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적 글쓰기(feminine writing) 관점에서 박경리 초기단편소설 속에 나타난 부인(否認)의 원체험이 여성인물에게 어떤 의미이며 이를 어떻게 극복하는지 살펴 박경리 소설의 여성주의적 성과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박경리 초기단편소설 속 여성인물들은 아버지가 부재한 상황이다. 아버지가 없는 상황에서 어머니와 딸로 이뤄진 가정에서 유년을 보낸다. 아버지의 모습은 아예 없거나 무척 부정적인 모습으로 제시된다. 그리고 아버지에게 버림받은 어머니는 여성성이 제거된 모성만 존재하는 인물로 그려지거나 주변의 멸시에 굴종하는 삶을 산 여인으로 제시되어 여성인물은 어머니를 동일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렇듯 박경리 초기단편소설 속 여성인물은 자신의 기본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심리적 개별화의 어려움을 겪는다. 그리고 제시된 부인(否認)의 원체험은 명예살인에 준하는 고향 내 소문과 이로 인한 탈향이라 할 수 있다. 남녀에게 공히 함께 일어난 연애사건에 대해 여성에게 더욱 가혹한 잣대를 들이대며 비난하는 마을 공동체에서 여성인물은 탈향을 선택한다. 연대의 시선을 거부당한 여성인물은 자폐적인 상황으로 내몰리고 그녀가 살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것은 탈향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박경리 초기소설 속 부인(否認)의 원체험으로는 여성가장으로서 느끼는 성적 대상화와 가난이라는 이중고라 할 수 있다. 자신을 성적 대상화 하는 남성중심적 사회에서 이를 감내해야 살아남을 수 있는 조건에서도 여성인물들은 이를 거부한다. 가부장적 질서와 남성중심적 섹슈얼리티를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다. ‘있는 것이 아닌’ ‘살기 위한’ 방법으로 여성인물이 주체적으로 선택한 것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박경리 초기소설이 갖는 여성주의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이후 박경리의 작품 속에서 여성인물들이 보여줄 주체화양상이 가부장제에 비타협적이며 이분법적 여성관을 거부할 것임을 예고한다.
In terms of feminine writing, I will investigate the feministic success of Park Kyung-ri’s novels by studying what the memory of denial means to female characters in Park kung-ri’s early novels and how they overcome the memory of denial. Female characters in Park kung-ri’s early novels do not have fathers. In this situation, their family consists of a mother and daughter in their childhood. The image of their fathers is negative or is not appeared. Because their mothers shows just maternal instinct without femininity, or they are dominated by neighbor’s disdain, the female characters can not identify themselves with their mothers. The female characters in Park Kyung-ri’s early novels have a difficulty psychologically individualizing for building up their basic identify. And the memory of denial becomes escaping home due to rumors in hometown such as honor killing. The female characters choose to escape their community which blames women about a love affair by unfair standard to women, even though men and women do that together. Female characters who cannot join the community are forced out on autistic situation, they can choose only to escape their home for keeping their lives. Lastly, the memory of denial in Park Kyung-ri’s early novels is a double torture. One is they feel they are sexual object as a matriarch, another is a poverty. The female characters seem to accept their situation for keeping their lives because they are living in the male-dominated society which considers female characters as a sexual object. But they deny to be a part of that society. They cannot accept patriarchal order and androcentric sexuality. It is not a simple matter of right and wrong. The female characters autonomously choose it for the way to live, not the way to be. I think this point can make people to estimate the feministic value of Park Kyung-ri’s early novel. Also, it implies that Park Kyung-ri’s female characters will deny dichotomous view of woman and have uncompromising attitudes against patriarchal system by showing their subjectivation.
박경리, 박경리문학전집 19 불신시대 , 지식산업사, 1987, 7-331쪽 .
강진호, 「주체 확립의 과정과 서사적 거리감각 : 박경리의 60년대 소설 연구」, 현대소설사와 근대성의 아포리아 , 소명출판, 2012, 80-102쪽 .
권명아, 가족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책세상, 2000, 24-27쪽 .
김경수 외, 페미니즘과 문학비평 , 고려원, 1994, 229-249쪽 .
김우종, 「인간에의 증오」, 한국현대문학전집 제11권, 신구문화사, 1966, 495-510쪽 .
김치수, 「불행한 여인상」, 박경리와 이청준 , 민음사, 1982, 11-18쪽 .
배리 소온, 권오주․김선영․노영주․이승미․이진숙 역,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 한울아카데미, 2005, 24쪽 .
자크 라캉, 권택영 역, 자크 라캉-욕망이론 , 문예출판사, 1994, 11-95쪽 .
쥬디스 키건 가디너, 김열규 역, 「여성의 정체성과 여성의 글」, 페미니즘과 문학 , 문예출판사, 1988, 231쪽 .
김상욱, 「박경리의 초기소설연구-증오의 수사학」, 현대소설연구 , 제4호, 한국현대소설연구회, 1996.6, 287-308쪽 .
김혜정, 「박경리 소설의 여성성 연구」, 충북대 박사학위논문, 1999, 1-152쪽 .
배지선, 「해체, 글씨기의 ‘여성적 실천’: 식수(cixous)의 ‘여성적 글쓰기’에 대한 하나의 독해」, 2015 여성학논집 제32집 1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5, 3-28쪽 .
안미현, 「여성적 글쓰기의 특성과 가능성」, 사고와 표현 , 제2집 1호,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09, 61-81쪽 .
유수연, 「박경리 장편소설 연구 : 여성성의 변모과정을 중심으로」, 전북대박사학위논문, 2013, 1-182쪽
유종호, 「여류다움의 거절」, 동시대의 시와 진실 , 민음사, 1982, 339-349쪽 .
이금란,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가족이데올로기 연구」, 숭실대 박사학위논문, 2006, 1-205쪽 .
이승윤, 「1950년대 박경리 단편소설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 제18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02, 229-233쪽 .
장미영, 「박경리 문학의 여성인물 원형 연구-초기단편소설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제24권1호, 대중서사학회, 2018, 449-477쪽 .
한점돌, 「박경리 문학사상 연구(2)- 박경리 초기소설과 에고이즘」, 현대소설연구 , 제49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2, 359-389쪽 .
홍사중, 조남현 편, 「한정된 현실의 비극」, 박경리 , 서강대학교출판부, 1996, 44-56쪽 .