Face, Making Soul: Creative and Critical Perspectives by Feminists of Color, Aunt Lute Foundation Books, 1990, pp.288-299.

18.

Seungsook Moon, Militarized Modernity and Gendered Citizenship in South Korea, Duke University Press, 2005, pp.1-272.

19.

강정숙, 민족과 젠더 논의에 참가하며, 여성과 사회 제11호, 창작과비평사, 2000, 271-278쪽.

20.

권인숙, 대화를 통한 자기성찰의 기록: 우에노 치즈꼬 조한혜정 경계에서말한다, 창작과비평 33호, 창비, 2005, 401-404쪽.

21.

김귀옥, 한국전쟁과 한국군위안부문제를 돌아본다, 구술사연구 제2권 1호, 한국구술사학회, 2011, 117-140쪽.

22.

김귀옥, 일본식민주의가 한국전쟁기 한국군위안부제도에 미친 영향과 과제, 사회와 역사 제103권, 한국사회사학회, 2014, 85-116쪽.

23.

김부자, 한국의 <평화의 소녀상>과 탈진실(post-truth)의 정치학: 일본의식민주의/남성중심적인 내셔널리즘과 젠더를 검토한다 , 한국여성학 제33권 3호, 한국여성학회, 2017, 279-322쪽.

24.

박정미, 서평: 여성주의는 민족주의를 초월할 수 있는가? , 진보평론 제5호, 현장에서 미래를, 2000, 447-454쪽.

25.

소현숙, 누가 일본군 위안부였던 여성의 침묵을 강요하였는가: 우에노 치즈코(上野千鶴子) 지음, 이선이 옮김, 내셔널리즘과 젠더, 박종철출판사, 1999, 한국역사연구회회보 제38호, 한국역사연구회,2000, 15-19쪽.

26.

이은경, 국가 범주를 초월하는 페미니즘, 과연 가능한가(우에노 치즈코 지음, 내셔널리즘과 젠더, 이선이 옮김(박종철출판사, 1999)) , 당대비평 제10호, 생각의 나무, 2000, 475-485쪽.

27.

조한혜정, 아시아 지역의 페미니스트, 왜, 그리고 어떻게 만날 것인가? , 당대비평 제5호, 삼인,1998, 161-185쪽.

28.

金富子, 慰安婦 問題と脱植民地主義: 歴史修正主義的な 和解 への抵抗, インパクション 51호, 2007, 124-147쪽.

29.

金富子, 上野流フェミニズム社会学の落とし穴: 上野─吉見論争とその後を 振り返る, 商学論纂 제58권 5 6호, 2017, 103-135쪽.

30.

Chandra Talpade Mohanty, “Under Western Eyes: Feminist Scholarship and Colonial Discourses.” Boundary 2 vol.12, no.3/vol.13, no.1, Duke University Press, 1984, pp.333-358.

31.

Simon Clarke, “A Definition of Paternalism,” Critical Review of International Social and Political Philosophy vol.5, no.1, 2002, Routledge, pp.81-91.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