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모던 걸’의 공포와 ‘동지’의 수사학 : 『인간문제』에 나타난 강경애 사회주의 여성의식 재고(再考)

The Fear of ‘Modern Girl’ and the Rhetoric of Comrades : A Review of Socialist Female Consciousness in [Human problem] by Kang Kyeong-ae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7, pp.257-283
https://doi.org/10.15686/fkl.2019..47.257
송인화 (한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강경애는 식민지 시기 최고의 사회주의 여성작가로 인정받았고 여성의식 역시 이념적 관점에서 접근되었다. 여성해방의식을 성공적으로 구현했다거나 혹은 사회주의 이념에 구조화된 남성중심성을 수용하였다는 기존 연구의 주장은 평가의 방향은 다르지만, 사회주의라는 단일 이념으로 여성의식을 해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지 않다. 사회주의를 단일한 내용을 갖는 하나의 이념으로 상정하고 그것의 약점과 미덕을 강경애 여성의식의 성패와 연결시키고 있다. 그러나 강경애 작품을 통해 드러나는 여성의식은 이음새 없는 단일한 이념으로서의 사회주의 여성의식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보다는 오히려 사회주의 안에 모순된 이질성을 구조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근대적인 가부장적 시각과 근대적 계급해방의 이념이 교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사회주의 진영 안에서도 다른 여성주의자들과의 낙차도 발견된다. 이 글은 그간의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이러한 이질성과 차이를 당대 신여성 담론과의 관계 속에서 점검해보고자 하였다. 방탕과 허영, 그리고 빈껍데기로 지식인 여성을 비하했던 모던걸 담론이 강경애 소설에 가한 억압과 모순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여성의식을 다시 점검하였다. ‘모던 걸’의 공포가 강경애에게 내면화되면서 사회주의 여성의식 안에 남성중심적 시각을 모순적으로 구조화하고 있으며 사회주의 여성활동가들과도 다른 여성의식의 낙차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여성 담론이 자유주의 여성에게만 아니라 사회주의 여성의식에도 모순과 갈등을 야기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강경애, 사회주의, 지식인여성, ‘모던걸’, ‘신여성’, 공포, 가부장주의, 이질성, Kang Kyung Ae, Socialism, Intellectual woman, 'Modern girl', ‘New women', Fear, Patriarchism, Heterogeneity

Abstract

The works of Kang Kyeong ae, which were recognized as the best realistic works during the colonized period, female consciousness was approached in terms of realizing the socialist ideology. The existing studied said that the sense of socialisitic woman's liberation was realized well, or that the man oriented-socialist idelogly was accepted without criticism so that a sens of the patriarcal was appeared on the whole, These studies were not different in that they explained consciousness of women with socialist ideology even being different direction of evaluation. They regarded the socialist ideology as a idelology of single content and linked its weak point and its virtue to success and failure of consciousness of women. However that of Kang Kyeong ae’s works was not a single ideology without seam. Rather than, the contradicted difference was structured in socialism. In that, the old fashioned patriarchal view intersected with the ideology of modern class liberation, in the same socialistic area, there was the difference between feminists as well.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heterogeneity and the disparity which was overlooked in the stud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Moderngirl discourse. The self-consciousness of New women or Moderngirl discourse that depreciated intellectual women with debauchery, vanity, and empty shells was regarded as the main cause of such oppression and contradiction. As the fear of 'modern girl' became internalized in the intellecture women, it pursued the identity of woman who is opposite to it. It can be seen that the discourse of the Newwomen caused oppressive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not only to liberal feminists but also to the socialist women 's consciousness through the discussions of the colonialism as' red romance'.

keywords
강경애, 사회주의, 지식인여성, ‘모던걸’, ‘신여성’, 공포, 가부장주의, 이질성, Kang Kyung Ae, Socialism, Intellectual woman, 'Modern girl', ‘New women', Fear, Patriarchism, Heterogeneity

참고문헌

1.

강경애, 인간문제(외) , 범우, 2005.

2.

김수진, 「’모던걸’, 모방의 병리적 주체」, 신여성, 근대의 과잉 , 소명출판,2009, 103-472쪽 .

3.

이상경, 강경애 – 문학에서의 성과 계급 ,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7, 13-152쪽 .

4.

유서연, 공포의 철학: 타자가 지옥이 된 시대를 살다 , 동녘, 2017, 5-233쪽 .

5.

김경일, 「사회주의 여성의 성과 사랑」, 신여성, 개념과 역사 , 푸른역사, 2016, 131-225쪽 .

6.

김민정, 「강경애 문학에 나타난 지배담론의 영향과 여성적 정체성의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어문학 제85호, 한국어문학회, 2004, 315-337쪽 .

7.

김복순, 「강경애의 ‘프로-여성적 플롯’의 특징」, 한국현대문학연구 제25호, 한국현대문학학회, 2008, 311-334쪽 .

8.

김양선, 「강경애 후기 소설과 체험의 윤리학:이산과 모성 체험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11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196-220쪽 .

9.

박혜경, 「강경애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인식의 문제」, 민족문학사연구 제23호, 민족문학사학회, 2003, 250-276쪽 .

10.

배상미, 「식민지시기 무산계급 여성들의 사적영역과 사회변혁-강경애 문학을 중심으로」, 상허학보 제44호, 상허학회, 2005, 355-400쪽 .

11.

서정자, 「페미니스트 성장소설과 자기발견의 체험: 강경애의 ‘어머니와 딸’ ‘인간문제’ ‘소금’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7호, 한국여성학회, 1991, 44-75쪽 .

12.

서정자, 「체험의 소설화, 강경애의 글쓰기 방식」, 인간문제(외) , 범우, 2005, 527-549쪽 .

13.

송명희, 「강경애의 ‘인간문제’에 대한 여성비평적 연구」, 비평문학 제11호, 한국비평문학회, 1997, 224-248쪽 .

14.

임선애, 「여성작가와 사회주의-강경애의 경우」, 현대사상 제5호, 대구대학교 현대사상연구소, 2009, 115-135쪽 .

15.

정미숙, 「차용된 남성 시점과 여성 발견의 한계-강경애 단편소설의 시점」, 문창어문논집 제23호, 문창어문학회, 1999, 337-360쪽 .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